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저장 취급 기준 및 현장관리 체크리스트(분리보관·환기·소화설비·표지 완벽 가이드)

이 글의 목적은 제조업·건설현장·연구소·창고에서 적용 가능한 위험물 저장·취급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즉시 활용 가능한 분리보관 규칙·점검표·표준운영절차(SOP)와 계산 예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적용 범위와 핵심 원칙

본 가이드는 인화성·산화성·부식성·독성 등 화학적 위험성이 있는 유해물질과 연소 확대 가능성이 있는 위험물의 저장·취급 전 과정을 포함한다. 저장은 용기·탱크·캐비닛 및 임시보관 구역에 물질을 보관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취급은 이송·혼합·주입·소분·충전·폐기물을 포함한 작업 행위를 의미한다. 핵심 원칙은 다음과 같다.

  • 분리: 반응 위험이 있는 물질은 이격·격벽·캐비닛 등으로 분리한다.
  • 환기: 증기·가스 축적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환기를 확보한다.
  • 점화원 관리: 불꽃·열·정전기·스파크 발생원을 통제한다.
  • 유출 대비: 누출·유출에 대비한 차단·흡착·회수 체계를 갖춘다.
  • 식별: 모든 용기와 구역에 GHS 라벨 및 경고 표지를 부착한다.
  • 문서화: SDS, 재고대장, 위험성평가, SOP, 교육記錄을 최신으로 유지한다.
주의 : 현장 규정·법령·보험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본 가이드는 최소 요구수준 기준으로 적용하고, 내부 규정은 더 엄격하게 설정·운영해야 한다.

2. 분류 체계와 분리보관 규칙

보관 전 단계에서 물질을 분류하고 호환성에 따라 분리해야 한다. 현장에서는 다음의 단순화된 그룹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 F: 인화성 액체·고체(용제·알코올·접착제 등)
  • O: 산화성 물질(과산화물·차아염소산염·질산염 등)
  • A: 산(무기산·유기산)
  • B: 알칼리(수산화물·탄산염 등)
  • T: 독성·유독가스·농약류
  • W: 수반응성 물질(금속나트륨·염화알루미늄 등)
  • C: 부식성 혼합물(강한 산·염기 포함 혼합물)

호환성 매트릭스는 다음과 같다. “X”는 같은 구역 금지, “△”는 격벽·이격 필요, “○”는 같은 구역 가능을 뜻한다.

그룹FOABTWC
FXX
OXX
AXX
BXX
T
WXXXXX
CX
주의 : 산화성(O)은 인화성(F)과 같은 구역 보관을 금지한다. 수반응성(W)은 물·수분·산·알칼리와 반응하므로 독립된 밀폐 캐비닛과 건조 환경이 필요하다.

3. 저장 구역 설계 기준

3.1 구조·바닥

  • 바닥은 비흡수성·내화학성 재질로 마감하고, 누출이 배수로 유출되지 않도록 경사를 최소화한다.
  • 선반은 내하중을 고려하여 금속 프레임과 난연 선반판을 사용한다. 산·알칼리 구역은 부식 방지 코팅을 적용한다.
  • 바닥부는 파렛트·드립팬 등 2차 차단설비를 갖춘다.

3.2 방유제·집수 용량 계산

탱크·다량 보관 시 방유제(번들)의 최소 용량은 “최대 용기 용량의 110% 또는 동시에 파손 가능한 용기의 합계” 중 큰 값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실무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집수 용량 산정 예시 # 용기 200 L 드럼 4개, 동시에 파손 1개 가정 max_container = 200 # L simul_break_sum = 200 # L required = max(max_container * 1.1, simul_break_sum) print(f"최소 집수 용량 = {required} L") # 220 L 
주의 : 화학반응으로 기체 발생이 가능한 물질은 발열·발포를 고려해 여유 용량을 추가 확보한다.

3.3 환기

  • 저장 캐비닛은 하부 흡기·상부 배기 개념으로 국소배기를 구성한다.
  • 고염기성·고산성 증기 취급 캐비닛은 부식 저항 덕트·팬을 적용한다.
  • 폭발 위험 구간은 스파크프루프 모터·팬을 적용하고 금속 덕트에 접지를 설치한다.

3.4 온도·습도

  • 인화성 액체는 저온·암소 보관을 원칙으로 하며 직접 일사·열원 노출을 금지한다.
  • 과산화물·자기분해성 물질은 SDS 지정 온도 범위를 준수한다.
  • 수분 민감성 물질은 건조제·질소 퍼지·밀봉을 적용한다.

4. 용기·라벨·표지

  • 모든 용기는 원용기 보관을 원칙으로 하며, 소분 시 재질·두께·캡타입의 화학적 적합성을 확인한다.
  • GHS 라벨(제품명, 신호어, 그림문자, 유해문구, 예방문구, 공급자 정보)을 부착한다.
  • 저장구역 출입구에는 위험구역 표지, 금연·화기엄금, 개인보호구 착용 표지를 설치한다.
# 예시: 선반 라벨 템플릿(텍스트) [구역코드] F-01 물질그룹: 인화성 액체 최대적재: 60 L 점화원거리: 3 m 필수PPE: 보안경, 내화학장갑, 정전기 방지복 비상연락: 09-XXX-YYYY(주간), 09-XXX-ZZZZ(야간) 

5. 작업 전 준비 및 표준운영절차(SOP)

5.1 작업 전 체크

  • SDS 최신본 확인, 호환성·반응성 재점검, 용기 손상·누액 확인, 환기·소화설비 점검.
  • 정전기 제어: 접지·본딩 도선 연결, 용기 간 포텐셜 차 제거.
  • 비상세트: 흡착제, 누출마개, 중화제, 밀폐백, 라벨, 방재모래, 폐기물 용기 준비.

5.2 소분·주입 SOP 요약

  1. 작업허가서 확인 및 구역 격리, 인화성 작업은 화기작업과 동시 금지.
  2. 정전기 본딩: 드럼→깡통→펌프 순으로 본딩, 이후 접지 확인.
  3. 저속 주입: 채움률 80~90% 범위 관리, 거품·발열 감시, 호스 끝은 액면 아래 유지.
  4. 누출 즉시 차단: 밸브 폐쇄, 소량은 흡착·회수, 반응성 물질은 중화 절차 적용.
  5. 폐기물 라벨 부착 후 품목·성상·발생일자 기록, 보관기간 준수.
# 소분 작업 기록 예시(CSV) date,time,operator,substance,CAS,qty_L,from,to,grounding_checked,remark 2025-10-20,10:15,KIM,Acetone,67-64-1,5,Drum-200L,Can-20L,YES,OK 
주의 : 주입·혼합 중 가연성 증기 발생이 예상되면 점화원 반경을 확대하고,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을 금지한다.

6. 소량저장·임시보관 운영

  • 소량저장소는 위험물 그룹별 전용 선반을 지정하고 최대 적재량을 선반·캐비닛에 표시한다.
  • 임시보관은 작업공정 근접 최소량 원칙을 적용하고, 사용 후 즉시 원래 저장소로 회수한다.
  • 이동 중 충격·낙하 방지 포장과 누출방지 트레이를 사용한다.
구역허용 그룹최대 적재분리 기준특이사항
Cab-FF60 LO·W와 격벽환기 연결, 방폭 팬
Cab-AA40 LB·W와 격벽부식 저항 선반
Cab-BB40 LA·W와 격벽스테인리스 트레이
Cab-OO25 LF·W와 격벽비가연 환경
Cab-WW10 kg모든 수분원과 격리건조제·밀봉

7. 개인보호구(PPE) 및 장비

  • 기본: 보안경 또는 페이스실드, 내화학장갑(니트릴·네오프렌 등), 난연 작업복.
  • 고위험: 내화학 앞치마, 카트리지 방독마스크 또는 송기식 호흡보호구.
  • 장비: 방폭 휴대펌프, 점검용 가스측정기, 정전기 제거 브러시, 유출 차단 키트.

8. 비상 대응 절차

8.1 경보·격리

  • 유출 발견 즉시 구역 경보, 접근 통제, 배기 강화, 점화원 제거.
  • 흡착제 링으로 확산 차단, 배수구는 일시 폐쇄한다.

8.2 회수·중화·폐기

  • 인화성 액체: 비점화성 흡착재로 흡착 후 밀폐 용기에 수거한다.
  • 산·알칼리: 중화제를 소량씩 투입하며 발열·가스 발생을 관리한다.
  • 산화성: 유기 흡착재와 반응하지 않도록 무기성 흡착재를 사용한다.

8.3 화재 초기 대응

  • 인화성 액체: 포·CO₂·건식분말 소화기 우선 적용, 물분사로 증기 확산 주의.
  • 산화성 반응 화재: 물 또는 내화학 포, 탄소성 분말 사용 적합성 SDS 확인.
# 비상연락 프로토콜(요약) 1) 현장책임자 호출 → 2) 방재반 출동 → 3) 필요 시 외부 소방 연락 정보: 물질명, 수량, 위치, 인명피해, 전원차단 여부, 환기상태 

9. 문서화·재고·트레이서빌리티

  • SDS: 모든 저장 위치에 물리·전자 파일을 이중 구비한다.
  • 재고: 그룹·구역·로트·유통기한을 관리하고, 반입·반출 로그를 자동화한다.
  • 표준코드: 구역코드-선반-칸 식별, 바코드 또는 QR 도입으로 오출고 방지.
# 재고 JSON 예시 { "zone":"Cab-F", "shelf":"S2", "bin":"B03", "item":{"name":"Toluene","CAS":"108-88-3"}, "qty_L":12.5, "lot":"TL-2509-01", "exp":"2027-09-30", "sds_rev":"2025-08" } 

10. 점검 체크리스트

항목기준점검방법주기결과
분리보관호환성 매트릭스 준수라벨·배치 확인매일
환기상태국소배기 정상풍속·차압 점검매일
용기상태누액·팽창·부식 無육안·중량 비교매일
집수설비여유 110% 이상용량·청결 확인주간
접지·본딩저항 기준 내연속성 시험월간
소화설비유형·압력 적합압력계·봉인 확인월간
표지·라벨GHS 요소 완비라벨·표지 확인월간
SDS·SOP최신판 비치개정일 확인월간
폐기물분류·라벨 적정보관기간·용기주간

11. 정전기·점화원 관리 상세

  • 가연성 증기 존재 가능 구역은 방폭 등급 장비와 내스파크 공구를 사용한다.
  • 액체 이송 속도는 저속 유지, 금속·도전성 호스를 사용하고 본딩·접지를 시행한다.
  • 접지 저항은 연속성 시험으로 관리하고 주기적 기록을 남긴다.

12. 운송·반출입 관리

  • 반입: SDS 사전 검토, 호환성·분리계획 수립, 저장 위치를 예약한다.
  • 운송: 충격방지 포장, 직사광선·온도 관리, 수직 보관 표기 준수.
  • 반출: 잔량·증기 관리, 차광·밀봉, 폐기물 적합 라벨 부착.

13. KPI와 운영지표

  • 분리보관 적합률(%): 무작위 점검에서 호환성 위반이 없는 위치 비율.
  • 라벨 완전성(%): GHS 6요소 누락 없는 용기 비율.
  • 누출 대응 리드타임(분): 신고→격리→회수 완료까지 평균 시간.
  • SDS 최신화율(%): 개정 24개월 이내 문서 비율.

14. 위험성평가 포인트

  • 시나리오 기반: 누출·혼합오류·정전기 점화·환기 고장·소화기 부적합.
  • 심각도·빈도·노출도 산정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격벽 추가·이격 확대·용량 축소 등 공학적 대책을 우선한다.

15. 교육·훈련

  • 신규·변경 작업 전 SOP 설명·시연, 비상대응 모의훈련 정례화.
  • 교육 내용: 분리보관 규칙, 라벨 판독, 소분·주입 실습, 유출 대응, 폐기물 분류.
  • 평가: 필기+실습 합격 기준을 설정하고 불합격자는 재교육한다.

FAQ

인화성 액체와 산화성 물질의 최소 이격 기준은 어떻게 설정하나?

동일 캐비닛 보관을 금지하고, 별도 캐비닛 또는 격벽으로 분리한다. 배치가 불가피하면 비가연성 격벽과 독립 환기를 적용하고 상·하부 누출 전파를 차단한다.

산과 알칼리를 같은 실내에서 보관할 수 있나?

가능하나 같은 선반·같은 드립팬 공유는 금지한다. 최소 격벽·이격을 확보하고, 중화 반응·발열 위험을 고려해 집수 설비를 분리한다.

수반응성 물질은 어떻게 관리하나?

건조·밀봉·저수분 환경을 유지하고, 물 기반 소화수 사용을 금지한다. 전용 금속 캐비닛과 불활성 대기(필요 시 질소)를 고려한다.

소화기는 어떤 종류를 갖추어야 하나?

인화성 액체에는 포, CO₂, 건식분말을 우선 배치한다. 산화성 반응 가능 구역은 적합성 확인 후 물안개 또는 특정 약제를 선택한다.

라벨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었다. 어떻게 조치하나?

즉시 재라벨링하고, 제품명·위험문구·그림문자·응급조치 요약을 포함한다. 임시 라벨을 사용하되 24시간 이내 정식 라벨로 교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