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KOSHA 위험성평가 양식을 표준화된 구조로 제시하고, 공종별 적용 방법과 작성 요령·평가기준·검토절차를 실무 수준으로 제공하여 자체 양식 구축과 현장 실행력을 높이는 것이다.
1. 건설 현장 위험성평가의 체계와 용어 정의
위험성평가는 유해·위험요인을 식별하고 발생가능성과 중대성을 정량·정성 혼합지표로 산정하여 위험도를 평가한 뒤, 제거·대체·공학적·관리적·개인보호구 순의 통제수단을 적용하는 체계적 절차이다.
- 유해·위험요인 : 사람·설비·작업환경·공정 상의 안전·보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모든 요소이다.
- 발생가능성(L) : 해당 위해가 발생할 개연성의 등급값이다.
- 중대성(S) : 위해 발생 시 결과의 심각도 등급값이다.
- 위험도(R) : 일반적으로 R = L × S 로 산정하며 구간화하여 관리한다.
- 잔류위험 : 통제수단을 적용한 후 재평가한 위험도이다.
2. 표준 절차(Plan-Do-Check-Act)
- 준비 : 현장 개요 파악, 공정표 입수, 위험성평가 범위·규칙 공지, 양식 배포를 한다.
- 식별 : WBS 또는 작업분해(공종→공정→세부작업)로 유해·위험요인을 목록화한다.
- 평가 : L·S 기준표에 따라 초기위험도를 산정한다.
- 개선 : 통제수단을 계층(제거→대체→공학→관리→PPE) 순으로 설계한다.
- 잔류평가 : 개선조치 반영 후 Rres를 재산정한다.
- 이행 : 책임자·기한 지정, 교육·작업허가 연계, 점검표 운영을 한다.
- 검토 : 순회점검·변경관리·사고·근접사고 반영 재평가를 한다.
3. 건설 위험성평가 표준 양식 구성요소
양식은 표지, 목차, 공통 기준표, 평가서, 조치계획서, 점검·검토서로 구성한다.
| 구성 | 필수 항목 | 비고 |
|---|---|---|
| 표지 | 프로젝트명, 공사기간, 시공사·협력사, 평가범위(공종/구역), 작성·검토·승인 | 문서번호·개정이력 포함 |
| 기준표 | 발생가능성·중대성 등급 정의, 위험도 산출식, 허용기준(ALARP) | 현장 특성 반영 |
| 평가서 | 공종·공정·작업, 유해·위험요인, L, S, R, 기존대책, 추가대책, 책임자, 기한, 잔류R | 필드 입력 중심 |
| 조치계획서 | 조치내역, 구매·설치 필요사항, 교육·허가 연계 | 예산·납기 명시 |
| 점검·검토서 | 이행확인, 사진·기록, 미결항목, 재평가 기록 | 주간·월간 회의 연계 |
4. 등급 기준표(표준안)
| 발생가능성 L | 정의 | 예시 |
|---|---|---|
| 1 매우 낮음 | 거의 발생하지 않음 | 과거 5년 무사고, 다중 방호 |
| 2 낮음 | 드물게 발생 | 유사 현장 드문 빈도 |
| 3 보통 | 가끔 발생 | 정상작업 중 간헐 노출 |
| 4 높음 | 자주 발생 | 작업특성상 반복 노출 |
| 5 매우 높음 | 상시 발생 | 방호 미흡·협소공간 |
| 중대성 S | 정의 | 예시 |
|---|---|---|
| 1 경미 | 응급처치 수준 | 찰과상 |
| 2 경상 | 단기 치료 | 봉합·타박상 |
| 3 중상 | 장기 치료·휴업 | 골절 |
| 4 중대 | 영구장해 가능 | 절단·질식 |
| 5 치명 | 사망·다수피해 | 추락·전도 대형 |
| 위험도 R = L × S | 구간 | 조치 원칙 |
|---|---|---|
| 극고 | 20~25 | 작업 중지, 제거·대체 또는 공학적 통제 선조치 |
| 고 | 12~19 | 즉시 개선, 임시조치+단기 개선계획 |
| 중 | 6~11 | 계획적 개선, 일정관리 |
| 저 | 1~5 | 허용, 모니터링 |
5. 표준 위험성평가 양식 템플릿
문서번호: ________ 개정: ___ 작성일: ____-__-__ 페이지: __ / __ 프로젝트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 위치: ___________________ 평가범위: [공종] __________ [구역] __________ [기간] ____-__-__ ~ ____-__-__ 작성: ____ 검토: ____ 승인: ____
[평가서 테이블]
No 공종 공정/작업 유해·위험요인 L S R 기존대책 추가대책(통제수단 계층) 책임자 완료기한 잔류L 잔류S 잔류R 비고
1 토공 굴착(3m) 토사붕괴, 매몰 4 5 20 흙막이 H-PILE 트렌치박스, 버팀대 간격 재검토, 계측 시공팀장 05/10 2 4 8 TBM 연계
2 가설 비계조립 추락, 낙하물 4 4 16 안전대 구조계산서 확인, 개구부 덮개, 수평 lifeline 공무 05/08 2 3 6 점검표 적용
3 양중 크레인양중 전도·접촉 3 5 15 신호수 배치 풍속계, 지반지지력 확인서, 작업허가 장비반장 05/07 2 4 8 LMI 설정
4 전기 임시전력 감전·화재 3 4 12 누전차단기 절연저항 측정, 잠금표시, 케이블 트레이 전기반 05/06 2 3 6 분전함 鍵관리
5 마감 유리설치 낙하·파손 3 4 12 흡착패드 2점 이상 슬링, 추락방지망, 출입통제 마감반장 05/09 2 3 6 기상한계 준수
[조치계획서]
항목 조치내용 필요자원(예산/장비/인력) 완성기준 검수자 기한
[점검·검토]
점검일 점검자 확인결과 미결내역 후속조치 재평가R 비고
6. 공종별 작성 예시와 체크포인트
6.1 토공·굴착
- 핵심 위험요인: 토사붕괴, 근접 중장비 접촉, 지하매설물 손상, 가스·산소 결핍이다.
- 주요 통제: 흙막이 설계 검토, 버팀·띠장 설치기준 준수, 트렌치박스, 출입통제, 가스측정기, 경사면 안전율 검토이다.
| 점검항목 | 기준 | 빈도 |
|---|---|---|
| 버팀/앵커 간격 | 설계서·시방서 일치 | 매일 |
| 토사 상태 | 균열·침하·용배수 확인 | 매교대 |
| 근접장비 동선 | 분리·신호수 운용 | 상시 |
6.2 가설·비계
- 핵심 위험요인: 작업발판 붕괴, 추락, 낙하물이다.
- 주요 통제: 구조계산서, 전도방지 타이, 난간·발끝막이, 승강설비 적합성, 개구부 덮개·표지이다.
6.3 양중·크레인
- 핵심 위험요인: 전도·전복, 충돌·접촉, 과하중, 풍속 영향이다.
- 주요 통제: 지반지지력 산정, 붐 반경·작업반경 계획, 신호수 표준, LMI 한계설정, 풍속 경보·중지기준이다.
6.4 전기·가설전력
- 핵심 위험요인: 감전, 아크, 화재이다.
- 주요 통제: 적정 차단기 정격·누전차단기, 잠금표시(LOTO), 접지·절연, 배선 정리, 방재 간격이다.
6.5 마감·유리·커튼월
- 핵심 위험요인: 낙하·전도, 절단, 파손비산이다.
- 주요 통제: 흡착패드 용량 확인, 슬링 각도, 추락방지망, 출입통제, 기상한계(풍속·강우)이다.
7. 리스크 매트릭스와 우선순위 배정 로직
리스크 매트릭스는 L(1~5)와 S(1~5)로 5×5 행렬을 구성하여 R값을 시각화한다. 우선순위는 R값, S값, 동시노출 인원, 대체불가성, 법적 요구의 순으로 정한다. 치명적 결과(S≥4)는 무조건 선행 개선 대상으로 분류한다.
[우선순위 계산 예] Case A: L=3, S=5 → R=15(고), 동시노출 6명 → 1순위 Case B: L=4, S=3 → R=12(고), 동시노출 2명 → 2순위 Case C: L=2, S=4 → R=8(중), 법정관리대상 → 3순위(강제성 보정) 8. 통제수단 계층 적용 예시
| 계층 | 예시 | 적용포인트 |
|---|---|---|
| 제거 | 지중 위험구간 우회 | 설계 변경 |
| 대체 | 습식 절단→건식 집진 일체형 | 장비 선정 |
| 공학적 | 가설 울타리, 인터록, 추락방지망 | 물리적 차단 |
| 관리적 | 작업허가제, TBM, 신호수 배치 | 절차·인력 |
| PPE | 안전대, 방진마스크, 절단장갑 | 최후 보완 |
9. 하루 작업 연결 양식(JHA/TBM 연계)
일일 작업 전 안전회의(TBM) 자료와 위험성평가 결과를 연결하여 작업허가와 동기화한다.
[TBM 체크시트] 일시: ____-__-__ 00:00 장소: ______ 참석: __명 기상: __/풍속 __m/s 오늘의 주요 위험(R≥12): ______________________ 변경사항(MOC): 자재/장비/인력/공정/기상 [해당: □] 필수 통제수단 설치 완료: [예/아니오] 확인자: ____ 교육·전달사항: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업허가서 번호: ________ 유효시간: __:__~__:__ 10. 사진·증빙 기록 요령
- 설치 전·중·후 3점 촬영으로 시계열을 확보한다.
- 항목별 체크리스트와 동일한 프레임 구성을 유지한다.
- 규격·라벨·토크값 등 확인 대상은 접사로 별도 촬영한다.
11. 교육·역할·권한(R&R) 분배
| 역할 | 책임 | 권한 | 성과지표 |
|---|---|---|---|
| 현장대리인 | 자원배분·일정조정 | 작업중지·예산승인 | 고위험 R≥12 해소율 |
| 안전관리자 | 평가 주관·교육·점검 | 허가 심사·개정요구 | 잔류R 평균, 미결건수 |
| 공종소장 | 조치 실행·검수 | 하도급 지휘 | 기한내 조치율 |
| 반장/기술자 | 현장 이행·TBM | 작업중지 요청 | 근접사고 보고율 |
12. 문서관리와 개정
- 개정사유: 공정변경, 신규위험 발생, 사고·근접사고 분석 결과 반영이다.
- 개정절차: 제안→검토→승인→교육→배포→시행이다.
- 추적성: 문서번호, 개정번호, 시행일을 양식 상단에 고정 표기한다.
13. 샘플 작성 예(요약)
No: 7 공종: 구조 작업: 거푸집 동바리 설치 유해·위험요인: 붕괴/전도, 추락, 협착 초기 L/S/R: 4/4/16(고) 기존대책: 기성 동바리, 수평가새 일부, 작업발판 추가대책: 구조계산서 적합성 확인, 수직·수평가새 보강, 추락방지 난간/발끝막이, 하중분산판, 관리선 및 출입통제 책임자/기한: 구조소장/05-12 잔류 L/S/R: 2/3/6(중) 특기: 타설 전 별도 점검, 타설압력·양생계획 연계 14. 품질·환경 리스크 통합
안전리스크와 품질·환경 리스크를 동일 테이블에 통합하여 공정단위로 관리하면 의사결정이 빨라진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타설 시 품질(슬럼프, 온도), 환경(세륜·세정), 안전(폼타이 파단) 지표를 동시 관리한다.
15. 현장 배포 패키지 구성안
- 위험성평가 기준서(PDF)
- 평가서 양식(스프레드시트)
- TBM 체크시트(1매)
- 작업허가 연계 표지(1매)
- 주간 점검표(공종별)
16.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방지 팁
- 위험요인 과대포괄: 작업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중복 제거를 한다.
- L·S 주관 편차: 기준표 예시·사례교육으로 교정한다.
- 조치의 추상화: 설치 위치·규격·수량 등 측정가능 기준을 명시한다.
- 잔류평가 누락: 조치 완료 인증 후 재평가 필수이다.
- 사진 미흡: 전·중·후 필수 3점 촬영을 한다.
17. 현장 적용 체크리스트
| 항목 | 체크방법 | 주기 |
|---|---|---|
| 기준표 제정 | 문서 개정번호·시행일 확인 | 착공 전 1회 |
| 공종별 평가완료 | R≥12 해소 계획 확인 | 주간 |
| TBM 연계 | ‘오늘의 위험’ 공유 확인 | 매일 |
| 사진증빙 | 전·중·후 확보 여부 | 매작업 |
| 변경관리 | MOC 기록·재평가 | 상시 |
FAQ
위험도 구간은 반드시 4단계로 사용해야 하나?
필수는 아니다. 현장 특성에 맞춰 3~5단계로 조정하되 S가 높은 경우 우선순위를 상향하는 원칙은 유지한다.
정량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L·S 산정은 어떻게 하나?
과거사고·근접사고 기록, 유사현장 통계, 전문가 판단을 결합한다. 초기에는 보수적으로 산정하고 데이터 축적 후 조정한다.
교육만으로 잔류R을 낮출 수 있나?
불가하다. 교육은 관리적 통제이며 공학적·물리적 통제가 우선이다. 교육은 잔여위험 보완수단으로만 반영한다.
외주·협력사 작업도 동일 양식을 적용하나?
동일 양식을 적용한다. 다만 협력사 보유 양식이 있는 경우 핵심 필드(유해·위험요인, L/S/R, 조치, 잔류R, 책임자, 기한)는 동일하게 매핑한다.
잔류R 허용기준은 어떻게 정하나?
ALARP 개념에 따라 저위험 구간을 허용하되 치명적 결과 가능성이 남아 있으면 추가조치를 요구한다. 발주처·법정 요구를 상위 기준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