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현장에서 체인블록(Chain Block, Manual Hoist)을 사용하기 전에 수행해야 할 필수 점검항목과 불량 판정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설비 신뢰성을 높이도록 돕는 것이다.
1. 점검 개요와 점검 체계
체인블록은 하중을 인양하는 수동 권상장치로서 사용 전 점검은 필수이다. 사용 전 점검은 통상 작업자 일상점검에 해당하며, 주기점검과 정밀점검과는 범위가 다르나 불량 발견 시 사용을 즉시 중지해야 한다. 점검은 무부하 기능점검과 육안·측정점검으로 구성하며, 불량 판정 기준을 명확히 적용해야 한다.
- 점검 주체: 당일 장비 사용자 또는 지정된 작업책임자이다.
- 점검 시점: 작업개시 전, 작업 조건 변화 시, 장시간 보관 후 재사용 시이다.
- 점검 기록: 체크리스트 서명과 사진 첨부를 원칙으로 한다.
주의 : 사용 전 점검에서 단 하나의 불합격 항목이라도 발생하면 체인블록 사용을 즉시 중지하고 상급자에게 보고하여 교체 또는 정비 후 재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2. 불량 판정 기준 요약
사용 전 점검에서는 신속한 판정을 위해 핵심 허용기준을 적용한다. 아래 기준은 보수적으로 설정한 현장 권장값이며, 제작사 매뉴얼의 기준이 더 엄격할 경우 제작사 기준을 우선한다.
| 부품 | 점검포인트 | 불합격 기준(권장) | 판정 |
|---|---|---|---|
| 하중체인(load chain) | 지름 마모, 피치 연신, 균열·뒤틀림 | 지름 감소 ≥ 10% 또는 피치 증가 ≥ 3% 또는 균열·비틀림·심한 녹 발생 시 | 합/불 |
| 조작체인(hand chain) | 균열, 변형, 끊김, 엉킴 | 균열·끊김·링 벌어짐·심한 엉킴 발생 시 | 합/불 |
| 후크(hook) | 개구치수 증가, 비틀림, 걸쇠(latch) | 개구 증가 ≥ 10% 또는 비틀림 ≥ 10° 또는 걸쇠 미복귀·파손 | 합/불 |
| 걸쇠(latch) | 자연복귀, 완전폐쇄 | 폐쇄 불완전 또는 스프링 불량 | 합/불 |
| 스프로킷/기어 | 이빨 마모·파손·이탈 | 치면 깨짐·이상마모·체인 이탈 자주 발생 | 합/불 |
| 브레이크 | 제동성, 역회전, 미끄러짐 | 정지불능·하중 슬립·정지거리 과다 | 합/불 |
| 본체·프레임 | 균열, 변형, 고정볼트 풀림 | 균열·영구변형·볼트 풀림 | 합/불 |
| 표시사항 | 정격하중, 제조사, 모델, 일련번호 | 표시 불명확·부착 탈락 | 합/불 |
| 윤활상태 | 하중체인 도포, 기어부 상태 | 건식 마찰 흔적·심한 오염 | 합/불 |
| 현장조건 | 걸이점 구조강도, 간섭·각도 | 걸이점 약함·엣지 접촉·편심 인양 | 합/불 |
주의 : 하중체인 지름은 원주 4점 평균으로 측정하며 최소 두 개 이상 인접링을 비교하여 연신 여부를 판정해야 한다.
3. 사용 전 점검 절차: 단계별 실행
3.1 문서 및 이력 확인
- 정격하중(WLL)과 작업하중 비교를 통해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 최근 정기점검·정밀점검 기록과 수리 이력을 확인한다.
- 부속품(연결샤클, 빔클램프, 트롤리)의 정격과 호환성을 확인한다.
3.2 외관 육안점검
- 본체 케이스와 커버에 균열·찌그러짐·비정상 소음 흔적이 없는지 확인한다.
- 상·하부 후크의 개구치수와 비틀림을 확인한다.
- 걸쇠(latch)가 자연복귀하며 완전폐쇄 되는지 확인한다.
- 하중체인에 녹, 국부마모, 칩핑, 용접흔, 엉킴이 없는지 확인한다.
- 조작체인에 찢어짐, 링 벌어짐, 뒤틀림이 없는지 확인한다.
- 스프로킷 치면의 깨짐·편마모, 체인 이탈 흔적을 확인한다.
- 식별표시(WLL, 모델, S/N, 제조사)가 명확한지 확인한다.
3.3 치수·측정점검
- 하중체인 지름(d)을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한다. 신품 기준지름(d0) 대비 지름감소율이 10% 이상이면 불합격이다.
- 체인 피치(p) 증가율이 3% 이상이면 연신으로 판정하여 불합격이다.
- 후크 개구치수(Throat opening) 증대가 신품 대비 10% 이상이면 불합격이다.
- 후크 목부에 비틀림이 10° 이상이면 불합격이다.
지름감소율(%) = {(d0 − d) / d0} × 100 피치증가율(%) = {(p − p0) / p0} × 100 후크개구증가율(%) = {(T − T0) / T0} × 100 주의 : 기준치수(d0, p0, T0)는 제작사 카탈로그 또는 장비 표기값을 사용해야 하며, 동일 체인의 다른 구간과 상대 비교도 병행하면 오판을 줄일 수 있다.
3.4 기능점검(무부하)
- 조작체인을 천천히 당겨 권상·권하가 부드럽게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 중간에 손을 놓았을 때 역회전 없이 정지하는지 확인하여 제동성을 점검한다.
- 체인의 이탈·털림·기어부 간섭 소음이 없는지 확인한다.
- 급정지 시 비정상 충격음 또는 제동 미끄러짐이 없으면 합격으로 본다.
3.5 저하중 기능확인
- 정격하중의 10~20% 범위 시험하중으로 실제 매달아 권상·정지·권하를 2~3회 반복한다.
- 정지 후 하중이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슬립)이 있으면 불합격이다.
- 하중 체인이 스프로킷에서 튐 또는 톱니걸림이 발생하면 불합격이다.
주의 : 사용 전 점검 단계에서 과도한 시험하중을 적용하는 것은 금지한다. 정격 초과 하중은 정기검사나 제작사 규정된 내하중 시험 절차로만 수행해야 한다.
4. 부품별 상세 점검 요령
4.1 하중체인
하중체인은 인양장치의 핵심부품이다. 국부마모, 균열, 열영향 흔적, 비틀림, 엉킴, 녹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윤활은 점착성 오일을 얇게 도포하며 과다 도포로 먼지 점착을 유발하지 않도록 한다. 엣지나 모서리에 체인을 직접 걸어 사용하는 행위는 금지한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