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현장에서 소화기 종류별 성능특성과 화재등급별 적용 대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선택·배치·사용·점검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가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1. 화재등급과 연소특성 이해
소화기의 선택은 먼저 화재등급을 식별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연료 성상과 연소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부적절한 소화약제를 피할 수 있다.
| 등급 | 대표 연료 | 연소특성 | 소화전략 핵심 |
|---|---|---|---|
| A | 목재, 종이, 천, 일반 플라스틱 | 잿더미 형성, 깊숙한 잔불 | 냉각이 핵심이다. 관통 침윤 가능한 약제와 재발화 방지 수냉이 필요하다. |
| B | 휘발유, 경유, 솔벤트, 페인트 | 표면 연소, 증기·혼합기 화염 | 질식과 증기 차단이 핵심이다. 표면 덮개 형성 또는 산소 차단이 유효하다. |
| C | 통전 중 전기설비 | 전기전도 위험, 2차 감전·아크 | 비전도성 약제를 사용한다. 전원 차단 후 A/B 등급 규칙을 따른다. |
| D | 마그네슘, 티타늄, 나트륨 등 금속 | 자체 산소 공급, 고온, 수·CO₂ 반응 | 전용 분말로 질식·열차단을 한다. 물·거품·CO₂ 투입을 금지한다. |
| K(주방) | 식용유·동물성지방 | 고온 과열, 비등현상, 재발화 | 비누화·냉각으로 표면 반응을 중단한다. 전용 약제를 사용한다. |
2. 소화기 약제별 작동원리와 사용대상
약제는 냉각, 질식, 연쇄반응 억제, 분리(덮개 형성) 중 하나 혹은 복합 기능을 수행한다. 아래 표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약제의 적용 범위를 요약한다.
| 약제 종류 | 표시 | 작동원리 | 적용 등급 | 주의·금지 대상 |
|---|---|---|---|---|
| 물 소화기(정압·펌프형) | Water | 냉각·침윤으로 연소핵 온도 저하 | A | B·C·D·K에는 부적합하다. 통전 시 감전 위험이 있다. |
| 물분무(안개) 소화기 | Water Mist | 미세 입자 증발 냉각·산소 치환 | A, 통전 위험 낮은 C 일부 | 유증기 짙은 B에는 제한적이다. 금속화재 D에는 금지한다. |
| 포(거품) 소화기 | Foam | 기액막 형성으로 증기 차단·질식 | A, B | C·D에는 금지한다. 극저온·수반응 물질에는 부적합하다. |
| 분말 소화기(BC) | Dry Chem BC | 연쇄반응 억제·질식 | B, C | A의 깊은 잔불에는 취약하다. D는 전용 분말을 사용한다. |
| 분말 소화기(ABC, 다목적) | Dry Chem ABC | 피막 형성+연쇄반응 억제 | A, B, C | 민감 설비 오염 우려가 있다. 반도체·정밀계측실은 비분진 약제를 고려한다. |
| 이산화탄소 소화기 | CO₂ | 질식·확산, 순간 저온 냉각 | B, C | A의 잔불에는 취약하다. 밀폐공간 질식 위험에 유의한다. |
| 청정가스 소화기(HFC·FK 기반) | Clean Agent | 연쇄반응 억제·열흡수 | A(표면), B, C | 개방 공간에서는 농도 유지가 어렵다. D·K에는 부적합하다. |
| 금속화재 전용 분말 | Class D | 질식·열차단·반응 억제 | D | 물·거품·CO₂는 반응 폭주 위험이 있다. |
| 주방(식용유) 전용 소화기 | Class K | 비누화(유지 산화물 중화)·냉각 | K | 대용량 팬·튀김솥은 표면 전체 피복이 되도록 충분히 분사한다. |
3. 현장별 소화기 선정 매트릭스
다음 매트릭스는 주요 작업장·시설 유형별 추천 약제와 비추천 요소를 정리한 것이다.
| 현장 유형 | 권장 소화기 | 비추천 사유·대체안 |
|---|---|---|
| 사무실·교육시설 | ABC 분말, 물분무, CO₂(전산실 주변 보조) | 분말은 오염 이슈가 있다. 서버룸 내부는 청정가스 또는 고정식 설비를 고려한다. |
| 주방·식당 | K 등급 전용, 보조로 ABC 분말 | 물·포 단독 사용은 비등현상 위험이 있다. 반드시 K 등급을 우선한다. |
| 도장·용제 취급 | 포 소화기, BC/ABC 분말, CO₂ 보조 | 밀폐소형 공간에서 CO₂ 단독은 질식 위험이 있다. 환기·감시자 배치가 필요하다. |
| 전기·제어실 | CO₂, 청정가스, 물분무(특정 인증형) | 물·포는 통전 시 금지한다. 분말은 부식·잔류물로 고장 유발 가능성이 있다. |
| 금속가공 라인 | D 전용 분말 | 물·포·CO₂ 사용 금지이다. 금속 칩·분말 비산을 고려한 국소 소화계획이 필요하다. |
| 주차장·연료 저장 | 포, BC/ABC 분말 | 물 단독은 유류 비산 확산 위험이 있다. 표면 덮개 형성이 가능한 약제를 우선한다. |
4. 소화기 표기 해석과 용량 선택
4.1 라벨 표기 해석
소화기에는 등급(A/B/C/D/K), 약제 종류, 충전량, 사용압력, 사정거리, 방사시간, 제조·충전일이 표시되어 있다. 등급 옆 숫자는 시험 화재에 대한 상대 소화능을 의미한다. 숫자가 높을수록 동일 조건에서 더 큰 화재를 제어할 수 있다.
4.2 용량·사정거리·방사시간 고려
- 일반 실내 구획: 3.3~6.6kV·A 이하 초기화재 대응에 3.3~6.8kg(또는 10~15lb)급 ABC 분말을 기준으로 한다.
- 유류 취급·개방공간: 포 소화기의 사정거리·방사시간이 긴 모델을 우선한다.
- 정밀전자 설비: CO₂·청정가스는 잔류가 없으나 재발화 감시 시간이 필요하다.
5. 사용대상 판정 플로우
1) 전원 여부 확인 - 통전 중이면 C → 비전도성 약제(CO₂, 청정가스, BC/ABC) 선택 - 전원 차단 후 재분류 2) 연료 확인 - 고체 가연물 → A → 물/ABC - 유류/용제 → B → 포/BC/ABC/CO₂ - 금속 → D → 전용 분말 - 식용유 → K → 전용 소화기 3) 공간 특성 - 밀폐공간 CO₂ 질식 위험 평가 - 정밀설비 오염 허용도 검토 4) 재발화 위험도 평가 - 깊은 잔불 → 물/ABC 병행 - 표면 증기 → 포/청정가스 우선 6. 현장 배치·표지·접근성
- 동선: 출입구·피난경로에서 30m 이내 접근 가능한 위치에 배치한다.
- 표지: 등급과 약제를 전면 라벨·위치표지에 통일 표기한다.
- 장애물: 1.2m 이내 시계 확보, 바닥 이격, 오염·부식 방지대 마련한다.
- 고정: 진동·낙하 방지 브래킷 사용, 차량 탑재형은 전용 거치대를 사용한다.
7. 사용 절차(PASS 원칙 현장형)
- Pin: 안전핀 뽑기. 현장에서는 봉인상태(Seal) 정상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 Aim: 바람을 등지고, 바닥 저부에 2~3m에서 노즐 조준한다.
- Squeeze: 손잡이를 서서히 쥐며 분사 패턴을 확인한다.
- Sweep: 좌우로 쓸어내리듯 진행하고, 재발화 지점을 집중 냉각한다.
8. 소화 실패 전환 기준
- 방사시간의 2/3를 사용했음에도 화염 골격이 유지되는 경우
- 연소면이 확대되거나 천장으로 플래시오버 전조가 보이는 경우
- 유증기 폭발음, 압력상승, 유출 확대로 접근이 위험해진 경우
즉시 후퇴·대피하고 신고 체계를 재확인한다.
9. 점검·유지관리 체크리스트
| 항목 | 점검 방법 | 주기 |
|---|---|---|
| 압력게이지 녹색 범위 | 정지 상태에서 눈금 확인 | 월 1회 |
| 봉인·핀 상태 | 봉인 파손·누락 확인 | 월 1회 |
| 부식·누액·변형 | 외관 전면 점검 | 월 1회 |
| 노즐·호스 막힘 | 먼지마개·절곡 여부 확인 | 월 1회 |
| 중량 변화 | 규격 대비 ±5% 초과 시 충전 | 반기 |
| 라벨·표지 가독성 | 등급·약제·사용법 확인 | 월 1회 |
| 배치 적정성 | 출입구 접근성·장애물 여부 | 분기 |
10. 실무 시나리오별 적용 예
10.1 작업장 목재 가공 라인
- 주 위험: A 등급 분진·집진기 내부 잔불
- 권장: ABC 분말(초기) + 물 소화기(잔불 냉각)
- 포인트: 집진덕트 내부는 잔불 감시 및 재발화 지점을 물로 충분히 침윤한다.
10.2 용제 취급 코너
- 주 위험: B 등급 표면 연소·증기 폭발
- 권장: 포 소화기 1차, BC/ABC 분말 보조
- 포인트: 표면 덮개를 유지하려면 낮은 위치에서 부드럽게 분사한다.
10.3 전기분전반실
- 주 위험: C 등급 아크·절연파괴
- 권장: CO₂ 또는 청정가스
- 포인트: 전원 차단 후 잔열 확인, 재통전 전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10.4 주방 튀김조리
- 주 위험: K 등급 과열유 재발화
- 권장: K 전용 소화기, 후드·덕트용 고정식 병행
- 포인트: 소화 후 온도가 재상승하지 않도록 팬을 냉각·커버한다.
10.5 금속분말 취급
- 주 위험: D 등급 반응폭주
- 권장: D 전용 분말, 불활성 모래 일부 상황 병행
- 포인트: 소량 국소 피복 후 확장한다. 과도한 제트 분사는 비산을 유발한다.
11. 교육·훈련 포인트
- 라벨 읽기 훈련: 등급·약제·사정거리·방사시간을 10초 내 파악하는 훈련을 실시한다.
- 모형 화재 진압: A/B/C 모형으로 약제 선택과 사신거리 유지 연습을 한다.
- CO₂ 체험: 질식 위험 교육을 위해 산소농도 모니터링 시연을 포함한다.
- 재발화 관리: 잔불 제거·온도 점검·통풍 관리로 “소화 후 관리”를 표준화한다.
12. 문서화·표준서 예시
[소화기 관리기록지(예시)] - 위치/번호: - 약제/등급: (예: ABC 분말 3.3kg) - 제조/충전일: - 압력게이지: 정상 / 이상 - 봉인상태: 양호 / 손상 - 외관/부식: 양호 / 손상 - 호스/노즐: 양호 / 막힘 - 중량(kg): 규격 ____ / 실측 ____ - 특이사항/조치: 점검자: 일자: 13. 빠른 결정표(현수막·포스터용 텍스트)
| 상황 | 우선 약제 | 금지 혹은 주의 |
|---|---|---|
| 종이·목재 화재 | 물, ABC | CO₂ 단독 사용은 잔불 남김 |
| 유류 표면 화재 | 포, BC/ABC | 물 분사는 비등·확산 |
| 통전 전기설비 | CO₂, 청정가스, BC/ABC | 물·포 금지 |
| 금속 분말·괴 | D 전용 분말 | 물·CO₂·포 금지 |
| 식용유 팬 화재 | K 전용 | 물·CO₂ 단독 금지 |
FAQ
ABC 분말이면 어떤 화재든 모두 대응 가능한가?
ABC 분말은 A·B·C 등급에 적합하나 D·K 등급에는 부적합하다. 금속·식용유 화재는 반드시 전용 약제를 사용한다.
CO₂ 소화기를 실내에서 사용해도 되는가?
단시간·소량 사용은 가능하나 밀폐공간에서는 질식 위험이 있다. 사용 전 감시자 배치와 환기 계획을 마련한다.
분말 소화기 사용 후 장비 오염이 걱정된다. 대안은 무엇인가?
정밀장비 주변은 CO₂ 또는 청정가스가 적합하다. 다만 재발화 감시와 환기 관리가 필요하다.
주방에서 포 소화기를 써도 되는가?
소규모 표면 화재에 제한적으로 가능하나 최우선은 K 등급 전용 소화기이다. 비등현상과 재발화를 고려해야 한다.
금속 화재에 물을 쓰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수 금속은 물이나 CO₂와 격렬히 반응해 수소 발생, 열폭주, 분출을 유발한다. 반드시 D 전용 분말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