이 글의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신호수 수신호 표준을 현장 실무자가 즉시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크레인 양중·모바일 크레인 주행·타워크레인 작업·차량 유도까지 공통·개별 신호를 통합 표준으로 제시하여 오해와 사고를 예방하는 데 있다.
1. 신호수·수신호의 개념과 원칙
신호수는 양중 장비 또는 차량과 작업자 사이의 유일하고 공식적인 의사소통 채널을 담당하는 인원이다. 수신호는 신체 동작, 패들(빨강·초록), 깃발, 야간 라이트, 호루라기, 무전 등 보조수단을 사용하여 명령을 전달하는 행위이다. 절대 원칙은 “한 작업에 한 명의 주신호수”이며, 장비 운전자는 주신호수의 신호만을 따른다. 긴급정지 신호는 누구든 우선권이 있다.
2. 표준 수신호 시스템 구성요소
- 채널: 수신호(손·팔) → 보조수단(패들/깃발/라이트) → 음향(호루라기) → 무전 순으로 중복 구성한다.
- 코딩: 동작 패턴은 단순·크게·반복으로 구성하고, 각 신호의 지속시간과 횟수를 표준화한다.
- 가시성: 주간 50 m, 야간 100 m 기준 시인성을 확보한다.
- 포지셔닝: 신호수는 운전자가 직접 시인 가능하며, 하중·회전 반경·낙하 경로를 동시에 관측 가능한 위치에 선다.
- 백업: 사각지대 발생 시 제2 신호수를 두되 릴레이 규칙을 사전 합의한다.
3. 작업 전 표준 브리핑(TOOLBOX) 체크리스트
| 항목 | 핵심 질문 | 기준 |
|---|---|---|
| 역할 지정 | 주신호수·보조신호수 지정 완료인가 | 성명·위치·교대조건 문서화 |
| 신호 표준 | 모든 신호의 제스처·횟수·지속시간 합의했는가 | 현장 표준 포스터 게시 |
| 무전 규약 | 호출부호·핸드오버 용어 통일했는가 | 3자 확인(말한-들은-확인) |
| 환경 리스크 | 풍속·우천·야간 조도·소음 평가했는가 | 한계치 초과 시 단계적 제한 |
| 장비 호환 | 크레인 형식별 특수 신호 공유했는가 | 타워크레인/러핑/모바일 구분 |
| 비상 절차 | 긴급정지·사고신고 코드 숙지했는가 | 즉시 중지·전파·차단 |
4. 공통 기본 신호(주간·야간 공용)
모든 장비에 공통 적용하며, 야간에는 라이트 배턴 또는 반사 패들을 사용한다. 각 신호는 2초 이상 명확히 유지하고 필요 시 2회 반복한다.
| 신호명 | 제스처(주간) | 제스처(야간) | 보조수단 | 의미/적용 |
|---|---|---|---|---|
| 작업준비 | 양팔 위로 원을 크게 1회 그린 뒤 양팔을 수평으로 벌림 | 라이트로 머리 위 큰 원 1회 후 수평 정지 | 호루라기 1회 | 작업 시작 대기 상태 준비 |
| 긴급정지(E-STOP) | 양팔을 머리 위에서 교차하여 X자 후 상하로 강하게 흔듦 | 빨간 라이트를 교차 점멸하며 상하 흔듦 | 호루라기 3회 연속 | 즉시 전동 금지·브레이크 적용 |
| 일반정지(STOP) | 한 팔을 수평으로 펴서 손바닥 전면을 운전자에게 보임 | 라이트를 수평 위치에서 고정 | 호루라기 2회 | 현재 동작 정지 |
| 양중 시작(하중 받기) | 손바닥을 위로 하여 손가락으로 ‘나에게’ 제스처 2회 | 라이트를 신체 쪽으로 2회 짧게 당김 | — | 와이어 텐션 생성·슬랙 제거 |
| 권과 방지(슬랙) | 손바닥 아래로 하여 느슨히 흔듦 | 라이트를 아래로 낮춰 좌우로 느리게 흔듦 | — | 권과·슬랙 주의, 장력 완화 |
5. 타워크레인·모바일 크레인 표준 신호
다음 표는 권상·권하, 붐 각도, 지브 회전, 트롤리 이동, 주행 등 핵심 동작을 통일한 표준안이다. 반복 횟수는 기본 2회이며 연속 동작은 제스처 유지로 표현한다.
| 동작 | 제스처 | 설명 | 주의사항 |
|---|---|---|---|
| 권상(HOIST) | 한 팔을 위로 올려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며 위로 당김 | 후크 상승 | 하중 요동 시 속도 완화 |
| 권하(LOWER) | 한 팔을 아래로 내려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며 아래로 당김 | 후크 하강 | 지면 접근 시 0.5 m 전 감속 |
| 소폭 권상/권하 | 손바닥으로 위/아래를 짧게 톡톡 2회 | 미세 조정 | 밀리미터급 지시 시 음성 병행 |
| 트롤리 전진(지브 끝으로) | 팔을 지브 방향으로 수평, 손목으로 앞쪽을 연속 가리킴 | 트롤리 외측 이동 | 끝단 접근 시 감속 |
| 트롤리 후진(탑 쪽으로) | 팔을 반대 방향 수평, 손목으로 뒤쪽을 연속 가리킴 | 트롤리 내측 이동 | 장력 유지 |
| 선회 좌/우 | 머리 위로 팔을 원형 회전하며 좌/우 방향으로 지시 | 지브 선회 | 회전 반경 내 인원 통제 |
| 붐 상승/하강(모바일) | 양팔로 붐 각을 묘사하며 위/아래 각도 변화 제시 | 붐 각 조절 | 전도한계·하중곡선 준수 |
| 주행 전진/후진(모바일) | 양팔을 전방/후방으로 밀어내는 동작 반복 | 차량 저속 주행 | 지반 지지력·지중매설물 확인 |
| 미세 회전 | 손목만으로 작은 원을 느리게 | 각도 미세 조정 | 무전 병행 권장 |
6. 차량 유도 표준 신호(덤프·레미콘·트레일러)
- 정지: 손바닥 전면을 운전자에게 보이며 양팔을 수평으로 고정한다.
- 전진/후진: 해당 방향으로 팔을 연속 밀어낸다.
- 우/좌 회전: 해당 방향 팔을 수평 고정, 반대 팔로 전방을 원형으로 크게 돌린다.
- 폭 좁음 진입: 양팔을 위로 올려 손끝 간격으로 차폭 허용을 표현한다.
- 턱/경사 안내: 한 손으로 경사 각을 표시, 다른 손으로 천천히 신호를 준다.
7. 야간·악천후 전환 규칙
조도 저하 또는 강우·강설 시 모든 손신호는 광원 또는 반사체로 대체한다. 라이트 배턴은 30 cm 이상, 연속 점등 상태를 기본으로 하며 방향 지시 시만 스윙한다. 소음 환경에서는 호루라기·무전 우선순위를 상향한다.
8. 무전 표준 콜사인·표현
콜사인 규칙 - 크레인: C-01, C-02 ... - 타워크레인: T-01 ... - 신호수: S-01 ... - 지상 안전감시: G-01 ...
3자 확인(Closed-loop)
S-01: "C-01, 권상 0.5m 준비"
C-01: "권상 0.5m 준비 확인"
S-01: "권상 0.5m 실시"
C-01: "권상 0.5m 완료"
긴급정지
누구든: "E-STOP, E-STOP, E-STOP"
운전원: "전동 정지 확인"
9. 하중 인양 단계별 표준 절차
- 슬링·샤클·후크 안전계수 확인 및 꼬임·각도 검토를 완료한다.
- ‘하중 받기’ 신호로 텐션을 생성하고 슬링 좌굴·미끄럼을 점검한다.
- 권상 신호로 지면에서 10~20 cm만 상승시켜 시험 인양을 수행한다.
- 회전·트롤리 이동은 주변 차단 후 저속으로 진행한다.
- 접지 전 0.5 m에서 속도를 감속하고 손가락 신호로 미세 조정한다.
- 완전 하역 후 장력 제거와 훅 오프 신호를 수행한다.
10. 표준 신호 포스터 템플릿(텍스트)
[현장 표준 수신호 요약] - 긴급정지: X자 교차 → 상하 흔듦(호루라기 3회) - 정지: 손바닥 전면 수평(2회 유지) - 권상/권하: 손가락 원형 → 위/아래 당김 - 선회 좌/우: 머리 위 원형 회전 후 방향 지시 - 트롤리 전/후: 방향 수평 팔 → 연속 가리킴 - 붐 상/하: 양팔 각도 묘사 - 주행 전/후: 양팔 밀어내기 - 미세 조정: 손목 작은 원·톡 신호 - 야간: 동일 동작을 라이트 배턴으로 대체 11. 신호수 배치·시야·동선 기준
- 시야: 하중, 훅 블록, 위험원, 운전자 얼굴을 동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선다.
- 배치: 회전 경로 외측, 낙하 가능 경로 측면, 지반 견고 지점에 위치한다.
- 동선: 하중 하부 직하 금지, 회전 반경 안쪽 진입 금지, 차량 후방 진입 금지이다.
12. 빈발 오류와 예방 팁
| 오류 사례 | 원인 | 예방 조치 |
|---|---|---|
| 이중 지시 | 주신호수 미지정 | 작업 전 역할확인서 서명 |
| 신호 미가시 | 역광·차광 미대응 | 역광 시 어두운 배경, 야간 배턴 |
| 과신호 | 복잡한 동작·과한 스윙 | 단순·크게·반복 원칙 교육 |
| 무전 혼선 | 콜사인 미통일 | 현장 공통 콜사인 카드 배포 |
| 슬랙 방치 | 텐션 확인 부재 | 시험 인양 의무화 |
13. 교육·자격·평가 기준 예시
- 기초교육: 신호 표준·가시성·무전 4시간 이상 실시한다.
- 현장적합성 평가: 실제 장비 앞 10개 동작의 정확도 90% 이상을 달성한다.
- 재교육: 공종 변경·야간 전환·사고 후 즉시 재평가한다.
- 자격표시: 조끼 전면에 “Signal S-01”과 발광 패치를 부착한다.
14. 하중·장비별 특수 신호 보강
- 장거리 이동: 손 위로 숫자 표기(손가락) 후 기본 신호로 전환한다.
- 긴 하중 회두: 양손으로 하중 길이를 표시하고 선회 방향을 천천히 지시한다.
- 액체·벌크: 흔들림 감쇠를 위해 “스톱-1초-재개” 리듬을 사용한다.
15. 환경 한계와 단계적 제한
| 환경 요소 | 점검 기준 | 조치 |
|---|---|---|
| 풍속 | 현장 장비 운영 지침의 한계풍속 확인 | 한계의 80% 도달 시 빔·지브 이동 제한 |
| 조도 | 작업면 50 lx 미만 | 라이트 배턴·투광기 추가, 미달 시 중지 |
| 소음 | 85 dB 이상 | 호루라기·무전 우선, 반복 확인 |
| 우·설 | 미끄럼·가시성 저하 | 지연·제설·배수 후 재개 |
16. 현장 게시용 수신호 표준안(머리글자 코드)
코드 = 동작(행위) + 방향/크기 + 속도 예) H+UP+SLOW → 권상, 상승, 저속 S+—+— → 정지 R+LEFT+STEP → 선회 좌, 스텝 이동 적용: 무전·작업지시서에 동일 코드 병기 17. 점검표(감사·자체점검) 샘플
| 번호 | 점검 항목 | 기준 | 적합/부적합 | 조치 |
|---|---|---|---|---|
| 1 | 주신호수 지정 | 명시·표찰 | ||
| 2 | 표준 포스터 게시 | 출입구·작업구역 | ||
| 3 | 야간 장비 | 라이트 배턴·반사조끼 | ||
| 4 | 무전 규약 | 콜사인·응답 규칙 | ||
| 5 | 시험 인양 | 10~20 cm 의무 |
18. 표준 운영 절차(SOP) 예시
1) 작업 전 - 역할 지정, 무전 체크, 포지셔닝 및 사각지대 제거 - 신호 포스터 확인, 환경 한계 측정
작업 중
단일 채널 운영, 3자 확인 적용
미세 조정은 신호+음성 병행
비상 시
E-STOP 우선, 구역 즉시 차단, 지휘관 단일화
작업 종료
장비 정지, 훅 정위치, 신호 장구 점검·보관
19. 교육자료용 도식화 팁
- 오버헤드 사진에 신호수 위치·운전자 시선·하중 경로를 색으로 구분한다.
- 주간/야간 짝 이미지로 동일 동작의 표현 차이를 교육한다.
- 실습은 저하중 모형부터 시작하여 실제 하중 순으로 진행한다.
20. 현장 배포 카드 요약 텍스트
[수신호 10대 기본] 1 긴급정지 X자 2 정지 손바닥 수평 3 하중 받기 손가락 콜 4 권상/권하 원 그리기+당김 5 선회 좌/우 머리 위 원 6 트롤리 전/후 수평 가리킴 7 붐 상/하 각도 묘사 8 주행 전/후 팔 밀어내기 9 소폭 조정 손목 신호 10 야간 라이트 배턴 동일 적용 FAQ
신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는 무엇을 우선 적용하나
정지 신호를 기본으로 하고, 무전으로 3자 확인 후 동작을 재개한다. 시인성 확보 전 전동을 재개하지 않는다.
두 곳에서 동시에 신호가 들어오면 어떻게 처리하나
주신호수 이외 신호는 무시한다. 긴급정지는 예외이며 누구 신호든 즉시 정지한다.
야간에는 손신호 대신 무전만 사용해도 되나
무전은 보조수단이다. 야간에는 라이트 배턴으로 동일 동작을 시각화하고 무전은 상호 확인 용도로 병행한다.
바람이 강할 때 신호운영 기준은 무엇인가
장비별 한계풍속의 80%에 도달하면 고속 선회 및 장거리 트롤리 이동을 제한하고, 권상 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춘다.
다국적 팀에서 용어가 달라 혼선이 생긴다
머리글자 코드(H/ L/ R/ T 등)와 제스처 아이콘을 병기한 이중 표기 포스터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