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안전감사 체크리스트 총정리: 건설·제조 공통 안전감사 항목 모음

이 글의 목적은 다양한 업종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현장 안전감사 항목을 체계적으로 모아 점검 효율을 높이고 재해를 예방하도록 돕는 것이다.

1. 감사 범위와 진행 절차 표준

현장 안전감사는 계획→준비→실사→보고→시정·검증의 순서로 진행한다.

단계주요 산출물담당권장 기간
계획감사계획서(범위·기준·샘플링·일정)감사팀장D-10~D-7
준비점검표, 인터뷰 리스트, 문서요청서감사원D-7~D-1
실사현장점검 기록, 인터뷰 노트, 사진증적감사팀D-Day
보고지적사항 목록, 위험도 등급, 개선기한감사팀장D+1~D+3
시정·검증시정조치서, 재확인 체크리스트현장책임자·감사팀D+7~D+30
주의 : 감사 전 일일 작업계획서와 작업허가서 발급 현황을 확보하지 않으면 고위험 작업의 적합성을 판정하기 어렵다.

2. 감사 채점·판정 기준

항목별 합치 여부를 0~2점으로 채점한다.

점수정의예시
2점요구사항 완전 충족장비 점검표 최신·서명 완료
1점부분 충족서식 사용이나 서명 일부 누락
0점미충족절차 부재, 작업허가서 미발급

총점 대비 합격 기준은 85% 이상으로 권장한다.

3. 공통 필수 문서 점검 항목

문서 적합성은 현장 안전문화 수준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이다.

문서확인 포인트빈도
안전보건경영방침최신화, 현장 게시 여부반기
위험성평가서공정·공종별 최신 개정, 잔여위험 저감대책분기
작업허가서(밀폐·고소·화기 등)사전 확인·가스측정·격리·감시자 기록매 작업
교육 기록법정·특별·TBM 이수시간, 대상별 서명
장비 점검표일일 점검, 결함 시 사용중지·수리 기록일일
비상대응계획서연락체계, 훈련 기록, 자원 목록반기

4. 현장 안전감사 항목 모음(공통)

4.1 일반관리·리더십

  • 현장책임자의 안전방침 설명 가능 여부를 인터뷰로 확인한다.
  • 일일 TBM 회의록과 위험예지활동(KYT) 기록을 샘플링한다.
  • 하도급사 안전협의체 운영 회의록과 참석률을 검증한다.

4.2 출입·보안·방문자 관리

  • 출입증 발급, 안전오리엔테이션 이수 후 현장출입 여부를 확인한다.
  • 방문자 PPE 지급 및 동행 절차를 점검한다.

4.3 하우스키핑·정리정돈

  • 통로 폭 확보, 자재 적치 높이, 낙하·전도 위험을 확인한다.
  • 폐기물 분리수거와 누출·비산 방지 조치를 확인한다.

4.4 표지·라벨링

  • 위험표지, 피난유도표지, 잠금표시, 화학물질 라벨이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5. 설비·공구·전기 안전

5.1 이동식 전동공구

  • 절연상태, 누전차단기 사용, 비상정지 스위치 작동을 확인한다.
  • 연마석 파손·가드 장착 여부를 확인한다.

5.2 전기설비

  • 임시전력 배선 보호, 차단기 용량 적정성, 접지 연속성을 점검한다.
  • 정비 시 LOTO(잠금표시) 절차 이행 여부를 확인한다.
주의 : LOTO 미이행 상태에서의 정비는 치명적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6. 화재·폭발 예방

  • 화기작업 허가, 방염포, 차광막, 불티비산 방지, 화재감시자 배치 여부를 확인한다.
  • 소화기 비치 위치·압력·점검표, 임시소화설비 유량·커버리지 확인을 수행한다.

7. 밀폐공간 안전

  • 작업 전·중·후 산소·유해가스 농도 측정 기록을 확인한다.
  • 송풍기 환기, 감시인 배치, 구조세트·삼각대·구명줄 구비 상태를 점검한다.
밀폐공간 최소 측정 기준(예시) - O₂: 18.0~23.5% 유지 - H₂S: 10 ppm 미만 - CO: 25 ppm 미만 - LEL: 10% LEL 미만 

8. 추락방지·추락물 방지

  • 안전난간 높이·중간난간·발끝막이 설치를 확인한다.
  • 개구부 덮개 강도·고정, 표지 부착 여부를 확인한다.
  • 개인추락방지장치(풀바디 하네스, 랜야드 이중걸이, 라이프라인) 사용을 점검한다.
항목기준 요약확인 방법
안전난간상부난간 높이 약 1.1 m 수준, 중간난간·발끝막이치수 실측·체결상태 확인
개구부덮개 하중 견디는 견고한 재질, 고정·표지개구부 전수 확인
하네스풀바디, 제조사 권장 수명·점검표라벨·결함 점검
랜야드에너지흡수형, 이중걸이 절차 준수고정점 강도·고리 상태

9. 기계·양중·크레인

  • 크레인 월간점검, 권과방지, 훅 세이프티래치, 풍속기 기준을 확인한다.
  • 와이어로프 마모율, 샤클·슬링 각도·용량, 리프팅 플랜 승인 여부를 점검한다.
주의 : 태풍특보·강풍 예보 시 양중작업은 중지하고 붐 접기·핀 체결 상태를 확인한다.

10. 거푸집·비계·출입구조물

  • 비계 기초·수평·수직·브레이싱, 연결핀 체결, 작업발판·난간을 확인한다.
  • 가시설 해체 시 단계별 위험성평가와 감리·안전관리자 입회 절차를 점검한다.

11. 토공·굴착·흙막이

  • 굴착 깊이별 흙막이 지보공, 배수·토사 적치 거리, 붕괴 위험 표지를 점검한다.
  • 폭우 예보 시 배수로·침사지 확보, 계측기 경보값 조정 현황을 확인한다.

12. 화학물질·가스 관리

  • 용기 전도방지, 전용 보관대, 실린더 캡, 체인 고정, 가스검지기 보정 기록을 확인한다.
  • MSDS 비치, 라벨(GHS), 혼재금지, 환기량·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를 점검한다.
화학물질 보관 체크(예시) - 산/염기 분리, 산화제/가연물 분리 - 2차 유출방지(트레이) 설치 - 최대 보관량 표기 및 초과금지 - 유해화학물질 취급자 교육 이수 확인 

13. 개인보호구(PPE)

  • 안전모 충격흡수 성능 적합, 턱끈 사용, 보호안경·방진마스크 적정 등급 사용을 확인한다.
  • 소음 구역의 귀마개·귀덮개 지급과 적합성 훈련을 점검한다.

14. 환기·가스측정·격리

  • 국소배기 설비 성능, 덕트 누설, 필터 교체주기, 배출농도 기록을 확인한다.
  • 라인 격리·블라인드 플랜지 설치 기록과 테스트 결과를 점검한다.

15. 교통·물류 동선 안전

  • 차량 일방통행, 보행자 분리, 신호수 배치, 백호경보기 작동을 확인한다.
  • 상하차 구역 추락방지 난간·차륜정지 고임목 사용을 점검한다.

16. 응급·재난 대비

  • AED·구급함 배치 기준 충족, 비상연락망 24시간 가용성, 야간표지 시인성을 점검한다.
  • 화재·누출·붕괴 등 시나리오별 모의훈련 결과와 개선조치를 확인한다.

17. 환경·보건 관리

  • 소음·분진·비산먼지 억제, 세륜시설 운영기록, 폐수·폐기물 법정서류를 점검한다.
  • 온열질환·한랭질환 대비 음수·그늘막·휴식시간제를 확인한다.

18. 하도급·협력사 관리

  • 입·퇴장 심사 체크리스트, 교육 이수, 장비등록, 사고보고 체계를 확인한다.
  • 도급 안전보건관리비 사용 계획·집행 증빙을 점검한다.

19. 인터뷰·관찰 체크 포인트

대상질문 포인트합치 판단
현장소장최근 재해·히어리 보고, 최상위 위험 3가지구체적 수치·조치 제시
반장/기능공오늘 작업의 핵심 위험·보호조치허가서·TBM 일치
신규근로자비상시 대피로·집결지 인지현장 배치도와 일치
보건관리자건강진단·소음지도·화학물질 노출평가기록 최신·정합성

20. 증적 수집·사진 원칙

  • 전체→중간→접사 순으로 촬영하여 위치·상태·결함 디테일을 모두 확보한다.
  • 사진 파일명에 날짜_장소_항목_연번 규칙을 적용한다.

21. 고위험 작업 전용 점검표 모음

21.1 화기작업

[화기작업 체크 10문] 1) 허가서 유효기간 내 발급 2) 가연물 반경 10 m 제거 또는 방염 3) 소화기 1대/작업점 최소 비치 4) 불티 차단막, 방염포 설치 5) 화재감시자 상시 배치 6) 인근 가스·유증기 측정 7) 환기·배기 가동 8) 작업중지 기준 사전 공지 9) 잔불감시 30분 이상 10) 작업자 교육 이수 

21.2 밀폐공간

[밀폐공간 체크 10문] 1) 허가서·작업계획 승인 2) 격리·배관 블라인드 설치 3) 산소·유해가스 연속측정 4) 환기량 산정·송풍기 가동 5) 감시인 지정·구조세트 비치 6) 통신수단 확보 7) 비상구조계획 숙지 8) 불활성 가스 주입 금지 9) 전기 방폭 등급 확인 10) 출입기록 관리 

21.3 고소작업차·비계

[고소작업 체크 10문] 1) 장비 일일점검 2) 전도방지 지면상태 확인 3) 낙하방지구역 설정 4) 하네스·랜야드 체결 5) 기상 기준 준수(풍속) 6) 접촉전선 이격거리 7) 과부하·경보장치 정상 8) 이동 시 작업대 하강 9) 비계 연결핀 체결상태 10) 비상하강 장치 숙지 

22. 샘플링 전략과 데이터 분석

  • 문서 샘플은 항목당 10~20%를 무작위로 추출하되, 최근 30일 내 자료를 우선한다.
  • 관찰 데이터는 시간대·작업종류별로 균형 있게 수집한다.
  • 재해·근접사고 히트맵을 작성하여 공간·시간 클러스터를 도출한다.

23. 재발방지·시정조치 관리

구분기한책임검증 방법
즉시조치당일작업반장현장 재확인·사진
단기개선7일현장소장서류·교육기록 검토
중장기 개선30~90일본사 안전팀추적감사·성과지표

24. 안전감사 요약보고서 템플릿

안전감사 요약보고서(예시) - 현장명 / 일시 / 감사팀 - 총점 / 합격기준 / 판정 - 중대위험 TOP5 및 권고조치 - 법규 미준수 항목 - 즉시중지 대상 작업 - 사진부록 인덱스 - 시정조치 계획 및 기한 

25. 공종별 핵심 체크 포인트

25.1 철골·콘크리트

  • 철골 볼트 체결 토크 기록, 데크플레이트 개구부 덮개, 양중 동선 분리 상태를 점검한다.
  • 거푸집 동바리 설계도 일치, 타설 중 붕괴방지 대책을 확인한다.

25.2 전기·계장

  • 활선 접근거리 준수, 방폭기기 등급, 접지저항 측정값을 확인한다.

25.3 용접·가스

  • 역화방지기 설치·점검, 가스호스 색상·체결, 누설검사 기록을 확인한다.

26. 교육·훈련·소통

  • 신규채용자 교육, 작업전 TBM, 주간 안전보건협의체 운영성과를 점검한다.
  • 다국어 안전표지, 통역 지원, 사진·도면 기반 브리핑 자료를 확인한다.

27. 계측·모니터링

  • 가스검지기 교정주기, 소음·분진 측정, 크레인 풍속 모니터링 로그를 확인한다.
  • 흙막이 계측 경보 발령·해제 절차와 후속점검 기록을 점검한다.

28. 계절·기상 리스크

  • 혹서기 물·그늘·휴식, 열응급 키트, WBGT 기준 운영을 확인한다.
  • 혹한기 결빙 방지, 보행 동선 미끄럼 방지, 동파 대비 계획을 점검한다.
  • 태풍·폭우 대비 장비 고정, 배수로 확보, 전도·붕괴 위험 통제를 확인한다.

29. 현장 안전감사 마스터 체크리스트(요약표)

분류핵심 점검 항목판정비고
문서·관리위험성평가 최신, 허가서 체계, 교육 기록□2 □1 □0
전기·LOTO차단·표시, 접지, 임시배선 보호□2 □1 □0
화재·화기허가, 감시자, 소화설비□2 □1 □0
밀폐공간측정, 환기, 감시·구조□2 □1 □0
추락방지난간, 개구부, 하네스·랜야드□2 □1 □0
양중·크레인점검, 풍속, 슬링·샤클□2 □1 □0
비계·가시설연결핀, 브레이싱, 발판□2 □1 □0
굴착·흙막이지보공, 배수, 계측□2 □1 □0
화학물질MSDS, 라벨, 보관·환기□2 □1 □0
PPE안전모·보안경·호흡보호구 적합□2 □1 □0
교통동선차량·보행 분리, 신호수□2 □1 □0
응급·재난AED·구급함, 대피계획, 훈련□2 □1 □0
환경보건소음·분진, 폐기물, 비산먼지□2 □1 □0
하도급입퇴장 심사, 교육, 관리비□2 □1 □0

30. 현장 배포용 단일 페이지 점검표(복사 사용)

현장 안전감사 일일 체크(한 페이지) 현장: ______ 일자: ______ 감사자: ______ ① 문서·허가: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② TBM·교육: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③ 전기·LOTO: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④ 화기·소화: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⑤ 밀폐·가스: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⑥ 추락·개구: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⑦ 비계·가시설: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⑧ 양중·크레인: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⑨ 화학·환기: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⑩ 교통·동선: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⑪ 응급·재난: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⑫ 환경·보건: □적합 □부분 □부적합 비고: ____________ 즉시중지 필요 작업(Y/N): ____ 중대위험 TOP3: 1) ______ 2) ______ 3) ______ 시정조치 담당/기한: ______ / ______ 

31. 안전지표·성과 관리

  • 선행지표: TBM 참여율, 위험성평가 수정건, 교육이수율, 즉시시정 비율을 추적한다.
  • 후행지표: 사고율, 근접사고 보고 건수, 법규 위반 건수를 모니터링한다.

32. 감사 품질 확보 팁

  • 감사원 교차배치로 편향을 최소화한다.
  • 관찰·인터뷰·문서 3각 검증으로 사실성을 높인다.
  • 지적사항은 원인·대책·기한·책임을 명확히 기재한다.
주의 : 사진만으로는 법적 증빙이 부족할 수 있다. 허가서·측정기록·서명본을 반드시 함께 확보한다.

FAQ

현장 안전감사 주기는 어떻게 설정하나?

중위험 현장은 월 1회, 고위험 공정이 많은 현장은 주 1회 이상을 권장한다.

감사 시 즉시중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생명·신체 중대위험이 즉시 발생 가능한 상황, 법정 필수 조치 미이행, 보호장치 무력화 상태를 기준으로 즉시중지를 판단한다.

하도급사에 동일 기준을 적용해도 되나?

원·하도급 구분 없이 동일 기준을 적용한다. 단, 위험성평가와 교육은 하도급 특성을 반영해 보완한다.

사진 촬영이 제한되는 구역은 어떻게 증적을 남기나?

도면·스케치·현장책임자 확인서·측정값 캡처 등 비촬영 증적을 병행한다.

점수 기준은 현장에 따라 조정 가능한가?

가능하다. 단, 기준 변경 시 사전에 공지하고 이전 결과와 비교 가능한 환산식을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