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작업 작업허가서 샘플 양식과 작성 방법(현장에서 바로 쓰는 표준 가이드)

이 글의 목적은 건설·제조·설비 유지보수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위험작업 작업허가서 표준 양식과 작성 요령을 제공하여 작업 전 안전확보 수준을 체계적으로 높이는 것이다.

작업허가제 개요와 적용 범위

작업허가제는 고위험 작업을 착수하기 전에 위험요인을 식별하고, 통제조치를 확인하며, 승인권자 검토를 거쳐 작업을 허용하는 관리 절차이다.

적용 범위는 다음과 같다.

  • 용접·절단 등 화기작업이다.
  • 밀폐공간(탱크·맨홀·피트) 출입 작업이다.
  • 고소작업대·비계·로프 접근 등 2m 이상 추락 위험 작업이다.
  • 전기작업(활선·단전·LOTO 포함)이다.
  • 중량물 취급·양중·크레인 작업이다.
  • 굴착·개구부 작업 및 토공이다.
  • 화학물질 취급·이동·혼합·투입 작업이다.
  • 시운전·시험가동·에너지 격리 해제 작업이다.
주의 : 허가서 면제 기준을 현장에서 임의로 정하지 말아야 한다. 모든 고위험 작업은 허가 대상임을 전제로 검토해야 한다.

작업허가 흐름도(One-Page)

  1. 작업요청 접수 및 작업범위 정의하다.
  2. 현장조사·위험성평가 시행하다.
  3. 격리·차단·환기·가드 등 통제조치 계획 수립하다.
  4. 작업허가서 초안 작성하다.
  5. 관련 부서 검토(설비·전기·소방·안전) 받다.
  6. 승인권자 최종 서명·교부하다.
  7. 작업자 TBT(작업전 안전회의) 실시하고 서명 받다.
  8. 작업 수행 중 순찰·가스측정·기상 모니터링 하다.
  9. 작업 완료 후 원상복구·잠금 해제·폐기물 처리 확인하다.
  10. 허가서 회수·보존·사후평가(교훈 도출) 수행하다.

작업허가서 표준 양식(빈 서식)

아래 표는 인쇄 또는 전자양식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분기재 내용
문서번호YYYY-MM-DD-현장코드-일련번호 기입하다.
작업명예: A동 지하1층 소화배관 용접 보수 작업이다.
작업위치공사명·동·층·좌표·설비번호 등 구체적으로 기입하다.
작업기간시작일시~종료일시, 연장 시 재승인 절차 명기하다.
작업범위공정 단계·장비·자재·해당 배관/회로 구간을 한정한다.
작업책임자성명·연락처·소속, 현장 상주 여부 표기하다.
참여인원역할별 인원수(작업자, 감시인, 신호수, 화기감시자) 기록하다.
협력업체업체명·사업자등록번호·교육이수 여부 첨부하다.
유형선택화기 / 밀폐 / 추락 / 전기 / 양중 / 굴착 / 화학 중 선택하고 복수 체크 가능하다.
위험성평가 요약HAZID 목록, RPN 또는 등급(고/중/저)과 우선 통제조치 기입하다.
통제조치(사전)LOTO, 밸브 블라인드, 단전·단수, PURGE, 환기량, 가드 설치, 추락 방지, 화재감시, 화재감지 해제·복구 계획 기입하다.
보호구안전모, 안전대, 난연복, 용접면, 절연장갑, 송기마스크 등 구체적 지정하다.
가스측정측정기기 모델·교정일, 항목(O₂, LEL, CO, H₂S 등), 기준치, 측정값, 빈도 기록하다.
화기관리화기감시자 지정, 소화기 종류·개수, 불티 비산 방지, 방염포·불티받이 설치 확인하다.
전기안전절연, 활선 접촉 방지, 접지, 누전차단기 시험 기록하다.
양중·신호와이어로프 검사, 훅세이프티, 중량/반경, 지반지지력, 신호수 배치 기입하다.
비상계획가까운 비상구, 대피로, 비상연락망, 구급함·AED 위치, 응급 이송계획 명시하다.
기상·환경풍속·강수·온열지수 기준, 분진·소음 억제대책, 배출·폐기물 처리 계획이다.
허가조건작업중지 기준, 모니터링 주기, 사진기록 등 특별 조건 명기하다.
교육·TBT작업자 서명부 첨부, 핵심 위험·역할·비상절차 브리핑 확인하다.
검토·승인작성자, 안전부서 검토, 설비/전기/소방 검토, 최종 승인권자 서명란이다.
완료·복구잔불·가스 재측정, 격리 해제 체크, 원상복구, 허가서 회수 및 보존 기간 기입하다.
주의 : 전자양식 사용 시 필수 입력값에 누락 방지 검증을 설정하고, 시간·위치·서명 로그를 자동 저장해야 한다.

작성 예시(샘플, 화기+밀폐 복합작업)

문서번호: 2025-10-20-PLT01-086 작업명: 소화배관 누설부 용접 보수 작업위치: 생산동 지하1층 펌프룸 P-102B 인근 배관(LINE-FW-2A) 작업기간: 2025-10-20 09:00 ~ 2025-10-20 18:00 작업범위: 2"배관 균열부 150mm 절단·보강, RT 후 보온재 재시공 작업책임자: 김00(010-1234-5678), 상주 참여인원: 작업자3, 화기감시1, 가스감시1, 신호수1 협력업체: ○○설비 주식회사(교육 이수 증빙 첨부) 유형선택: [화기] [밀폐] [추락(해당없음)] [전기(해당없음)] [양중] [굴착(해당없음)] [화학(해당없음)] 위험성평가 요약: - 불티 비산에 의한 초기화재(중) → 난연포, 비가연물 제거 10m, 소화기 2대 비치 - 산소결핍(중) → 강제환기 6회/시간, O₂>19.5% 유지, 연속측정기 사용 - 유해가스(LFL 접근)(중) → LEL 10% 미만 유지, 핫워크 중단 기준 설정 통제조치(사전): - LOTO: FW-2A 메인 밸브 2EA 잠금·태깅, 전동펌프 MCC 차단 - PURGE: N₂ 10분, 환기팬 2대 2,000 m³/h 가동 - 비산방지: 방염포 3장, 불티받이 설치 보호구: 안전모, 난연복, 용접면, 절연장갑, 보안경, 귀마개, 안전화, 송기마스크(대기질 저하 시) 가스측정: - 기기/교정: GX-□, 교정일 2025-10-10 - 기준/값: O₂(19.5~23.5%)=20.7%, LEL(<10%)=0%, CO(<25ppm)=4ppm, H₂S(<10ppm)=0ppm - 빈도: 시작 전/30분 간격/중단·재개 시마다 화기관리: 화기감시자 상주, 소화기 4.5kg ABC형 2대, 주변 가연물 반경 10m 제거 전기안전: 활선 접촉 위험 없음, 근접 설비 절연 커버 설치 양중·신호: 체인블록 1t, 샤클·아이볼트 검사 완료, 신호수 배치 비상계획: 비상구 E-3, 대피집결지 A, 구급함·AED 위치 B, 연락망 별첨 기상·환경: 실내, 분진 집진기 사용, 금속 스크랩 밀폐용기 수거 허가조건: LEL 10% 이상 또는 O₂ 19.5% 미만 시 즉시 중지 및 환기 강화 교육·TBT: 09:00~09:15 실시, 서명부 첨부 검토·승인: 작성자/안전/설비/소방 서명, 승인 2025-10-20 08:30 완료·복구: 18:10 원상복구 완료, LOTO 해제, 허가서 보존 3년

작업유형별 필수 체크리스트

유형주요 위험최소 통제조치중지 기준
화기작업 불티 비산, 가연성증기 점화, 산소농도 상승·결핍 화기감시 배치, 반경 10m 가연물 제거, 방염포, 소화기 2대 이상, 가스측정 LEL 10% 이상, 경보기 작동, 비계전도·불티확산 발견
밀폐공간 산소결핍, 유독가스, 흡인·매몰 출입허가, 연속가스측정, 강제환기, 감시인 상주, 구명장비 O₂ 19.5% 미만 또는 23.5% 초과, 독성가스 기준 초과
추락 위험 2m 이상 추락, 낙하물 개구부 덮개·난간, 안전대 이중걸이, 추락방지망, 낙하물 방지 난간·구명줄 미설치, 기상 악화(풍속 기준 초과)
전기작업 감전, 아크플래시 단전·잠금표시, 검전, 절연장비, 아크보호복, 접근구역 설정 검전 불가, 우발 재통전 가능성 확인
양중작업 전도·충돌·끼임 와이어·훅 검사, 지반 지지력 확인, 권상경로 통제, 신호수 전담 정격 초과, 풍속 기준 초과, 신호 체계 혼선
굴착작업 붕괴, 매설물 파손 지지공법, 흙막이 점검, 매설물 탐사, 출입통제 균열·침하 발생, 지하수 유입 급증
화학작업 흡입·피부노출, 반응폭주 MSDS 확인, 호환성 검토, 국소배기, 방폭기기, 유출 대비 키트 탱크 온도·압력 이상, 누출 감지

위험성평가 요약 매트릭스(현장 기입용)

번호작업단계위험원결과발생가능성중대성등급통제조치잔여위험
1비가연물 제거불티 비산초기화재339(중)반경 10m 정리, 방염포3(저)
2밀폐공간 진입산소결핍질식2510(고)환기, 연속측정, 감시인4(중)
3절단·용접가연성증기폭발2510(고)LEL 모니터링, PURGE4(중)
주의 : 등급 산정 기준은 사업장 위험성평가 절차서와 일치시켜야 하며, 색상·점수체계 변경 시 교육을 선행해야 한다.

격리·차단 및 LOTO 핵심 절차

  1. 에너지원 목록화(전기·유체·기계·중력·열) 하다.
  2. 차단 지점 식별 후 표준작업절차서대로 셧다운하다.
  3. 잠금장치·태그 부착하고 단독키 보관 규칙을 적용하다.
  4. 잔압 제거·블리딩·블라인드 플랜지 설치 여부 확인하다.
  5. 제로에너지 검증(검전·압력계·유량 0 확인) 하다.
  6. 작업구역 이격·표지·울타리로 접근을 통제하다.
  7. 작업 종료 후 원상복구 체크리스트로 순서대로 해제하다.
주의 : 공용 잠금키 사용은 금지해야 한다. 작업자 개인키 원칙을 지켜야 한다.

가스농도·대기질 측정 운영

  • 측정 항목은 최소 O₂, LEL, CO, H₂S를 포함한다.
  • 교정은 월 1회 이상 또는 제조사 권고에 따른다.
  • 측정 빈도는 시작 전·30분 간격·휴식 후 재시작 시로 설정한다.
  • 연속측정기 사용 시 경보 연동으로 작업중지 기준을 자동화한다.
중지 기준(예시): - O₂ < 19.5% 또는 > 23.5% - LEL ≥ 10% - CO ≥ 25 ppm, H₂S ≥ 10 ppm 조치: 즉시 대피 → 환기 강화 → 원인 제거 → 재측정 후 재개 승인

비상대응 계획과 작업중지권

허가서에는 대피경로, 비상문, 집결지, 연락망, 응급처치 책임, 구급품 위치를 명확히 기입해야 한다.

작업중지권은 작업자 누구나 즉시 행사할 수 있어야 하며, 불이익 금지와 재개 승인 절차를 문서화해야 한다.

검토·승인 체계와 보관

  • 작성자 → 안전부서 → 설비·전기·소방 관련 부서 → 최종 승인권자 순의 결재 라인을 운영한다.
  • 연장·변경은 재승인을 원칙으로 하고, 중간 조건 변경 시 허가 효력이 정지된다.
  • 보존 기간은 최소 3년을 권장하며, 사고·아차사고 건은 별도 보존한다.

현장 적용 팁

  • 허가서와 JSA/위험성평가를 1장 요약으로 결합하여 현장 가독성을 높인다.
  • QR 코드로 도면·배관계장도·전기 SLD·MSDS를 연결한다.
  • 기상·풍속·열지수 자동 수집 위젯으로 중지 기준을 표준화한다.
주의 : 서류 충족만으로 허가가 유효한 것이 아니다. 현장 상태 변동 시 즉시 재평가해야 한다.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예방대책

오류원인예방대책
작업범위 모호도면·설비번호 미기재라인번호·밸브 태그·좌표를 필수화하다.
LOTO 미흡공용키 사용개인키·군집잠금박스 사용 절차 표준화하다.
가스측정 형식화교정일 경과·간격 미준수전자양식에 교정일 경과 경고 팝업 설정하다.
화기감시 부재인력 절감감시자 상주 의무, 30분 이상 잔불감시 규정화하다.
비상계획 미흡집결지 혼선현장지도에 피난유도선 표기, TBT에서 반복 숙지하다.

다운로드 없이 쓰는 A4 2매 허가서 서식(복사·붙여넣기)

================== 위험작업 작업허가서(표준) ================== 1. 기본정보 - 문서번호: - 작업명: - 작업위치: - 작업기간: 연장 □예 □아니오 연장 사유: - 작업범위:
인원/조직

작업책임자: 연락처:

참여인원: 작업자( ) 화기감시( ) 감시인( ) 신호수( )

협력업체:

유형선택(복수체크)
[ ] 화기 [ ] 밀폐 [ ] 추락 [ ] 전기 [ ] 양중 [ ] 굴착 [ ] 화학 [ ] 시운전

위험성평가 요약

위험원/결과:

등급: 고 / 중 / 저

우선 통제조치:

통제조치(사전)

격리/차단(LOTO):

밸브 블라인드/캡핑:

PURGE/환기(장비/용량/시간):

추락방지(난간/그물/랜야드):

방호(가드/커버):

화기관리(방염포/소화기/감시자):

전기안전(단전/검전/접지):

양중안전(장비/와이어/지반/신호):

환경/폐기물:

가스측정(시작 전/주기/완료 후)

기기/교정일:

O₂(%) 기준 19.5~23.5: 시작 / 주기 / 완료

LEL(%) 기준 <10: 시작 / 주기 / 완료

CO(ppm) 기준 <25: 시작 / 주기 / 완료

H₂S(ppm) 기준 <10: 시작 / 주기 / 완료

보호구

(예) 안전모, 보안경, 난연복, 용접면, 방진/송기, 절연장갑, 안전화

비상계획

대피경로/집결지:

응급구조 연락:

구급함/AED 위치:

허가조건/중지기준

조건:

중지기준:

재개승인 절차:

교육/TBT

실시일시:

핵심전달사항:

서명(작업자 전원):

검토/승인

작성(이름/서명/일시):

안전검토:

관련부서검토(설비/전기/소방):

최종승인:

작업완료/원상복구

잔불/가스 재측정:

격리해제 순서 확인:

청소/폐기물 처리:

사진기록 첨부: □

종료 보고 일시/서명:
=============================================================

전자양식 구현 팁(현장 노트)

  • 드롭다운·체크박스로 유형 선택을 강제하여 누락을 줄인다.
  • 문서번호는 날짜·현장코드·일련번호 자동 생성한다.
  • 가스측정 입력칸은 허용범위 밖 값 입력 시 즉시 경고를 띄운다.
  • 서명은 전자서명·지오태그·타임스탬프를 저장하여 감사추적성을 확보한다.

FAQ

작업 중 조건이 바뀌면 허가서를 어떻게 처리하나?

작업조건 변경은 허가 효력을 정지하고 재평가·재승인을 거친 후 재개해야 한다. 경미 변경이라도 위험에 영향이 있으면 동일하다.

허가서와 JSA를 별도로 운용해야 하나?

허가서 본문에는 요약만, 세부 JSA는 별첨으로 두고 QR로 연동하는 방식을 권장한다. 현장에서는 1장 요약본을 사용한다.

감시인은 언제까지 상주해야 하나?

허가조건이 유지되는 동안 전 기간 상주해야 한다. 교대 시 인수인계 서명을 남겨야 한다.

연장 작업은 어떻게 승인받나?

연장 사유와 변경된 위험요인을 기재하고 동일 결재라인을 통해 재승인을 받아야 한다. 단순 시간 연장도 예외가 아니다.

보존 기간은 얼마로 설정하나?

법정 최소 기준 이상으로 3년 보존을 권장한다. 사고 관련 건은 종결 후에도 추가 기간 보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