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압 전기 안전작업허가서 양식 다운로드 없이 그대로 쓰는 표준 서식과 작성법

이 글의 목적은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저압 전기 안전작업허가서 표준 양식과 작성 요령을 제공하여 감전·아크·합선 등 전기 재해를 체계적으로 예방하도록 돕는 것이다.

1. 저압 전기 안전작업허가서의 목적과 적용 범위

저압 전기 안전작업허가서는 저압 설비에서 차단·격리·무전압 확인·잠금태깅·보호구 착용·현장 통제 등 핵심 통제사항을 사전에 검토하고 승인하는 문서이다.

적용 범위는 통상 AC 50~1,000V 또는 DC 100~1,500V 범위 중 사업장 저압 정의에 해당하는 설비의 점검·정비·교체·임시결선·시험 작업 전부이다.

주의 : 무전압 확인과 잠금태깅(LOTO)을 완료하기 전에는 어떠한 노출 도체 접촉도 금지한다.

2. 문서 구성 개요

저압 전기 안전작업허가서는 다음 8개 블록으로 구성하는 것이 표준이다.

블록항목주요 내용작성 책임
① 기본정보설비·회로·위치·일시설비명, 배전반명, 회로명, 도면 번호, 전압, 상수, 위치, 작업 일시이다.작업책임자
② 작업내용작업 범위·방법정전 여부, 작업 절차, 공구·시험기 목록, 임시 결선 계획이다.작업책임자
③ 위험성평가위험원·시나리오·등급감전, 아크플래시, 단락, 재시동, 협착, 추락 등의 위험 분석이다.작업팀+안전관리자
④ 통제조치LOTO·무전압·접지·차폐차단, 잠금, 태깅, 무전압 확인, 잔류전하 방전, 절연덮개·차폐 설치이다.설비담당자
⑤ 보호구PPE 체크절연장갑, 난연복, 헬멧, 보안면, 절연매트, 절연화, 귀마개, CO₂ 소화기이다.작업팀
⑥ 현장통제출입통제·감시인안전표지, 라인 콘, 감시인 배치, 위험구역 설정이다.작업책임자
⑦ 승인3단계 서명설비담당자, 안전관리자, 최종 승인자의 서명·시간이다.승인권자
⑧ 복전확인가동 전 점검보호구 회수, 공구 철수, 커버 복원, 시험운전·이상 유무 확인이다.설비담당자

3. 표준 작성 절차(LOTO 포함)

3.1 작업 전

  1. 작업 범위·회로를 도면과 실설비로 이중 확인한다.
  2. 차단기·스위치를 개방하고 기계적 격리 조치를 한다.
  3. 잠금장치 부착 후 개인 패드락으로 잠금한다.
  4. 금지 표지를 태깅하고 승인 없이 조작 금지를 명기한다.
  5. 무전압을 검전기로 확인하고 시험 전·후 검전기를 자가검증한다.
  6. 콘덴서 등 잔류전하를 규정 절차로 방전한다.
  7. 노출부 절연 차폐·커버·절연매트를 설치한다.
  8. 감시인 배치와 출입통제선을 설정한다.
주의 : 검전기 불량·배터리 저전압 상태에서는 무전압 확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3.2 작업 중

  • 도면 변경이나 작업 범위 확대 시 즉시 허가서 재승인을 받는다.
  • 활선 접근 필요 시 별도 활선작업 허가서로 전환한다.
  • 휴식·교대 시 LOTO 상태를 인계 기록한다.

3.3 작업 후

  1. 절연 저항·연속성·위상 확인 등 시험을 완료한다.
  2. 공구·자재를 전량 회수하고 이물·도전성 잔재를 청소한다.
  3. 차폐·커버·패널을 원상 복구한다.
  4. 감시인·작업책임자 합동으로 최종 확인한다.
  5. 잠금태깅 해제는 승인자 입회 하에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6. 무부하→부분부하→정격부하 순으로 복전 시험한다.
  7. 허가서를 보관하고 교훈·개선사항을 기록한다.

4. 위험성평가 서식 예시

위험원사고 시나리오초기 등급통제조치잔여 등급검증 방법
감전차단 미흡으로 노출부 접촉LOTO, 무전압 확인, 차폐검전·감시인 확인
아크접속 실수로 단락 아크 발생정전 작업, 아크 차폐, 난연복작업감시·절차 준수
재시동타 부서에 의한 오조작개인 패드락, 태그, 차단함 잠금잠금 점검표
협착팬·펌프 예기치 동작기계적 격리, 회전체 고정시운전 체크

5. 보호구(PPE) 체크리스트

품목규격상태 확인비고
절연장갑정격 전압 적합핀홀·경화 무공기팽창 시험
안면보호보안면 또는 아크 쉴드스크래치 무전면 시야 확보
난연상의FR 등급오염·파열 무정전기 유의
절연화절연 성능 표기밑창 손상 무젖은 바닥 금지
절연매트등급 적합찢김 무건조 상태 유지
소화기CO₂ 또는 가스식압력 정상근접 배치

6. 현장 통제 기준

  • 작업 반경 2~5m 범위를 최소 통제선으로 설정한다.
  • 배전반 전면·후면에는 “작업 중 조작 금지” 표지를 부착한다.
  • 감시인은 통제선 외부에서 조작 시도를 차단한다.
  • 전원 복전은 서면 승인 후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7. 저압 전기 안전작업허가서 표준 양식(빈 서식)

아래 표는 그대로 인쇄·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저압 전기 안전작업허가서
허가번호 작성일시 작업일시 
설비명 배전반/회로 전압/상 
위치 도면번호 
작업책임자 연락처 감시인 
작업인원 하도급 교육확인□예 □아니오
작업내용 
사용 공구·계측기 
위험성평가위험원사고 시나리오초기 등급통제조치잔여 등급
  상/중/하 상/중/하
  상/중/하 상/중/하
  상/중/하 상/중/하
  상/중/하 상/중/하
등급 기준: 상=중대재해 가능, 중=의료처치 필요, 하=경미
통제조치(LOTO)차단기/스위치□개방 완료 위치:__________ 시간:____
잠금장치□개인 패드락 수량:____ □그룹 락아웃 □키박스
태깅□금지 표지 부착 □연락처 기재 □다국어
무전압 확인검전기:__________ □자기검증 전/후 완료 시간:____
잔류전하□방전 완료 방법:______________
차폐/절연□절연덮개 □절연매트 □가림막
보호구절연장갑□착용난연복□착용절연화 □착용
보안면□착용헬멧□착용귀마개 □착용
소화기□CO₂비상차단위치:________________
기타 보호구/비상장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의사소통 수단: □무전 □휴대전화 □수신호
현장통제출입통제□콘/테이프 □안전표지 □감시인 배치
작업구역반경____m 통제선 설정
화재·구조비상연락망 확인, 대피경로 게시
승인설비담당서명:__________일시____/____ ____:____
안전관리서명:__________일시____/____ ____:____
최종승인서명:__________일시____/____ ____:____
복전확인철수확인공구·자재 회수, 이물 제거 □완료
원상복구커버/패널 복구 □완료
시운전□무부하 □부분부하 □정격부하 이상 유무:__________
LOTO 해제승인자 입회 해제 □완료
보존기간: 최소 1년 권장, 사고·이상 발생 시 즉시 별도 보존한다.

8. 빠르게 복사해서 쓰는 텍스트 양식

제목: 저압 전기 안전작업허가서 허가번호: 작성일시: 작업일시: 설비명: 배전반/회로: 전압/상: 위치: 도면번호:
작업책임자: 연락처: 감시인:
작업인원: 하도급: 교육확인: 예/아니오

[작업내용]
[사용 공구·계측기]
[위험성평가]
위험원/시나리오/초기등급/통제조치/잔여등급:
[통제조치(LOTO)]
차단기/스위치 개방:
잠금장치: 개인 패드락( )개, 그룹락/키박스
태깅: 부착 완료
무전압 확인: 검전기( ), 자기검증 전/후 완료
잔류전하 방전: 방법( )
차폐/절연: 절연덮개/절연매트/가림막

[보호구]
절연장갑/난연복/보안면/헬멧/절연화/귀마개/CO₂ 소화기

[현장통제]
출입통제선 반경 m, 감시인 배치, 표지 부착

[승인]
설비담당(서명/일시):
안전관리(서명/일시):
최종승인(서명/일시):

[복전확인]
공구철수/원상복구/시운전/LOTO 해제: 완료

9. 작성 품질 높이는 체크포인트 12가지

  1. 회로 식별은 라벨·도면·테스터 세 가지로 교차 확인한다.
  2. 정전이 곤란하면 공정 책임자와 일정 조정한다.
  3. 검전기는 사용 전·후 기준기 시험으로 검증한다.
  4. 콘덴서 방전 저항값과 시간 계산을 기록한다.
  5. 드라이버·렌치 등 금속 공구 절연 캡을 사용한다.
  6. 임시 결선은 색상 규격과 단면적을 표기한다.
  7. 누전차단기 시험은 복전 전 실시한다.
  8. 작업 전후 사진을 허가서에 첨부한다.
  9. 교대 시 LOTO 키 인계를 서면으로 남긴다.
  10. 외주 투입 시 전기안전교육 이수증을 확인한다.
  11. 아크 위험 가능성이 있으면 난연 등급을 격상한다.
  12. 복전 후 24시간 내 이상 유무를 재확인한다.

10. 예시 작성본(부분 샘플)

허가번호: LV-2025-103 작성일시: 2025-11-01 08:30 작업일시: 2025-11-01 09:00~11:00 설비명: 공조동 AHU#3 배전반/회로: MDP-2 / AHU3-FEEDER 전압/상: AC 380V 3Ø 위치: 전기실 2층 도면번호: E-SLD-2F-032
작업책임자: 김00 010-xxxx-xxxx 감시인: 박00
작업인원: 3명 교육확인: 예

작업내용: 모터 단자함 접속 불량 점검 및 케이블 러그 재압착
사용 공구·계측기: 토크렌치, 크림퍼, 절연저항계(500V), 멀티미터

위험성평가:

감전/노출 단자 접촉/상 → LOTO, 무전압 확인, 절연덮개 → L

아크/접속 단락/상 → 정전작업, 절연매트, 난연복 → M

통제조치:

차단기개방: MDP-2 AHU3 MCCB OFF 08:50

잠금장치: 개인 패드락 3개, 키박스 사용

태깅: 금지 표지 부착 및 연락처 기재

무전압 확인: 검전기 FLUKE T150, 전/후 자기검증 OK 08:55

잔류전하 방전: 모터 단자 저항체로 방전 완료

차폐: 단자함 주변 절연가림막 설치

보호구: 절연장갑 Class 00, 난연복 CAT1, 보안면, 절연화, 절연매트

현장통제: 출입테이프 반경 3m, 감시인 상주

승인: 설비담당(서명) / 안전관리(서명) / 최종승인(서명)

복전확인: 공구철수·원상복구 완료, 무부하 시험 OK, 이상 무

11. 자주 발생하는 부적합과 개선

부적합원인개선 조치
무전압 확인 누락검전기 부재 또는 절차 미숙지검전기 상시 비치와 사용 교육 강화
패드락 공용 사용키 관리 편의 위주개인 패드락 의무화 및 키박스 도입
사진 기록 미흡시간 압박작업 전후 3컷 의무 촬영 체크리스트화
임시 결선 표기 없음단기 사용 오판색상·단면·길이·목적 라벨 표준화

12. 문서 관리 및 보존

  • 종이 원본과 전자 파일을 이중 보관한다.
  • 허가서 번호 체계를 연도-순번으로 부여한다.
  • 사고·이상 발생 시 관련 허가서를 즉시 별도 보존한다.
  • 분기별로 허가서 품질감사를 실시한다.

FAQ

정전이 불가한 설비는 어떻게 관리하나?

가능한 시간대 조정 후 부분 정전 또는 바이패스를 적용하고, 활선작업에 해당할 경우 별도 활선작업 허가서와 강화된 보호구·차폐를 적용한다.

검전기 하나로 충분한가?

검전기는 1대 이상을 권장하며, 사용 전·후 기준 전원으로 자기검증을 수행해야 한다.

복전 시점에 누가 입회해야 하나?

설비담당자와 작업책임자가 합동 확인 후 최종승인자 입회 하에 단계적으로 복전을 진행한다.

허가서 보존기간은 얼마나 하나?

통상 1년 이상을 권장하나, 사고·이상 발생 시에는 조사 완료까지 별도 보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