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가시설 해체 작업 전 과정에서 단계별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정량·정성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실행 가능한 통제대책을 수립·검증할 수 있도록 현장 적용 중심의 실무 지침과 양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1. 가시설 해체 위험성평가의 범위와 원칙
가시설 해체 위험성평가는 해체 대상 구조, 해체 공법, 장비·인력 구성, 주변 환경조건을 포함하는 작업 시스템 전반을 대상으로 수행한다. 사전조사→계획수립→단계별 JSA(Job Safety Analysis)→통제대책 설계→시행·모니터링→성과검토의 순환 구조로 관리한다. 정량평가는 발생가능성(L)과 피해심각도(S)의 곱으로 위험도(R)를 산정하고, 정성평가는 체크리스트·전문가 회의로 보완한다. 법정 기준·제원서·장비 매뉴얼·현장 계측을 근거로 삼되, 불확실성은 보수적으로 가정한다.
2. 단계 구분과 위험요인 개요
해체 위험성평가는 다음 8단계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 사전조사·현황 계측 단계이다.
- 해체계획·작업허가 단계이다.
- 가력해체 전 준비·보강 단계이다.
- 부재 분리·절단 단계이다.
- 인양·하역 단계이다.
- 운반·적재·반출 단계이다.
- 부산물 처리·청소 단계이다.
- 복구·잔여 위험 제거 단계이다.
각 단계는 붕괴·전도·낙하·추락·협착·충돌·전기·화재폭발·유해물질 노출·소음진동·기상·교통 및 타공정 간섭 등의 위험을 포함한다.
3. 위험도 평가 기준 설정
현장 공통 지표로 발생가능성과 피해심각도를 1~5 등급으로 정의한다. 등급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지표 | 등급 | 기준 정의 | 예시 |
|---|---|---|---|
| 발생가능성(L) | 1 | 극히 드묾이다. | 10년 1회 미만 사건이다. |
| 2 | 드묾이다. | 연 1회 미만 사건이다. | |
| 3 | 가끔 발생이다. | 월 1회 수준 사건이다. | |
| 4 | 자주 발생이다. | 주 1회 수준 사건이다. | |
| 5 | 매우 빈발이다. | 일 1회 이상 사건이다. | |
| 피해심각도(S) | 1 | 경미하다. | 응급처치 수준이다. |
| 2 | 약간 심각하다. | 단기 치료·경미 물적피해이다. | |
| 3 | 중대하다. | 입원 치료·장비 손상이다. | |
| 4 | 매우 중대하다. | 영구 장애·부분 붕괴이다. | |
| 5 | 치명적이다. | 사망·전면 붕괴이다. |
위험도 R은 R=L×S로 산정한다. 위험 허용기준은 R≥15는 즉시 개선, 8≤R≤12는 관리·감소조치, R≤6은 모니터링으로 정의한다.
4. 단계별 위험요인 식별 체크리스트
| 단계 | 대표 위험요인 | L | S | R | 핵심 통제대책 |
|---|---|---|---|---|---|
| 사전조사·계측 | 도면 불일치, 지중매설물, 잔존하중 미확인이다. | 3 | 4 | 12 | 현황 실측, 철근탐사·배관탐지, 레벨·변위 기준선 설정이다. |
| 계획·허가 | 공법 오선정, 장비 용량 미스매치이다. | 2 | 5 | 10 | 해체 시퀀스 검토, 장비 허용하중 검증, 작업허가제 운영이다. |
| 준비·보강 | 가설지지 부족, 지반지지력 저하이다. | 3 | 5 | 15 | 서포트·버팀 보강, 지반플레이트·매트 설치, 하중경로 재검토이다. |
| 절단 | 낙하·비산, 절단열로 인한 화재·배선 손상이다. | 4 | 4 | 16 | 낙하방지 슬링, 스파크 차단포, 화재감시원·소화기 배치이다. |
| 인양·하역 | 과하중, 슬루잉 충돌, 신호소통 불량이다. | 3 | 5 | 15 | 리깅계산서, 와이어 앵글 보정, 신호수 지정·무전 사용이다. |
| 운반·반출 | 전도·낙하물, 동선 교차 교통사고이다. | 3 | 3 | 9 | 동선 분리, 래싱·체인바인더 사용, 유도원 배치이다. |
| 부산물 처리 | 분진·소음·실리카 노출이다. | 4 | 3 | 12 | 습식집진, 국소배기, 호흡용 보호구 지정이다. |
| 복구·잔여 위험 | 개구부 추락, 잔존전류, 매립못·철근 상해이다. | 3 | 3 | 9 | 개구부 덮개·난간, 전기검전, 잔재물 전량 반출 확인이다. |
5. 통제대책 우선순위(위험 제어 계층) 적용
- 제거이다. 위험한 공정을 다른 공법으로 대체하여 제거한다.
- 대체이다. 고위험 절단을 볼트해체로 전환한다.
- 공학적 통제이다. 가설지지, 낙하방지망, 방음·방진 설비를 설치한다.
- 행정적 통제이다. 작업허가제, 출입통제, 신호체계, TBM 교육을 시행한다.
- 개인보호구이다. 헬멧, 안전대, 방진마스크, 난연장갑을 지급한다.
6. 구조안전 관점의 핵심 검토 포인트
- 하중경로이다. 해체 순서에 따른 하중 재분배를 검토한다.
- 지지계통이다. 서포트, 스트럿, 브레이싱의 좌굴·전단 안전율을 검토한다.
- 연결부이다. 핀·볼트·용접부의 잔존강도를 확인한다.
- 지반이다. 크레인 아웃리거 지반지지력과 침하를 검토한다.
- 동적효과이다. 인양·낙하시 충격계수·스윙을 반영한다.
7. 인양·리깅 안전계산 기본식 예시
# 리깅 각도보정 계수 # 슬링 각도 θ(수평과의 각)일 때 부재당 장력 T # W: 하중, n: 슬링 수 T = W / (n * sin(θ))
샤클·슬링 허용하중 검토
WLL: 허용하중, SF: 안전율
WLL_required ≥ T × SF
예시
W = 4,000 kgf
n = 2
θ = 60°
SF = 1.5
T = 4000 / (2 * sin60) = 2309 kgf
WLL_required = 3464 kgf 이상
8. 절단·분리 작업 표준 통제대책
- 분리 전 이중 고정이다. 절단 대상 부재에 보조 슬링과 임시받침을 설치한다.
- 전열·불꽃 관리이다. 불연성 차단포, 스파크 방지 커튼, 화재감시원을 운용한다.
- 케이블·배관 식별이다. 절단 경로 내 전력·통신·가스 라인을 격리한다.
- 강재 절단은 상부에서 하부 순으로 한다. 콘크리트는 소분 절단 후 낙하방지망 내부로 인양한다.
9. 기상·주변 환경 리스크 기준
| 항목 | 작업중지 기준 | 대체 조치 |
|---|---|---|
| 풍속 | 10 m/s 이상 인양·고소 작업 중지이다. | 지상 작업 전환, 크레인 붐 하강, 장비 결속이다. |
| 강우 | 시간당 10 mm 이상 절단·전기작업 중지이다. | 방수차단, 활선 금지, 미끄럼 방지 매트이다. |
| 시정 | 200 m 미만 신호수 배치 강화이다. | 유도등, 재해구역 조명 증설이다. |
10. 단계별 JSA 시트 작성 예시
작업명: 가시설 보강빔 해체 위치: 동측 가시설 존 A 일시: 2025-10-20 08:00~17:00 인원: 반장1, 신호수2, 절단공2, 리거2, 크레인오퍼1
[단계-위험-결과-현존조치-L-S-R-개선대책]
출입통제-외부인 유입-충돌/협착-휀스/감시-2-3-6-QR코드 체크인과 회색조끼 구분
리깅-슬링각 과소-부재낙하-2본 슬링/샤클 핀타이-3-5-15-스프레더빔 적용, 각도≥60°
절단-스파크 비산-화재/화상-차단포/소화기/감시-3-4-12-산소농도측정과 열감지기 설치
인양-과하중-붐전도-하중표 준수-3-5-15-시험인양 200mm, 풍속 8m/s 경계
반출-동선교차-교통사고-유도원 배치-3-3-9-일방통행 설정, 러버콘 5m 간격
책임자 승인: 현장소장 서명
11. 모니터링·계측 운용
- 변위계·크랙게이지를 주요 지점에 설치한다.
- 인양 중 변위 한계값을 10 mm로 설정하고 초과 시 즉시 중지한다.
- 소음·분진은 실시간 측정기로 기록하고 기준 초과 시 습식·방음패널을 증설한다.
12. 교육·의사소통 체계
- 일일 TBM에서 당일 해체 시퀀스, 핫스팟, 중지기준을 공유한다.
- 무전 통신은 채널 고정, 호출 부호, 신호수 수신 확인 규칙을 사용한다.
- 작업중지권을 명문화하고 근로자 교육을 완료한다.
13. 비상대응 절차
- 즉시 중지·대피이다. 신호수 구두 경보와 무전 일제 중지를 시행한다.
- 격리·차단이다. 전원·가스 밸브를 폐쇄하고 낙하구역을 봉쇄한다.
- 초동조치이다. 소화·구조·응급처치를 실시한다.
- 보고·재개 기준이다. 사고보고 체계에 따라 보고하고 재개는 원인 제거·재평가 후 승인한다.
14. 현장 적용용 체크리스트 샘플
| 항목 | 점검 포인트 | 기준 | 적합 | 부적합 | 조치 |
|---|---|---|---|---|---|
| 도면·시퀀스 | 최신본 배포·이해도 확인이다. | 서명본 비치이다. | |||
| 장비 용량 | WLL·하중표 확인이다. | 여유율 ≥ 1.25이다. | |||
| 리깅 | 각도·샤클 핀 체결이다. | 각도 ≥ 60°이다. | |||
| 개구부 | 덮개·난간·로프 설치이다. | 하중 200 kgf 지지이다. | |||
| 화재감시 | 감시원·소화기·스파크 차단포이다. | 작업 중·후 30분 감시이다. | |||
| 기상 | 풍속·강우 실시간 기록이다. | 중지 기준 준수이다. | |||
| 출입통제 | 휀스·게이트·라바콘·표지이다. | 동선 분리 완료이다. |
15. 단계별 기록·증빙 템플릿
# 해체일지 기록 필드 날짜, 날씨, 풍속최대, 작업범위, 장비/부속, 해체량, 이상징후, 중지/재개, 사진번호, 담당서명
위험성평가 개정 이력
버전, 사유(공법변경/장비변경/기상/사고), 주요변경, 승인자, 시행일
작업허가서 필수 첨부
최신 도면, 리깅계산서, 장비점검표, TBM 서명부, 가설안전점검표, 비상대응 연락망
16. 사례형 예시: 강재 H빔 가시설 해체
조건은 H-400×400×13×21 길이 6 m, 자중 1,100 kg, 체결볼트 12-M24이다. 해체 순서는 ① 보조 슬링 설치 ② 볼트 하부 50% 제거 ③ 스프레더빔 연결 ④ 잔여 볼트 제거 ⑤ 인양 및 분리 ⑥ 지상 하역이다. 위험 포인트는 슬링각 60° 유지, 회전모멘트 억제를 위해 두 점 리깅과 테그라인 사용, 개구부 추락방지망 설치이다. 평가 결과 L=3, S=4, R=12로 관리·개선 대상이며, 개선대책으로 스프레더빔 적용과 시험인양을 수행한다.
17.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 원·하도급 협의체에서 해체 순서, 장비 진출입, 소음·분진 대책을 합의한다.
- 주민 안내문에 작업 시간, 소음원, 민원 연락처를 명시한다.
- 공정 간섭 시 우선순위를 문서화한다.
18. 잔재물·폐기물 관리
- 철재는 규격별로 분류적재하고 체인바인더로 고정한다.
- 콘크리트 잔재는 습식 파쇄 후 집진하여 비산먼지를 저감한다.
- 유해물질 의심 자재는 별도 용기에 밀봉 표시한다.
19. 성과지표(KPI)와 사후평가
- 중지·재개 횟수, 근접사고 보고 건수, 재작업률, 장비 가동률을 지표로 삼는다.
- R 고위험 항목의 잔존 건수를 주간 단위로 0에 수렴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교훈 학습을 다음 프로젝트 표준작업서에 반영한다.
20. 현장 배포용 요약 카드(한 장)
[가시설 해체 안전 5대 핵심] 1. 설계대로 순서 유지, 임의 변경 금지 2. 리깅 각도≥60°, 시험인양 200mm 3. 개구부 전 구간 덮개·난간 4. 불꽃 작업 시 화재감시원·30분 사후감시 5. 풍속≥10 m/s, 강우≥10 mm/h 중지
비상연락: 소장/안전/장비/119, 집합지점: 북문 주차장
FAQ
해체 순서를 바꾸면 안 되는가?
하중경로가 변해 예기치 않은 국부 좌굴·전도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금지한다. 변경이 필요하면 구조검토와 위험성평가를 재수행하고 승인 후 시행한다.
풍속 기준은 장비마다 다른가?
그렇다. 타워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고소작업대는 제조사 매뉴얼 기준을 우선 적용한다. 현장 공통 기준보다 엄격한 장비 기준이 있으면 장비 기준을 따른다.
분진 관리는 어떤 순서로 적용하나?
공학적 통제(습식·집진)→행정적 통제(시간·동선 분리)→개인보호구(N95 이상) 순으로 적용한다.
시험인양은 왜 필요한가?
부재가 완전 분리되지 않았거나 무게 중심이 어긋난 상태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함이다. 지면에서 200 mm 이내에서 정지·점검 후 본 인양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