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위험요인 목록화 방법: 현장에서 바로 쓰는 위험성평가 체크리스트와 템플릿

이 글의 목적은 사업장과 건설현장에서 유해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목록화하여 위험성평가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높이는 표준 절차와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유해위험요인 목록화의 핵심 원칙

유해위험요인 목록화는 정해진 분류체계와 절차에 따라 누락 없이 식별하고, 동일 기준으로 기록하며, 이후 평가·개선활동에 연결되도록 데이터 구조를 표준화하는 과정이다.

  • 전수(Exhaustive) 식별: 공정·작업·설비·물질·환경·관리활동 전 범위를 대상으로 한다.
  • 증거 기반 기록: 관찰, 인터뷰, 문서, 계측 데이터로 근거를 남긴다.
  • 동일 프레임: 분류체계와 용어를 표준화하여 여러 팀이 동시에 작업해도 합치성을 유지한다.
  • 추적 가능성: 위험원→유해위험요인→피해결과→법적 요구→대책의 연결고리를 유지한다.
  • 변경관리 연동: 공정·설비·물질·인력·절차 변경 시 목록을 즉시 업데이트한다.
주의 : 목록화는 “평가”가 아니라 “식별·기록” 단계이다. 위험도 산정값을 적기 전에 먼저 누락 없이 식별하고 정의를 명확히 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2. 표준 분류체계(태그) 설계

목록화는 다축 태깅으로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아래 기본 축을 모든 항목에 공통 적용한다.

축(Category)예시 태그설명
위험원(Source)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열, 압력, 방사, 높이, 협착, 예리, 생물물리·화학·생물 등 에너지 또는 유해 인자의 근원이다.
유형(Type)충돌, 끼임, 절단, 낙하, 전도, 화상, 질식, 중독, 폭발, 화재피해가 나타나는 작동 원리 또는 사건 형태이다.
대상(Object)작업자, 협력업체, 방문객, 설비, 구조물, 환경영향을 받는 인원·자산·환경이다.
공정/작업(Process/Task)절단, 용접, 타설, 양중, 정비, 세정, 혼합, 이송WBS 또는 SOP 단위 작업명이다.
장소(Location)지하층, 옥상, 밀폐공간, 고소, 도로변, 탱크 내부지리·구역 기반 분류이다.
노출(Exposure)농도, 소음 dB, 조도, 온열, 진동 m/s², 시간노출 수준을 수치 또는 구간으로 기입한다.
관리상태(Control)제거, 대체, 공학, 행정, PPE, 부적합, 미구현대책의 계층과 상태를 기록한다.
법적 요구(Legal)산안법, 화관법, 화평법, 위험물법, 건설기준적용 법규·고시·코드 조항 식별이다.

3. 5단계 목록화 절차(SOP)

  1. 스코프 확정 : 대상 공정·라인·현장·협력업 범위와 일정, 참여자를 확정한다.
  2. 사전 자료 수집 : 공정도(PFD), 작업절차(SOP/작업지도서), MSDS, 설비 목록, 작업허가서(PTW), 과거사고·아차사고, 점검기록을 모은다.
  3. 현장 워크스루 : 실제 경로와 동작을 따라가며 사진·동영상·계측으로 증거를 축적한다.
  4. 워크샵 식별 : 운영·정비·안전·협력사와 함께 브레인스토밍·프롬프트리스트·유사사고 사례로 누락을 줄인다.
  5. 정규화·등록 : 표준 용어와 코드로 정리하여 마스터 위험원·유해위험요인 테이블에 등록한다.
주의 : 현장 워크스루는 실제 작업 시간대에 수행해야 한다. 야간·우천·혹서·혹한 등 조건에 따라 유해위험요인이 달라지므로 교대별로 확인한다.

4. 프롬프트 리스트(질문지)로 누락 방지

  • 에너지원이 갑자기 방출되면 무엇이 다칠 수 있는가(중력·압력·전기·화학반응·열·운동에너지)이다.
  • 사람이 비정상 동작 또는 실수를 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미스매치, 휴먼팩터)이다.
  • 물질이 누출되면 어디로 이동하고 무엇과 반응하는가(상승·하강·흡착·혼합·점화원)이다.
  • 일시 조치나 편법이 만연한 영역은 어디인가(바이패스, 임시전원, 임시거치)이다.
  • 가동정지·청소·세정·세팅·교체 중 위험은 무엇인가(LOTO 미비, 잔압, 잔류화학물질)이다.
  • 밀폐공간·고소·협소·어두움·소음·분진 등 환경 스트레스가 의사결정을 왜곡하는가이다.
  • 비상 시 대피·연락·구조가 가능한가, 장애요소는 무엇인가이다.

5. 공정-작업-위험원 매핑 매트릭스

아래 표는 공정 단계별로 대표 위험원을 연결하여 프리셋처럼 활용하는 예시이다.

공정 단계대표 작업위험원유해위험요인 예시
자재준비하차·적치중량물, 차량, 전도지게차 충돌, 적치 불안정 낙하, 협착
가공/혼합절단·가열·교반예리·열·회전체·화학절단상, 화상, 말림, 유해가스 노출
이송배관·호스·이동압력·정전기호스 이탈 분사, 정전기 점화
설치/양중크레인·고소작업높이·진자·풍하중추락, 낙하물, 근접전선 접촉
검사/세정해체·세정·시험잔류압력·잔류물질질식, 화학반응 발열, 폭발성 혼합
정비분해·교체LOTO 미실시예기치 않은 가동, 협착·절단

6. 기록 표준: 위험성 레지스터 필드 정의

모든 유해위험요인은 아래 필드를 포함해 등록한다.

필드정의기입 규칙
ID고유 식별자프로젝트코드-영역-일련번호 형식이다.
공정/작업WBS 단위SOP 제목과 동일 표기이다.
위험원근원표준코드(예: CHEM, MECH, ELEC) 사용이다.
유해위험요인사건/상태동사형·명확 서술(예: “호스 이탈 분사”)이다.
피해결과결과인체/설비/환경 구분 병기이다.
노출강도/시간수치 또는 등급(고/중/저)이다.
법적 요구조항근거 문서명·조항번호이다.
기존대책현행 관리공학·행정·PPE로 구분한다.
추가대책권고위계(제거→대체→공학→행정→PPE) 순서이다.
책임/기한담당자·완료일RACI 역할과 날짜이다.
검증효과 확인지표, 사진, 시험성적서 링크이다.

7. 현장 관찰 체크리스트(샘플)

  • 에너지 고립: 전기·기계·유체 LOTO 절차와 자물쇠·태그 적용 상태를 확인한다.
  • 압력/온도: 배관·밸브·게이지 정상범위, 방폭·보온·차폐 상태를 확인한다.
  • 화학물질: 라벨·MSDS 일치, 보관구획·2차 용기·흡착제 준비를 확인한다.
  • 양중·고소: 지반 지지력, 지지대 전개, 전선 이격거리, 풍속 기준을 확인한다.
  • 밀폐공간: 산소·유해가스 측정, 감시인, 구조장비, 작업허가를 확인한다.
  • 교통·중장비: 분리 동선, 유도원 배치, 속도 제한, 사각지대 경보를 확인한다.
  • 인체공학: 반복·무리한 자세, 진동, 소음, 온열·한랭 스트레스를 확인한다.

8. 방법론 결합: JSA·HAZOP·FMEA·Bow-Tie 활용

목록화 품질을 높이기 위해 방법론을 혼합 적용한다.

  • JSA는 작업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 유해위험요인을 도출한다.
  • HAZOP은 파라미터 편차(압력↑, 온도↓ 등)와 원인·결과를 구조적으로 찾는다.
  • FMEA는 고장형태(Failure Mode) 관점으로 목록을 확장한다.
  • Bow-Tie는 원인측 방지장치와 결과측 보호장치를 구분해 누락을 줄인다.

9. 산업별 목록화 예시

9.1 화학·제조

  • 위험원: 가연성 용제, 산·알칼리, 분진, 정전기, 압력용기, 회전체이다.
  • 유해위험요인 예시: 용제 증기 인화, 산·알칼리 피부접촉 화상, 분진폭발, 회전체 말림, 호스 파열 분사이다.
  • 추가대책 아이디어: 질소 퍼지, 본딩·접지, 방폭등급 검증, 인터록, 호스 체결 이중화이다.

9.2 건설·현장

  • 위험원: 고소, 개구부, 크레인·펌프카, 타워크레인, 동바리, 콘크리트 압송압력, 풍하중이다.
  • 유해위험요인 예시: 개구부 추락, 양중 중 낙하물, 붐대 전도, 전선 근접 감전, 동바리 좌굴이다.
  • 추가대책 아이디어: 2중 난간·개구부 덮개, SWL 표기·신호수 표준, 풍속 기준 중지, 지반지지력 확인이다.

10. 데이터 품질관리(DQ) 규칙

  • 용어 통일: 동일 항목은 동일 용어로 기입한다(예: “낙하물” 통일, “추락물” 사용 금지)이다.
  • 단수·현재형: “호스 이탈 분사 발생 가능”처럼 간결히 쓴다.
  • 근거 첨부: 사진 파일명, 계측값, 문서번호를 레퍼런스 필드에 넣는다.
  • 변경이력: 생성일·수정일·작성자·검토자 필수 기록이다.
  • 샘플 감사: 주간 5% 표본 점검으로 누락·중복·오입력을 수정한다.

11. 목록화 템플릿(복사 사용)

ID,영역,공정,작업,위험원코드,유해위험요인,피해결과,노출평가,법적요구,기존대책,추가대책,책임,기한,검증,근거 PRJ01-A1,Mixing,교반,용제투입,CHEM,"용제 증기 인화",화재/인명피해,고,산안법○조,방폭등급펌프/국소배기,"질소퍼지, 정전기 접지 강화",공정담당,2025-11-30,점검표/가스측정,MSDS_1234 PRJ01-A2,Transfer,이송,호스연결,PRES,"호스 이탈 분사",화학화상/환경누출,중,위험물법○조,호스클램프1중,"더블클램프, 체결토크관리",정비,2025-10-31,작업허가/체결토크기록,사진_20251020 PRJ01-B1,Lifting,양중,크레인,MECH,"스윙 진자 충돌",협착/타격,중,산안 규정○,신호수배치,"회전금지구역, 리프트플랜",현장대리인,2025-10-25,TBM 사진/교육이수,양중계획서_revC 

12. 고위험 트리거(우선 식별 대상)

  • 가연성/폭발성 혼합 형성 가능, 산소결핍 가능, 고소·개구부 개방 상태, 고압·진공·고온 장치, 에너지격리 미흡이다.
  • 동시작업(용접+화학물질, 양중+보행), 임시설비·임시전원, 신규·비정상운전, 야간·악천후 작업이다.
주의 : 고위험 트리거가 발견되면 목록화와 동시에 임시보전 조치를 병행한다. 후속 평가 전이라도 위험의 즉시 저감이 우선이다.

13. 증거 수집 규격

  • 사진/동영상: 촬영일시, 위치, 설비ID를 파일명에 포함한다.
  • 계측: 소음·조도·가스·온습도·진동 등 기기 교정상태와 값·단위를 기록한다.
  • 문헌: SOP 번호, MSDS 버전, 허가서 번호, 점검표 버전을 명시한다.

14. 목록화와 법규 매핑 기법

유해위험요인 옆에 적용 법규 조항을 병기하면 대책 선정과 점검 기준화가 신속해진다. 내부 코드표를 만들어 조항을 단축키처럼 매핑한다.

내부코드법규/기준핵심 요구유형 연결
ELEC-LOTO전기안전LOTO, 검전, 접지예기치 않은 가동, 감전
CHEM-LBL화학물질 표시라벨·SDS 일치화학노출, 혼합오류
LIFT-PLAN양중기준리프트플랜·신호수낙하물, 충돌
CONF-SPACE밀폐공간가스측정, 감시인질식, 중독

15. 협력사·외주 포함 목록화 팁

  • 입·퇴장 기준: 신규 협력업체 입장 전 작업목록과 장비·물질 리스트를 수령해 사전 식별한다.
  • 작업허가 연동: 고위험 작업허가 체계와 목록화 테이블을 동일 ID로 연결한다.
  • 공용구역: 교통 동선, 자재 적치, 화기 작업 구역을 공통 도면에 표기한다.

16. 디지털 도구 적용 전략

  • 코드표 마스터: 위험원·유해위험요인·법규·대책 사전을 스프레드시트로 유지한다.
  • 모바일 폼: 현장 촬영·음성 인식으로 즉시 등록하고, 자동 태그를 제안한다.
  • 버전 관리: 레지스터는 읽기전용 배포본과 편집본을 분리한다.

17. 샘플 서술 가이드(좋은 예/나쁜 예)

구분나쁜 예좋은 예
모호 표현“위험함”“고압 호스 체결 불량으로 이탈 시 분사 위험”
원인-결과 분리“미끄러짐”“바닥 오일 비산으로 보행 중 미끄러짐 전도 위험”
증거 결여“소음 큼”“소음 89 dB(A) @1m, 10:30 측정”

18. 교육·캠페인 연계

  • TBM 공유: 매일 한 항목씩 공유하여 현장 인식 제고를 유도한다.
  • 사례 학습: 유사 사고 동영상을 보고 목록화 항목을 보완한다.
  • 퀴즈: 내부 코드표와 연결된 3문항 퀴즈로 용어를 고착화한다.

19. 감사(Verification) 포인트

  • 샘플링: 무작위 10건을 선정해 현장·문서·대책을 대조한다.
  • 현장 재확인: 주야간, 악천후 조건에서 재점검한다.
  • 지속개선: 사고·아차사고·변경관리 발생 시 48시간 내 레지스터 업데이트한다.

20. 빈 템플릿: 점검표(현장 배포용)

■ 유해위험요인 현장 목록화 점검표 [기본정보] 구역: ______ 공정: ______ 작업: ______ 일시: ____ 작성자: ____
위험원 관찰
□ 기계/회전체 □ 전기 □ 열/화염 □ 압력/진공 □ 화학 □ 높이/개구부 □ 교통/차량
비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상태/행동 관찰
□ 보호장치 해제 □ 임시배선/바이패스 □ 적치불량 □ 누출/비산 □ LOTO 미실시 □ 동시작업
비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유해위험요인 기술(동사형·구체)
예) “호스 이탈 분사”, “개구부 미덮개 추락”, “용제 증기 인화”

피해결과
□ 인체상해 □ 화재 □ 폭발 □ 환경누출 □ 설비손상 상세: ________________

기존대책 확인
□ 공학적( ) □ 행정적( ) □ PPE( ) 근거문서/사진: __________________________

추가대책 제안(위계 적용)

제거/대체: __________________ 2) 공학: __________________ 3) 행정: __________________ 4) PPE: ____

법적 요구/표준
문서명/조항: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검토자 서명: __________ 완료기한: __________ 검증자료: ______________________

FAQ

유해위험요인과 위험원의 차이는 무엇인가?

위험원은 에너지·유해 인자의 근원이고 유해위험요인은 그로 인해 발생 가능한 사건·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압축가스”는 위험원이고 “밸브 파손으로 고압 분사”는 유해위험요인이다.

모든 항목에 위험도 점수를 매겨야 하나?

목록화 단계는 식별·기록이 목적이다. 위험도 산정은 후속 절차로 분리하고, 목록의 품질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

법규 매핑을 간단히 하는 방법은?

반복되는 조항에 내부 코드를 부여하여 템플릿에 드롭다운으로 연결하면 기입 시간이 줄고 누락이 감소한다.

협력업체 작업은 어떻게 포함하나?

입장 전 작업목록·장비·물질 리스트를 제출받아 사전 등록하고, 작업허가서 발급 시 레지스터 ID를 필수로 기입하도록 절차를 통일한다.

사진·동영상은 어디까지 저장하나?

개인정보를 제외한 현장 전경·설비 ID·계측 화면 등 증거성을 갖춘 자료를 원본 화질로 저장하고 파일명 규칙을 표준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