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안전수칙 핵심 체크리스트와 현장 적용 가이드

이 글의 목적은 타워크레인 설치 및 해체 작업에서 발생 가능한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최고 수준의 안전수칙과 점검항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1.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작업의 리스크 개요

타워크레인의 설치와 해체는 고소작업과 중량물 취급, 구조물 볼트 체결, 전기·신호·유도 등 복합 공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고위험 작업이다. 리스크는 전도·붕괴, 추락·낙하, 협착, 감전, 기상 영향, 주변 구조물 간섭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현장에서는 사전 위험성평가, 공종 간 인터페이스 조정, 작업허가제를 통해 리스크를 구조적으로 낮춰야 한다.

2. 적용 범위와 기본 원칙

  • 적용 범위: 건설현장 내 타워크레인의 신설, 증설, 분해, 전도방지용 타이-인 설치·해체, 상·하부 권상장치 및 전기계통 연결 작업에 적용한다.
  • 원칙 1: 계획서 우선 원칙을 따른다. 설치·해체 계획서, 작업순서도, 하중계산서, 반입자재 목록, 장비 배치도를 사전에 승인한다.
  • 원칙 2: 숙련 인력 배정 원칙을 따른다. 설치·해체 총괄책임자, 신호수, 결속공, 전기담당, 품질검사원이 지정되어야 한다.
  • 원칙 3: 기상·지반·주변조건 적합성 검토를 완료한 후에만 작업을 개시한다.
  • 원칙 4: 단계별 점검-기록-확인의 폐루프 관리를 수행한다.

3. 조직과 역할·책임(R&R)

역할주요 책임필수 자격/요건핵심 산출물
설치·해체 총괄책임자 계획 승인, 자원 배분, 위험성평가 주관, 기상 판단, 작업중지 권한 행사 해당 공종 경력 및 법정교육 이수 작업계획서, 위험성평가서, 작업허가서
현장감독(시공사) 작업순서 준수 관리, 인터페이스 조정, 작업구역 통제 현장관리 경력 일일 TBM 기록, 통제선 배치도
신호수 표준 수신호·무전 통일, 인양·결속 지휘 신호수 교육 이수 통신채널 관리표
결속공(리깅) 슬링 선정, 샤클·턴버클 체결, 인양 전 점검 리깅 교육 이수 결속 체크리스트
전기담당 주전원 연결, 접지, 누전차단기 확인 전기 관련 자격 접지 저항 기록
품질검사원 볼트 토크 확인, 수직도 측정, 타이-인 간격 확인 측정장비 숙련 검사성적서

4. 사전 준비와 승인 절차

4.1 기술 서류 준비

  • 설치·해체 작업계획서: 단계별 순서, 필요 장비·인력, 비상대응 포함한다.
  • 구성품 목록: 마스트, 턴테이블, 지브, 카운터지브, 카운터웨이트, 볼트·핀류, 전기케이블을 규격·수량 단위로 정리한다.
  • 하중 계산 개요: 인양 중량, 인양 반경, 보조장비 허용하중을 검토한다.
  • 기초 검토: 베이스 앵커 체결구조, 지반지지력·기초콘크리트 강도 도달 여부를 확인한다.

4.2 인터페이스·허가

  • 주변 구조물·가설물 간섭 해석, 전주·통신선·고압선 이격거리 확인한다.
  • 작업허가제(Hot/Cold, 고소작업, 중량물 인양, 전기작업)를 동시 적용한다.
  • 교통·보행 통제 계획, 지게차·이동크레인 동선 분리 계획을 수립한다.

5. 기상·환경 기준

  • 작업 중지 기준: 설치·해체 시 순간풍속 10 m/s 이상 또는 평균풍속 8 m/s 이상이면 중지한다. 비·우박·결빙·뇌우 예보 시 중지한다.
  • 가시거리 200 m 미만 또는 야간 조도 부족 시 작업을 중지한다.
  • 온도 극한 시 작업시간과 휴식주기를 조정한다.
주의 : 풍속은 지상과 상층이 다르다. 지상 풍속이 낮아도 마스트 상단에서는 더 강할 수 있다. 상·하부 모두 풍속계를 설치하고 상위 값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6. 장비·자재 검수 체크리스트

항목세부 점검내용합격 기준빈도
마스트 섹션변형·균열·부식, 용접부 비파괴 기록 확인결함 없음반입 시/매 설치 전
볼트·핀규격·강도등급·길이 일치, 나사손상·윤활 상태규격 일치, 손상 없음매 조립 전
권상장치와이어로프 마모·꼬임, 드럼 고정, 로프 단말 소켓허용 마모 이내일일
회전부·제동슬루잉 베어링 백래시, 브레이크 작동제원서 기준 충족설치 후
전기계통접지 저항, 누전차단기 시험접지 저항 기준 이내설치 후/정기
안전장치리미트 스위치, 과하중 제한기, 풍향·풍속계정상 작동일일

7. 작업구역 설정과 통제

  • 배타구역: 마스트 하부, 인양 반경 내 낙하 위험 구역에 안전펜스와 경고표지를 설치한다.
  • 출입관리: 작업자 외 출입금지, 안내요원 배치, 통제선 외 대기 구역 설정한다.
  • 지면 상태: 레벨링, 침하·균열 제거, 지지판·매트 설치한다.

8. 설치 작업 절차(표준 순서)

  1. TBM 실시: 작업순서, 수신호, 위험요인, 비상대응 공유한다.
  2. 기초 및 베이스 설치: 앵커 볼트 위치·수평 확인, 토크렌치로 체결한다.
  3. 첫 마스트 조립: 가로대·사다리 방향 확인, 수직도 1차 확인한다.
  4. 턴테이블·캡 조립: 회전부 이물 제거, 베어링 프리로테이션 확인한다.
  5. 지브·카운터지브 설치: 제조사 권고 순서 준수, 피스톤·핀 체결을 이중확인한다.
  6. 카운터웨이트 적치: 규격·표기 무게 확인, 적치 순서와 체결핀 삽입 확인한다.
  7. 전기 연결 및 시운전: 주전원·제어케이블 연결, 방향·제동·리미트 시험한다.
  8. 타이-인 설치(필요 시): 벽체 앵커 인발력 검토, 간격·높이·각도 확인한다.
  9. 최종 수직도·토크 재확인: 허용 오차 이내, 체결마킹으로 이완 방지한다.
주의 : 볼트 체결은 윤활 조건에 따라 목표 토크가 변한다. 윤활제 사용 여부를 작업계획서에 명시하고 동일 조건으로 관리한다.

8.1 볼트 체결 토크 관리(예시 양식)

■ 볼트 체결 기록표(예시) - 위치: 마스트 M1~M3 - 규격: M30(강도 10.9) / 와셔 2매 - 윤활: 미사용(건식) - 목표 토크: 제조사 지침 값 적용 - 측정장비: 디지털 토크렌치 - 체결 순서: 교차 대각 체결 → 최종 토크 - 측정값: #1 ○○ N·m / #2 ○○ N·m / ... - 확인자: 품질검사원 서명 

9. 해체 작업 절차(표준 순서)

  1. 하중 제거: 훅·트롤리·지브 끝단 잔류 하중 제거한다.
  2. 전기 차단: 주전원 차단·잠금표시(LOTO) 실시한다.
  3. 카운터웨이트 제거: 지정 순서·중량 확인 후 인양한다.
  4. 지브·카운터지브 해체: 핀·볼트 해체 순서 준수, 이탈 방지용 세컨더리 결속 사용한다.
  5. 턴테이블 분리: 회전부 고정 후 분리한다.
  6. 마스트 단계적 분해: 상부부터 한 섹션씩, 가이드 로프 사용, 수평 유지한다.
  7. 베이스 및 앵커 해체: 잔재물 제거, 구멍 메움·복구한다.
  8. 폐기·반출: 구성품 손상 여부 표기 후 적치·반출한다.
주의 : 해체 시 중량 중심이 변동된다. 각 부재의 무게·인양 균형점을 사전 표시하고 경사 인양을 금지한다.

10. 리깅·인양 안전

  • 슬링 각도는 가능한 60° 이상으로 유지한다. 각도가 작아질수록 슬링 장력은 증가한다.
  • 샤클 핀은 하중방향과 직각으로 배치한다. 핀 나사부는 완전 체결 후 안전핀을 사용한다.
  • 양중 계획서에 인양 반경, 지면 지지력, 보조장비 허용하중을 포함한다.
  • 신호수 단일화: 무전 채널 지정, 표준 수신호 표준안을 게시한다.

10.1 슬링 장력 간단 계산 예시

■ 등분할 2가닥 슬링 장력(예시) - 하중 W = 2,000 kg - 각도 θ = 60° (수평 기준 각도) - 가닥 수 n = 2 - 각 가닥 장력 T = (W / (n × sinθ)) ≈ 2,000 / (2 × 0.866) ≈ 1,155 kgf - 허용하중(MBL/안전계수) 이상인지 확인 

11. 수직도·타이-인 품질관리

  • 수직도 허용오차는 구조·제원서 기준을 따른다. 측정은 토탈스테이션 또는 레이저 플럼 사용한다.
  • 타이-인은 구조체 강도·앵커 인발력 검토 후 시공한다.
  • 타이-인 간격, 브라켓 볼트 토크, 보강 플레이트 용접부 상태를 기록한다.

12. 전기·접지·안전장치

  • 전원 케이블 피복 손상·접속상태 확인한다.
  • 접지 저항 측정 후 기준 이내로 유지한다.
  • 리미트 스위치(훅 상·하한, 트롤리 끝단, 회전 제한), 과하중 제한기 시험을 기록한다.

13. 일일 점검표(설치·해체 공통)

번호점검 항목점검 방법기준결과
1기상조건풍속계 확인중지 기준 이내합/부
2작업허가서유효기간·서명유효합/부
3볼트 체결마킹·토크 샘플링이완 없음합/부
4리깅 장비슬링·샤클 식별표손상 없음합/부
5전기·접지절연·접지 측정기준 만족합/부
6안전장치기능 시험정상합/부
7출입통제펜스·표지완비합/부

14. 교육·소통·표준신호

  • 작업 시작 전 TBM에서 위험요인, 회피동선, 중지권을 재확인한다.
  • 무전 교신 규칙: 호출-응답-복창-실행-완료 보고를 표준화한다.
  • 수신호 표준안을 작업구역에 게시하고 모든 작업자는 동일 신호만 사용한다.
■ 무전 표준(예시) - 호출: "신호수, 설치팀. 준비 완료 여부 확인" - 응답: "설치팀 준비 완료" - 복창: "마스트 섹션 인양, 상승 시작" - 완료: "인양 완료, 체결 대기" 

15. 비상대응 계획

  • 작업 중지 기준 충족 시 즉시 안전한 위치로 대피한다.
  • 고소 추락·협착 발생 시 119 및 현장 응급대응팀 호출 절차를 준수한다.
  • 전원 차단, 2차 사고 방지, 현장 보존, 보고 체계를 실행한다.

16. 기록·문서 예시 서식

16.1 설치·해체 작업허가서(요지)

■ 작업허가서(요지) - 공사명/위치: - 작업구분: 설치 / 해체 - 작업기간/시간: - 책임자/감독/신호수/전기담당: - 기상 기준: 중지 기준 (풍속, 강수, 낙뢰) - 위험요인 및 대책: 전도, 추락, 낙하, 감전, 협착 - 비상연락망: 현장, 병원, 소방, 경찰 - 출입통제 계획: 펜스, 안내요원, 통제구역 - 승인: 시공사/감리 서명 

16.2 볼트 토크·수직도 검사성적서(요지)

■ 검사성적서(요지) - 측정일시: - 위치: 마스트 구간별 - 토크 목표/측정값: - 수직도 측정 장비/값: - 타이-인 설치 위치/간격/토크: - 이상 유무/조치: - 확인자 서명: 

17. 자주 발생하는 불안전 사례와 예방

  • 볼트 재체결 누락: 교차 체결·마킹제 도입으로 예방한다.
  • 슬링 각도 과소: 스프레더빔 사용으로 각도를 확보한다.
  • 무전 혼선: 단일 채널 고정, 통신 체크리스트 운영한다.
  • 풍속 과소평가: 상부 풍속계 필수,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 야적·운반 중 손상: 완충재·전용 거치대 사용한다.

18. 설치·해체 단계별 체크리스트(현장 투입용)

■ 단계별 체크리스트 [사전] ☐ 계획서 승인 ☐ 교육(TBM) ☐ 장비 점검 ☐ 기상 확인 [설치] ☐ 베이스·앵커 수평/토크 ☐ 마스트 수직도 1차 ☐ 턴테이블 회전부 확인 ☐ 지브/카운터지브 순서 준수 ☐ 카운터웨이트 적치 기록 ☐ 전기 연결·안전장치 시험 ☐ 타이-인 설치 기록 ☐ 수직도 최종/토크 재확인 [해체] ☐ 잔류하중 제거 ☐ LOTO ☐ 카운터웨이트→지브→마스트 역순 ☐ 핀/볼트 관리, 이탈 방지 ☐ 반출·보관 체크 

19. 현장 최적화 팁

  • 부품 QR 라벨링으로 입·출고와 검사 이력을 연동한다.
  • 체결부 마킹 색상 코드를 층·구간별로 다르게 사용한다.
  • 타이-인 브라켓에 재토크 일정 스티커를 부착한다.
  • 무전 헤드셋은 소음 억제 기능을 사용한다.
주의 : 임의 설계 변경·부품 대체는 금지한다. 제조사 승인 없는 변경은 구조적 안전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20. 품질·안전 성과 지표(KPI) 예시

  • 체결 불량률(건/섹션): 목표 0.5% 이하로 관리한다.
  • 수직도 재작업률: 목표 0%를 유지한다.
  • 기상 중지 준수율: 100% 준수한다.
  • TBM 참석률: 100% 준수한다.

FAQ

설치·해체 중 풍속 기준을 어떻게 운영하나?

설치·해체 단계에서는 순간풍속 10 m/s 이상 또는 평균풍속 8 m/s 이상이면 즉시 작업을 중지한다. 상부 풍속계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풍속 변동성이 큰 경우 관측 주기를 5분 이내로 단축한다.

볼트 토크는 어느 정도로 관리하나?

제조사 제원서의 목표 토크를 우선한다. 윤활 조건, 와셔 수, 나사산 상태에 따라 목표 값이 변하므로 동일 조건을 유지하고 디지털 토크렌치로 교차 체결 후 최종 토크를 적용한다.

타이-인 설치 간격은 어떻게 검토하나?

구조계산 또는 제조사 제시 기준을 따른다. 벽체 강도와 앵커 인발력, 브라켓 형식, 풍하중을 반영하여 위치·간격을 결정하고, 설치 후 토크·용접상태를 기록한다.

해체 순서는 설치의 역순이면 충분한가?

원칙적으로 역순이 맞지만 잔류하중 제거, 무게중심 변화, 고정 장치 해제 순서 등 해체 특화 위험요인을 반영해야 한다. 별도의 해체 계획서와 체크리스트를 사용한다.

무전 교신 오류를 줄이는 방법은?

단일 채널 고정, 호출-응답-복창-실행-완료의 표준 절차를 적용하고, 작업 시작 전 통신시험을 실시한다. 백업 신호수와 수신호 표준안을 현장에 게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