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베이어 끼임 방지 커버 설치 기준과 체크리스트

이 글의 목적은 제조·물류 현장에서 컨베이어 끼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호커버 설계·설치·검수·유지관리 전 과정을 표준화하여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1. 컨베이어 끼임 위험 이해

컨베이어의 주요 위험원은 이송부와 구동부의 끼임점, 회전부의 말림, 협착, 낙하물 충돌, 점검 중 오동작에 의한 돌발기동이다. 특히 롤러-벨트 접선부, 체인-스프로킷 맞물림부, 풀리-벨트 권취부, 텐셔너 조정부, 턴헤드와 샤프트 돌출부가 중대사고 다발 구간이다. 방호커버는 이러한 부분의 접근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어적으로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

주의 : 방호커버는 부착물로 끝나지 않는다. 기계 위험원 제거→공학적 통제→관리적 통제→개인보호구 순으로 우선순위를 적용해야 한다.

2. 방호커버 적용 범위와 우선순위

2.1 적용 범위

  • 벨트·체인·롤러·스크루·버킷 컨베이어의 구동·전동·장력조정부에 설치한다.
  • 이송물 낙하 가능 구간에는 낙하물 방지 덮개 또는 울타리를 설치한다.
  • 점검·청소·정비를 위해 접근이 불가피한 구간은 개폐식 또는 탈착식 방호를 적용한다.

2.2 위험저감 우선순위

  1. 설계 변경으로 끼임점 제거 또는 은폐한다.
  2. 고정식 방호커버로 상시 접근을 차단한다.
  3. 개폐식 방호+인터록으로 접근 시 자동정지·재기동 금지한다.
  4. 비상정지장치, 경보, 시야확보, 표지로 잔여위험을 관리한다.

3. 방호커버 설계 요구사항

3.1 구조·재질

  • 구조강판, 알루미늄 프로파일+메쉬, 합성수지 강화판 등으로 제작하되 충격·변형에 대한 강도를 확보한다.
  • 메쉬형은 개구 크기와 이격거리의 조합을 준수하여 손·손가락 관통을 방지한다.
  • 부식 환경은 도금·분체도장·스테인리스 등 내식 처리를 적용한다.
  • 윤활·냉각 등이 필요한 구간은 슬럿 또는 투시창을 두되 개구 기준을 준수한다.

3.2 설치·고정

  • 프레임 또는 건물 구조체에 견고히 고정한다. 진동과 접촉하중을 고려해 보강 브레이스 또는 스탠션을 배치한다.
  • 탈부착부는 공구 없이는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유지보수 시간 최소화를 위해 힌지·퀵릴리즈 체결구를 검토한다.
  • 돌출 샤프트는 엔드캡 또는 터널형 가드로 덮고, 키홈·핀 돌출을 제거한다.

3.3 접근 제어

  • 고정식 방호: 상시 접근이 불필요한 구간에 적용한다.
  • 개폐식 방호: 청소·교체 등 접근이 필요한 구간에 적용하며, 개방 시 정지 및 재폐쇄 전까지 재기동 금지를 확보한다.
  • 탈착식 방호: 정비 주기가 긴 구간에 적용한다. 분실 방지 체인과 체결 토크 기준을 부여한다.

3.4 인터록 및 기능안전

  • 개폐식 방호에는 위치감지형 인터록을 적용하고, 강제개방·우회 방지 구조를 적용한다.
  • 정지 명령이 안전적으로 우선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필요한 경우 이중 채널, 자기진단, 불일치 감시를 적용한다.
  • 비상정지는 방호를 대체하지 않는다. 종점 스위치, 텐션 스위치, 벨트 스웨이 스위치 등 보조 감시를 병행한다.
주의 : 인터록 설치 후 문닫힘만으로 자동 기동되게 하지 않는다. 재기동은 의도적이고 단일행위로만 가능해야 한다.

3.5 인체공학·사용성

  • 툴 없이 개방되는 점검창을 금지한다. 투시창·게이지·윤활 포트로 ‘닫힌 상태의 점검’을 지향한다.
  • 작업자 동선과 피난 동선을 방호로 막지 않는다. 점검 시 발판·난간을 안전하게 배치한다.
  • 개구부 상단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하고 예리한 모서리를 제거한다.

4. 개구 크기·이격거리 설계 방법

메쉬·슬럿·개구의 크기와 위험원까지의 이격거리는 손가락·손·팔의 도달 가능 범위를 기준으로 정한다. 설계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위험원 타입 정의: 끼임점, 절단점, 권취점 등으로 분류한다.
  2. 접근 방향 파악: 상부로 넘겨 접근, 측면으로 돌려 접근, 하부로 기어들어감 등 동작 유형을 식별한다.
  3. 개구 형상·치수 후보 설정: 원형 메쉬, 사각 메쉬, 롤러 블라인드, 슬롯 등.
  4. 개구 치수와 이격거리를 조합해 도달 불가능 조건을 만족하도록 반복 설계한다.
  5. 검증: 성인 5백분위 신체치수와 도구 사용 시 우회 가능성, 발판 사용 가능성까지 고려한다.
주의 : 개구 기준은 단일값이 아니라 조합 기준이다. 작은 개구는 짧은 이격거리로 가능하나, 개구가 커질수록 이격거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5. 낙하물·비산물 방지

  • 벨트 상부 커버로 수직 낙하를 차단한다.
  • 활주부·전이부에는 스커트·시일·가이드로 틈새를 최소화한다.
  • 고속 구간에는 전면 투명 보호판 또는 메쉬+투시창 복합 가드를 적용한다.

6. 전기·제어 연계

  • 로컬 격리 스위치 설치로 정비 구간 단독 격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 인터록은 안전회로 전용 접점을 사용하고, 일반 보조접점과 혼용하지 않는다.
  • 재기동 방지 로직, 속도 0 확인, 잔류에너지 소산을 구현한다.

7. 표준 치수·체크 항목 요약

구분 설계 포인트 권장 기준 비고
메쉬형 방호 개구 크기×이격거리 조합 손·손가락 관통 불가 조합 적용 우회 가능성 평가 포함
고정식 가드 공구 없이 탈거 금지 체결구 풀림 방지 장치 적용 점검 주기 길 때 적합
개폐식 가드 힌지+스테이, 열림 제한 열림 시 즉시 정지, 재기동 금지 인터록 의무화
샤프트 엔드 엔드캡·터널가드 돌출부 노출 금지 회전부 말림 방지
정비성 투시창·윤활포트 가드 개방 없는 점검 개구 기준 준수
표지·라벨 위험부 표지, 방향 화살표 한글·그림문자 병행 내유·내열 재질

8. 설치 절차 표준작업서(SOP)

[컨베이어 방호커버 설치 SOP 요약] 1) 준비: 도면 최신화, 에너지 격리(LOTO), 잔류하중 방출 2) 현장표식: 작업구역 차단, 대체동선 확보, 경보장치 점검 3) 프레임 측정: 간섭·진동·수평 확인, 고정점 보강 4) 가드 프리핏: 간섭·행정 확인, 힌지 개도각 검증 5) 고정·체결: 체결토크 적용, 풀림방지 장치 설치 6) 인터록 배선: 케이블 보호, 절연·연속성 시험 7) 기능시험: 열림 정지, 재기동 금지, 비상정지 우선권 확인 8) 납품문서: 부품리스트, 도면, 전기회로, 유지보수 매뉴얼 9) 인수검사: 체크리스트 합격, 위험성평가 잔여위험 기록 

9. 인수검사 체크리스트

항목합격 기준방법빈도
가드 강성작업자 체중 수평하중에 변형·접촉 없음가압 시험초도·연1회
개구·이격손·손가락 도달 불가게이지 시험초도·반기
체결상태표준 토크·풀림방지 적용토크 렌치분기
인터록 기능개방 즉시 정지·재기동 금지기능 시험월 1회
라벨·표지가독성·내구성 확보육안분기
부식·손상녹·균열·틈새 없음육안월 1회
비상탈출피난 동선 확보모의훈련반기

10. 운영·유지관리

10.1 점검주기

  • 일상점검: 가드 손상, 체결 풀림, 라벨 상태, 비상정지 위치 점검을 매 교대 시 수행한다.
  • 정기점검: 개구·이격 재검증, 인터록 기능시험, 회로 고장률 기록 분석을 분기 또는 반기에 수행한다.
  • 특별점검: 설비 개조·라인 배치 변경·사고 발생 후 즉시 수행한다.

10.2 부품 표준화

  • 힌지·잠금·스위치·인디케이터 등 공용화를 통해 재고와 정지시간을 최소화한다.
  • 체결구는 규격·강도·피치·마감색을 표준화한다.

10.3 교육·훈련

  • 작업자에게 가드 임의 해체 금지, 점검 절차, 인터록 우회 금지의 이유를 교육한다.
  • 정비자에게 LOTO 절차, 격리 포인트, 잔류에너지 위험, 인터록 기능시험 절차를 훈련한다.

11. 위험성평가 연계

방호커버 설치는 단발성 활동이 아니라 위험성평가의 통제대책으로 등록·관리한다. 발생가능성과 중대도를 평가하고, 인터록 신뢰성, 점검주기, 교육 빈도를 조정한다. 변경관리(MOC) 시 도면·회로·체크리스트를 업데이트하며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우회·오용을 재평가한다.

12. 사양서 예시

[컨베이어 방호커버 표준 사양서(요약)] 1. 적용범위: 롤러-벨트 접선부, 스프로킷-체인 맞물림부, 텐셔너, 엔드샤프트 2. 재질/표면: SPHC t2.0 이상 또는 SUS304 t1.5 이상, 분체도장 80μm 이상 3. 개구/이격: 손·손가락 도달 불가 조합 적용(도면 B-01 참조) 4. 구조: 고정식(볼트 체결), 개폐식(힌지+슬램락), 탈착식(퀵핀+안전체인) 5. 인터록: 안전형 스위치 2채널, 재기동 금지, 우회 방지 구조 6. 전기: 로컬 격리스위치, 케이블 보호 덕트, 접지 클래스 통일 7. 문서: 2D/3D 도면, 부품리스트, 회로도, 유지보수 매뉴얼 8. 시험: 기능시험(열림정지, 재기동금지), 절연/연속성, 가압 강성시험 9. 라벨: 위험부위 경고, 회전부 표지, 방향표시, 유지보수 연락처 10. 인수조건: 체크리스트 전항목 합격, 교육 이수증, 스페어 파츠 지급 

13. 현장 적용 팁

  • 콘베이어 길이가 길면 구간별 모듈 가드를 표준 모듈로 반복 배치한다.
  • 청소가 잦은 공정은 힌지 개도각을 크게 하고 스테이를 추가해 낙하·끼임 2차 위험을 줄인다.
  • 세척 환경은 배수홀을 설계하고 은폐부에 오물 축적이 없도록 경사·곡면을 부여한다.
주의 : 케이블타이·철사로 임시 고정한 가드는 방호로 인정되지 않는다. 임시조치는 즉시 영구조치로 전환해야 한다.

14. 점검 체크리스트 양식

[컨베이어 방호커버 일상점검표] 설비명/라인: __________ 점검일시: __________ 점검자: __________ 1) 가드 변형·파손 없음 □예 □아니오 2) 체결구 풀림 없음 □예 □아니오 3) 개구·이격 적합 □예 □아니오 4) 인터록 동작 정상 □예 □아니오 5) 비상정지 위치 적정 □예 □아니오 6) 라벨 가독성 유지 □예 □아니오 7) 낙하·비산 방지 적합 □예 □아니오 8) 오염·적치물 없음 □예 □아니오 조치사항: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관리자 검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 유지보수 기준치

항목교체/수리 기준조치
가드 변형수평 200N 가압 시 위험원 접촉보강 또는 교체
체결 풀림표준 토크 -10% 이하재체결·로킹 적용
힌지 마모문처짐 3mm 초과힌지 교체·스테이 추가
라벨 상태가독거리 1m에서 판독 불가동등 이상 등급 재부착

16. 변경관리와 기록

  • 방호 변경 시 도면 개정, 위험성평가 재수행, 교육 재시행을 동시에 완료한다.
  • 인터록 부품 대체 시 동등 이상 성능을 증빙한다. 회로 검증 기록을 보관한다.
  • 점검기록은 설비 수명 동안 보관하고 추세분석으로 예방정비에 반영한다.

FAQ

고정식과 개폐식 방호 중 무엇을 우선 적용하나?

상시 접근이 필요 없으면 고정식을 우선 적용한다.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만 개폐식+인터록을 적용한다.

메쉬 방호는 얼마나 촘촘해야 하나?

개구 크기와 위험원까지의 거리 조합으로 손·손가락 도달 불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하나의 단일 치수가 아니라 조합 기준으로 검토한다.

인터록만 있으면 방호커버가 없어도 되나?

아니다. 인터록은 방호의 보조수단이다. 물리적 차단(가드)을 먼저 적용하고 인터록은 접근 시 제어적 위험저감을 제공한다.

세척이 빈번한 식품라인은 어떻게 설계하나?

세척 방향의 배수, 은폐부 최소화, 부식 방지 재질, 퀵릴리즈 구조를 적용하고, 개방 상태에서도 추가 끼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테이를 둔다.

비상정지 버튼과 가드의 관계는 무엇인가?

비상정지는 잔여위험 대응 장치이며 방호를 대체하지 않는다. 가드 개방 시 정지와 재기동 금지가 우선 확보되고, 비상정지는 최후 수단으로 배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