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와이어로프 클립의 올바른 설치 방향, 개수·간격·반환길이(턴백) 산정, 체결·재체결 절차, 검사 기준을 종합 정리하여 현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작업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올바른 설치 방향의 핵심 원칙
와이어로프 클립은 U볼트형(U-bolt)과 새들(Saddle)로 구성되며, 설치 방향은 하중이 걸리는 활선(Live end)과 단부 고정용 사선(Dead end)의 구분이 선행되어야 한다.
- 원칙 1 : 새들(Saddle)은 반드시 활선에, U볼트는 사선에 배치한다.
- 원칙 2 : 클립의 개수와 간격, 턴백 길이는 로프 지름과 구조에 따라 산정한다.
- 원칙 3 : 초기 조임(프리토크) → 시운전 하중 인가 → 재조임(리토크)의 순서를 지킨다.
용어 정리와 구성 요소
| 용어 | 정의 | 현장 표시 |
|---|---|---|
| 활선(Live end) | 작업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로프 구간이다. | 하중 방향 화살표 스티커 부착 권장 |
| 사선(Dead end) | 로프 말단이 되돌아가며 클립으로 고정되는 구간이다. | 절연 테이프·색띠로 구분 |
| 새들(Saddle) | U볼트와 한 쌍을 이루는 받침 금구로, 활선을 눌러지지 않게 지지한다. | 활선쪽에 배치 |
| U볼트(U-bolt) | U자형 볼트로, 사선을 눌러 고정한다. | 사선쪽에 배치 |
설치 전 준비 체크리스트
- 로프 규격 확인: 지름, 구조(예: 6×19, 6×37), 소재, 윤활 상태를 확인한다.
- 클립 규격 일치: 로프 지름과 동일 규격의 클립을 사용한다.
- 접촉면 청결: 유분·스케일·녹을 제거하고 건조한 상태로 설치한다.
- 렌치·토크렌치 준비: 규정 토크 범위 내에서 단계 조임이 가능해야 한다.
- 표식 준비: 활선/사선 식별 테이프, 체결 마킹펜, 토크 기록지 준비한다.
클립 개수, 간격, 턴백 길이 산정 원칙
제조사 지침이 우선이며, 현장 표준으로 다음 원칙을 사용한다.
- 간격 : 인접 클립 중심 간 거리는 로프 지름의 6~7배로 한다.
- 첫 번째 클립 위치 : 소켓·후크 등 종단 금구로부터 로프 지름의 1~2배 지점에 배치한다.
- 턴백 길이 : 사선의 되돌림 길이는 로프 지름의 20~30배를 기본으로 잡는다. 대구경 또는 충격하중 환경에서는 여유를 더한다.
- 개수 : 로프 지름이 커질수록 개수를 늘린다. 최소 3개를 기준으로 시작한다.
지름별 권장 클립 개수·간격·턴백 요약표
아래 표는 현장표준 예시이며, 실제 적용 시 사용 제품의 제작사 자료를 우선한다.
| 로프 지름(약) | 권장 클립 개수 | 클립 간격(중심~중심) | 턴백 길이 |
|---|---|---|---|
| 6~8 mm | 3개 | 6~7d | 20~25d |
| 9~12 mm | 3~4개 | 6~7d | 22~28d |
| 13~16 mm | 4개 | 6~7d | 25~30d |
| 17~22 mm | 4~5개 | 6~7d | 25~30d |
| 23~28 mm | 5개 | 6~7d | 28~32d |
| 29~34 mm | 5~6개 | 6~7d | 30~35d |
※ d는 로프 외경이다.
설치 방향과 순서: 단계별 절차
- 활선·사선 식별 : 하중 벡터를 기준으로 활선을 명확히 표시한다.
- 첫 클립 배치 : 종단 금구에서 1~2d 떨어진 지점에 새들을 활선 쪽, U볼트를 사선 쪽으로 대고 너트를 손 조임한다.
- 나머지 클립 임시 배치 : 첫 클립에서 6~7d 간격으로 순차 배치하여 모두 손 조임한다.
- 초기 체결(프리토크) : 중앙→양끝 순서로 균등 체결한다. 한 번에 끝까지 조이지 않는다.
- 하중 예비가압 : 정격하중의 50~60% 범위에서 정적으로 당겨 사선의 정착을 유도한다.
- 재체결(리토크) : 동일 순서로 규정 토크에 도달하도록 재조임한다.
- 마킹 및 기록 : 너트에 일자 마킹을 하고 토크·일시·작업자 서명을 기록한다.
토크 관리 원칙
- 토크렌치 사용을 기본으로 하며, 재조임 시 동일 설정값을 유지한다.
- 주·야간 온도차가 큰 환경에서는 초도 체결 후 15~30분 경과 뒤 한 차례 재조임을 수행한다.
- 동일 조합에서 너트 한 쪽만 과도하게 조이면 U볼트가 편심되어 사선이 밀려난다. 좌·우 번갈아 소폭 증분으로 조인다.
- 윤활된 나사산은 동일 토크에서 클램핑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조사 지침에 따라 건식 또는 지정 윤활제를 사용한다.
시운전, 재점검, 유지관리 주기
- 초도 점검 : 설치 직후 정격하중의 50~60%에서 슬립 여부와 마킹 변위를 확인한다.
- 1차 재점검 : 초도 하중 후 즉시 재토크를 실시한다.
- 2차 재점검 : 첫 사용 하루 내 또는 8시간 사용 후 재토크를 실시한다.
- 정기 점검 : 월 1회 이상 해체 없이 외관·마킹 변위·부식·선상 파단 여부를 점검한다.
사용 금지 판정 기준
| 항목 | 불합격 기준 | 조치 |
|---|---|---|
| 설치 방향 | 새들이 사선에 배치되었거나 일부라도 뒤집힘 | 전량 해체 후 재시공 |
| 부식·손상 | 새들 접촉면 함몰, U볼트 나사산 변형, 균열 | 부품 교체 |
| 토크 유지 | 마킹 기준 1/8회전 이상 변위 | 원인 분석 후 재토크 |
| 로프 상태 | 소선 절단, 편상 태선, 압괴 흔적 | 로프 교체 및 클립 재시공 |
현장 오류 사례와 예방 포인트
- 오류 1 : 첫 클립을 금구에 과도하게 근접 설치하여 로프 굴곡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첫 클립은 1~2d 이격한다.
- 오류 2 : 간격을 임의로 축소해 클립을 몰아넣는 경우가 있다. 균등 간격 6~7d를 유지한다.
- 오류 3 : 개수 부족으로 사선 슬립이 발생한다. 지름 증가 시 개수도 증가시킨다.
- 오류 4 : 재토크를 생략한다. 하중 예비가압 후 반드시 재조임한다.
하중 방향 변동과 동적 하중 고려
리프팅 빔, 크레인 훅, 체인블록 등에서 하중 방향이 변동하거나 충격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턴백 길이를 여유 있게 확보하고, 개수를 한 단위 상향하며, 사용 전 시험 하중을 실시한다. 피로 하중이 누적되는 설비 고정용에서는 장기 점검 주기를 단축한다.
소형 로프와 합성섬유 로프 적용 구분
본 지침은 강선 와이어로프용 U볼트형 클립을 전제로 한다. 합성섬유 로프는 전용 스플라이스 또는 전용 클립을 사용하며, 강선용 클립을 혼용하지 않는다. 소형 스테인리스 로프(예: 가드레일)에서 미관상 간격을 임의 변경하는 사례가 있으나 구조적 간격 6~7d는 유지한다.
현장 표준 작업절차(SOP) 예시
[작업명] 와이어로프 클립 설치 [적용범위] 강선 와이어로프 U볼트형 클립 체결
자재 확인
로프 규격(d, 구조)과 클립 규격 일치 확인
수량: 표준표 대비 +1SET 예비 확보
표시 및 준비
활선/사선 표식, 체결 위치 마킹
토크렌치 교정일자 확인(6개월 이내)
배치
첫 클립: 종단 금구에서 1~2d 위치
잔여 클립: 6~7d 균등 간격
체결(1차)
중앙→양끝 순으로 프리토크
좌·우 너트 교번 증분 조임
예비가압
정격하중 50~60% 정적 인가(30~60초 유지)
재체결(2차)
동일 순서로 규정 토크 도달
너트·본체 일자 마킹
기록
d, 개수, 간격, 턴백 길이, 토크값, 일시, 작업자 서명
검수
마킹 변위, 슬립, 국부 압괴, 균열 여부
합격 시 사용 승인
운영 및 점검
초도 사용 후 즉시 재토크
8시간 운전 또는 1일 경과 후 재토크
월 1회 정기점검 기록
시각적 배열 가이드
활선과 사선의 구분이 혼동되는 현장을 위해 다음의 시각적 원칙을 준수한다.
- 활선 방향으로 새들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한다.
- 모든 새들 표면의 접촉 흔적이 활선에 고르게 나타나야 한다.
- U볼트 다리와 사선 사이의 간극이 좌·우 대칭이어야 한다.
- 각 클립의 너트 마킹이 동일 각도로 정렬되면 토크 균일성이 향상된다.
감리·감독을 위한 빠른 합격 기준
- 새들 배치 방향: 전 클립이 활선 쪽에 새들을 댔는지 100% 확인한다.
- 개수·간격·턴백: 지름 대비 표준과의 오차 ±10% 이내를 확인한다.
- 토크 증빙: 토크 기록지와 너트 마킹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 슬립 흔적: 사선의 인발 흔적, 콘크리트·도장면 긁힘 흔적이 없는지 확인한다.
체결 기록지 서식 예시
| 항목 | 기록 | 비고 |
|---|---|---|
| 로프 지름 d(mm) | ||
| 클립 개수 | 표준 대비 +0/± | |
| 간격(중심~중심) | 목표 6~7d | |
| 턴백 길이 | 목표 20~30d | |
| 초도 토크(N·m) | 프리토크 | |
| 재토크(N·m) | 예비가압 후 | |
| 마킹 확인 | 양호/불량 | |
| 검수자 | 서명 |
특수 조건 대응
- 고온 환경 : 열팽창에 따른 장력 변화가 크므로 초도·재토크 주기를 단축한다.
- 부식 환경 : 스테인리스 클립 또는 표면처리 제품을 사용하고, 전해부식 가능성을 검토한다.
- 진동·충격 : 스프링와셔·록너트 등 풀림방지 부품을 병행하고, 개수 상향을 검토한다.
- 소켓·클립 혼용 : 주하중 계통에는 동일 형식 금구를 일관 적용한다.
현장 교육 포인트 요약
- 문장암기: “새들은 활선, U볼트는 사선”을 반복 교육한다.
- 거리감각: 6~7d 간격, 20~30d 턴백을 몸으로 익힌다.
- 토크문화: 토크렌치 없이는 작업 불가를 원칙화한다.
- 재조임습관: 예비가압 후 재토크를 절차화한다.
FAQ
클립 방향을 반대로 단 상태로 시험하중을 통과했다. 그대로 사용해도 되나?
불가하다. 설치 방향 오류는 우발 슬립과 국부 압괴를 유발한다. 전량 해체 후 방향 수정·재토크 및 재검수를 실시한다.
간격 6~7d를 확보하기 어려운 짧은 턴백에서는 어떻게 하나?
턴백 길이를 우선적으로 늘려 간격을 확보한다. 구조상 불가하면 개수 증대와 상위 등급 금구로 전환을 검토한다.
토크값은 어디 기준을 따르나?
사용 중인 클립 제작사의 규정 표를 따른다. 나사 윤활 조건, 재질, 코팅에 따라 권장 토크가 달라지므로 범용 수치 적용을 지양한다.
클립 대신 소켓·스웨이징 단자를 써도 되나?
가능하다. 다만 적용 하중, 피로, 환경 적합성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며, 공인 시험성적서 또는 인증 규격 충족 여부를 확인한다.
첫 설치 후 언제까지 재조임이 필요한가?
초도 하중 인가 직후, 그리고 첫 1일 또는 8시간 사용 후 재토크가 권장된다. 이후는 정기점검 주기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