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388 절단저항 등급 완벽 가이드: 안전장갑 선택 기준과 실무 적용

이 글의 목적은 EN388 표준의 절단저항 등급을 중심으로 안전장갑 성능표기를 해석하고 작업별 적합 제품을 선정하는 실무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1. EN388 개요와 마킹 체계

EN388은 기계적 위험으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갑의 성능을 평가하는 유럽 표준이다. 마킹은 보통 방패 모양 아이콘 옆에 수치와 문자를 나열하여 표기한다. 순서는 내마모성, 절단저항(쿠프), 인열강도, 관통저항, 절단저항(TDM), 충격보호 순이다.

예: EN388: 4 3 4 2 D P 해석: - 내마모성(Abrasion): 4급 - 절단저항 쿠프(Coup): 3급 - 인열강도(Tear): 4급 - 관통저항(Puncture): 2급 - 절단저항 TDM: D급 - 충격보호(Impact): P = 충격보호 충족, 미표기 또는 '-': 해당 없음
주의 : 쿠프 시험에서 시험칼의 무디어짐이 관찰되면 쿠프 등급은 ‘X’로 표기하고, 절단평가는 TDM 등급(A~F)으로만 판단한다.

2. 시험 항목별 등급 기준

2.1 내마모성(Abrasion) 등급

지정 사포와 하중 조건에서 몇 회의 마모 사이클을 견디는지로 평가한다.

등급최소 마모 사이클 수(참고값)적용 의미
1100경미한 마찰 작업에 한정한다.
2500일반 취급 작업에 적합하다.
32,000빈번한 마찰 접촉에 견딘다.
48,000고마찰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에 적합하다.

2.2 절단저항(쿠프, Coup) 등급

왕복운동 칼날이 실험편을 절단하는 데 필요한 회수로 산출한 지수로 평가한다.

등급지수(참고값)해석
1≥ 1.2경미한 절단위험만 허용한다.
2≥ 2.5가벼운 박판·포장재 절단 위험에 대응한다.
3≥ 5일반 금속가공 취급에 적합하다.
4≥ 10날카로운 모서리 빈번 환경에 적합하다.
5≥ 20높은 절단위험 작업에 사용한다.
주의 : 고성능 절단섬유(유리섬유·강섬유 등)는 칼날을 빠르게 무디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쿠프 등급 신뢰성이 낮아져 TDM 시험 결과로 판단해야 한다.

2.3 인열강도(Tear) 등급

시편을 찢어내는 데 필요한 힘으로 평가한다.

등급최소 힘 N적용
1≥ 10경량 직물 중심, 표준 사용 주의가 필요하다.
2≥ 25일반 산업용 기준을 충족한다.
3≥ 50모서리 마찰·갈라짐에 강하다.
4≥ 75중량물 취급·거친 표면에서 유리하다.

2.4 관통저항(Puncture) 등급

표준화된 침(pin)을 직각으로 관통시키는 데 필요한 최대 하중으로 평가한다.

등급최소 힘 N적용
1≥ 20얇은 스플린터·칩에 제한적 보호를 제공한다.
2≥ 60일반 금속칩·거친 표면에 적합하다.
3≥ 100 굵은 칩·거친 철판 엣지에 대응한다.
4≥ 150고위험 관통환경에서 유리하다.

2.5 절단저항(TDM) 등급 A~F

TDM 장치로 직선 왕복칼을 다양한 하중으로 눌러 절단에 필요한 하중을 N 단위로 측정한다. 등급은 A~F이며 F가 가장 높다.

TDM 등급최소 절단 하중 N현장 해석
A≥ 2얇은 필름·종이 엣지 대응 수준이다.
B≥ 5박판 금속·박스 커터 경미 접촉 대응이다.
C≥ 10일반 판금·프레스 주변 취급에 적합하다.
D≥ 15날카로운 모서리 반복 취급에 적합하다.
E≥ 22두꺼운 판재·유리 모서리 취급에 적합하다.
F≥ 30칼날 직접 접촉 고빈도 환경에 적합하다.
주의 : TDM 등급은 칼의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수치화한 것이다. 절단각·미끄러짐·윤활 상태·온도·섬유의 노후도에 따라 실제 체감 보호력은 달라질 수 있다.

2.6 충격보호(Impact) 표시

손등 보호재 삽입 등 충격완화 성능은 ‘P’로 표시한다. 별도 요구가 없으면 비표기이다.

3. EN388 읽기와 혼합표기 예시

마킹: EN388: 4 X 4 3 E 해석: 마모 4급, 쿠프는 무의미(X), 인열 4급, 관통 3급, TDM E등급, 충격미적용 적합 업무: 유리판·강판 엣지 반복 취급, 절단위험 높음, 충격보호는 별도 필요
마킹: EN388: 3 2 4 2 C P 해석: 마모 3급, 쿠프 2급, 인열 4급, 관통 2급, TDM C, 충격보호 적용(P) 적합 업무: 프레스 금형 주변 부품 핸들링, 손등 충격 위험 존재

4. 절단장갑 섬유·코팅 재질 비교

재질장점주의점주요 적용
HPPE/HDPE 계열 우수한 절단저항 대비 경량·쾌적하다. 고온·용융물 접촉에는 부적합하다. 판금·일반 조립 작업에 적합하다.
아라미드(케블라) 절단·내열성 균형이 좋다. 유리섬유 혼용 시 피부 자극 가능성이 있다. 온수·약한 열 환경 금속 취급에 적합하다.
유리섬유 복합 절단저항 상승 효과가 크다. 칼 무디어짐 유발로 쿠프 시험에 X 표기 유발 가능하다. 고등급 TDM 달성에 유리하다.
강섬유/스테인리스 심선 최상급 절단저항을 구현한다. 중량·유연성 저하 가능성이 있다. F등급 요구 현장에 적합하다.
코팅: 니트릴 내유·그립 우수하다. 고온 접촉 시 열경화·경화에 주의한다. 오일리 금속, 밀림 방지에 유리하다.
코팅: PU 정밀그립·감각 보존이 좋다. 솔벤트·열에 취약하다. 조립·전자부품 취급에 적합하다.
코팅: 라텍스 습윤 그립력 우수하다. 오일 환경에서는 성능 저하가 있다. 건설·목재 취급에 적합하다.

5. 작업 유형별 권장 등급 매핑

작업 유형권장 EN388 예설명
박스 커터 개봉, 포장 3 2 2 1 B 가벼운 절단위험, 감각 중시, PU 코팅 권장이다.
판금 취급·절곡 보조 4 X 3 3 C~D 모서리 접촉 빈번, HPPE+유리섬유 복합 권장이다.
유리판·알루미늄 코일 운반 4 X 4 3 E 높은 절단위험, 거친 표면 인열 대응 필요하다.
도축·식육 해체 칼질 보조 마찰 중요도 낮음, TDM F 또는 체인메일 칼 직접 접촉 가능, F 등급 이상 또는 금속메시 장갑 고려한다.
프레스·금형 주변 핸들링 3 2 4 2 C P 손등 충격 가능, 임팩트 보호(P) 포함 제품 권장이다.
목재·합판 취급 3 2 3 3 B~C 스플린터·관통 위험 고려, 니트릴 코팅 유리하다.
주의 : 표의 예시는 최소 기준이다. 작업공정의 칼날 노출시간, 이동거리, 피로도, 환경조건(오일·습기·온도)에 따라 한 단계 상향 선택이 안전하다.

6. 선택 절차: 위험분석 → 성능요건 → 착용순응

6.1 위험분석 체크리스트

  • 접촉하는 날의 종류: 커터날, 절단칩, 판금 모서리, 유리 엣지 등이다.
  • 접촉 방식: 미끄럼 접촉, 눌림 접촉, 마찰·긁힘, 정지 상태 칼 접촉 등이다.
  • 빈도·기간: 시간당 접촉 횟수, 연속작업 시간, 교대주기이다.
  • 환경: 건식/습식, 오일/냉각수, 온도, 날 오염물 유무이다.
  • 부상 이력: 기존 사고 유형과 상처 위치(손바닥/손등/손목)이다.

6.2 성능요건 도출

위험분석 결과를 EN388 항목으로 매핑한다. 날카로운 엣지 빈번 → TDM D 이상, 관통물 많은 건식 목재 → Puncture 3 이상, 금속칩 마찰 심함 → Abrasion 4 등으로 정리한다.

6.3 착용순응 확보

  • 두께·중량: F 등급이어도 과도한 두께는 순응도를 떨어뜨린다.
  • 코팅감: 건식 정밀작업은 PU, 오일 환경은 마이크로니트릴이 유리하다.
  • 사이즈·핑거핏: 손가락 끝 여유 2~3 mm 수준이 정밀그립에 유리하다.
  • 통기성: 장시간 착용 시 라이너 게이지(13~18G)와 통기 코팅을 고려한다.

7. 유지관리와 교체 주기

  • 세척: 제조사 권장 온도에서 중성세제로 단독 세탁한다. 고온 건조는 섬유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 점검: 손바닥·엄지 사이 부위 마모, 코팅 벗겨짐, 봉제선 끊김을 매 교대마다 육안검사한다.
  • 교체 기준: 실밥 노출, 라이너 파단, 구멍 발생, 코팅 30% 이상 탈락 시 즉시 폐기한다.
  • 추적: 라벨의 로트번호와 사용일을 기록·라벨링하여 교체주기를 관리한다.
주의 : 절단장갑 외에 칼날 직접 취급 공정은 추가적으로 칼집, 자석형 블레이드 홀더, 칼날 회수함 등 공학적 통제를 병행한다.

8. 교육자료: 현장 브리핑 3분 요약

  1. 장갑 표기 읽기: EN388 순서와 TDM A~F의 의미를 설명한다.
  2. 우리 공정 기준: 판금 모서리 반복 → D 등급 이상, 오일 환경 → 니트릴 코팅을 강조한다.
  3. 금지 행위: 장갑 낀 손으로 고속 회전날 접근 금지, 접착제·솔벤트 접촉 금지이다.
  4. 교체 사인: 구멍·찢김·코팅 박리 확인 시 즉시 교체한다.

9. 수치 감각 익히기: N→g 변환

TDM 하중의 뉴턴(N)을 그램힘(gf)으로 감각화하면 선택에 도움이 된다. 변환은 1 N ≈ 102 gf로 본다.

TDM 등급정의 하중 N대략적 g힘
A2≈ 204 g
B5≈ 510 g
C10≈ 1,020 g
D15≈ 1,530 g
E22≈ 2,244 g
F30≈ 3,060 g
주의 : g힘 환산은 감각화를 위한 참고치이다. 실제 절단 사고는 접촉각·속도·윤활·국부 하중 집중 등 변수에 크게 좌우된다.

10. 구매사양서(사양요구서) 문구 예시

1) 표준: EN388:2016+A1:2018 또는 동등 이상 2) 성능: Abrasion ≥ 4, Tear ≥ 3, Puncture ≥ 3, TDM ≥ D, Impact: 필요 시 P 3) 소재: HPPE/유리섬유 복합 또는 동등, 오일 환경용 마이크로니트릴 코팅 4) 설계: 게이지 15G 이상, 손목 니트 커프, 사이즈 범위 6~11 5) 적합성: 피부자극성 저감 가공, 규격 라벨(사이즈·등급·로트) 명기 6) 품질: 세탁 후 성능 유지 시험(3회 세탁 후 EN388 재확인) 제출

11. 작업표준서(현장 SOP) 체크리스트

  • 선택: 해당 공정 위험평가서와 구매사양서 일치 여부 확인한다.
  • 지급: 사이즈 피팅 후 사용자 서명 수령한다.
  • 교육: EN388 마킹 해석, 금지행위, 교체기준 교육한다.
  • 점검: 교대 전 육안점검 및 불량품 즉시 교체한다.
  • 기록: 교체이력, 불량원인, 상해사고 연계 분석 기록한다.

12. 자주 혼동되는 사항 정리

  • EN388 TDM 등급은 절단저항 등급이지 칼베임 무적을 의미하지 않는다.
  • 쿠프 등급이 높아도 TDM이 낮으면 날 접촉 저항은 제한적이다.
  • 충격보호 P는 절단과 무관하며 손등 타격·낙하물 대비 성능이다.
  • 방열·내열성은 EN407 범주이며 EN388과 별개이다.

FAQ

쿠프 등급과 TDM 등급 중 무엇을 우선하나?

날카로운 금속·유리 엣지 등 실제 절단사고 위험이 크면 TDM 등급을 우선한다. 쿠프는 칼 무디어짐 영향이 커서 보조지표로 본다.

오일 많은 작업에서 어떤 코팅이 유리한가?

마이크로포럼 니트릴 코팅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오일층을 밀어내는 미세 거칠기가 그립을 제공한다.

F 등급이면 모든 공정에 안전한가?

아니다. 회전부 접근, 톱날·프레스 협착, 고온 접촉은 장갑 성능 범위를 벗어난다. 공학적 통제와 락아웃·태그아웃을 병행한다.

세탁하면 성능이 떨어지나?

일부 코팅과 복합섬유는 세탁 횟수에 따라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제조사 세탁 지침에 따라 시험기록을 확인한다.

국내 인증과의 관계는?

해당 제품이 EN388을 주표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국내 규격·인증 요구가 있는 경우 병행 표기를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