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 수배전반 정기점검 체크리스트 완벽 가이드

이 글의 목적은 고압 수배전반의 정기점검·정밀점검·수시점검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항목별 절차, 기준, 기록 예시를 제공하여 현장에서 즉시 적용하도록 돕는 것이다.

1. 수배전반 점검의 범위와 기본 원칙

고압 수배전반은 수전 설비, 보호계전 시스템, 고압 차단기 및 개폐기, 모선, 케이블, 계측·감시 장치, 접지 시스템, 배터리 충전반 등으로 구성되며, 설비 간 상호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계통 관점에서 점검 순서를 설계해야 한다.

  • 점검 우선순위는 안전확보 → 상태확인 → 성능검증 → 기록·개선조치 순서로 한다.
  • 점검 모드는 무전원(정지) 점검활선(운전) 상태 점검으로 구분한다.
  • 활선 점검은 감시·측정 중심으로 한정하며 접촉을 수반하는 작업은 금지한다.
  • 정비성·가용성을 고려해 라인별 격리교대 작업계획을 수립한다.
주의 : 점검 전 반드시 LOTO(잠금·표지) 절차를 적용하고, 잔류전하 방전과 무전압 확인을 절차서에 따라 이중 검증해야 한다.

2. 안전절차(LOTO)와 무전압 확인

2.1 LOTO 핵심 단계

  1. 작업 범위 정의 및 위험성평가 실시한다.
  2. 차단기/개폐기 정지, 전원 차단, 기계적 에너지 소산을 수행한다.
  3. 잠금장치 설치, 표지부착, 작업책임자 지정한다.
  4. 무전압 확인(검전) 및 잔류전하 방전한다.
  5. 작업 수행 후 원복, 시험투입, 이상 유무 확인한다.
예시 LOTO 표기 - 설비명: 메인 수전반 MSB-1 - 차단기: 22.9kV VCB #1, #2 - 잠금키 번호: L-014, L-015 - 책임자: 홍길동(전기안전관리자) - 무전압 확인: 3상 모두 0V(검전기 모델/교정일 기재) - 시간: 2025-11-01 10:05 

2.2 무전압 확인 체크

항목방법기준/비고
검전기 상태자체시험 버튼, 교정일 확인교정유효기간 내 사용한다
3상 검전R-S, S-T, T-R, 상-접지모두 0V 확인 후 방전한다
방전방전봉·접지선 사용규정된 시간 유지한다

3. 정지 상태(무전원) 점검 항목

3.1 외관·청정·환경

  • 패널 외함 변형·부식·누수 흔적 유무 확인한다.
  • 도어·힌지·잠금장치 조작성 확인한다.
  • 내부 이물질, 분진, 곤충·설치류 흔적 제거한다.
  • 환기루버·필터 막힘 여부 점검한다.
  • 수분·응결 흔적, 절연물 오염 확인한다.
주의 : 금속분진과 염분 오염은 부분방전 위험을 크게 높이므로 절연체 표면과 모선 지지물의 세정기록을 남겨야 한다.

3.2 모선 및 접속부

  • 모선 피복 손상, 변색, 트래킹 흔적 점검한다.
  • 모선 지지애자 균열, 오염, 이완 여부 확인한다.
  • 케이블 러그·클램프 풀림 및 변형 점검한다.
  • 토크는 제조사 규격에 따라 교정된 토크렌치로 확인한다.

3.3 절연저항(MΩ) 측정

메거(절연저항계)로 상간·상지락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시험전압은 설비정격과 제조사 권고에 따른다.

측정점시험전압 예기록값판정기준
R-S, S-T, T-R1~5 kV___ MΩ제조사 기준 이상이어야 한다
R-접지, S-접지, T-접지1~5 kV___ MΩ누설 경향 없을 것

흡수비(PI)와 유전흡수비(DAR) 평가를 병행하면 습기·오염 영향 파악에 유리하다.

PI(Polarization Index) = 10분값 / 1분값 DAR(Dielectric Absorption Ratio) = 60초값 / 30초값 
주의 : CT 2차측, 전자계전기 입력 등 민감 회로는 반드시 분리하거나 보호저항을 삽입하여 절연시험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

3.4 차단기(VCB/GCB/SF6, 고정형·인출형)

  • 인출형: 레일·트롤리 직진성, 이동락 걸림, 접촉자 마모 확인한다.
  • 개폐 기구부: 스프링·레버·클러치 마모 및 윤활상태 확인한다.
  • 아크차단부: 진공인터럽터(VI) 외관 균열·오염 점검한다.
  • 보조접점, 트립코일·클로즈코일 저항 측정하여 불균형 확인한다.

3.5 보호계전기·트립회로

  • 계전기 설정치(픽업, 시간지연, 곡선)와 보호협조표 대조한다.
  • Trip/Close 회로 배선 식별, 마킹·단자 체결 상태 확인한다.
  • 인터록(전기적·기계적) 작동시험 계획을 수립한다.

3.6 접지 시스템

  • 주접지바(MEB) 체결 상태와 접지선 식별 라벨 확인한다.
  • 문·패널 접지 점퍼 유무, 도어 본딩저항 확인한다.
  • 등전위 연결 누락·부식 확인한다.

3.7 배터리·충전반(직류전원)

  • 셀 외관 팽창·누액 유무, 단자 부식 확인한다.
  • 부유충전전압, 립플전압, 균등충전 절차 확인한다.
  • 비중(납축전지), 셀간 전압편차 기록한다.

4. 운전 상태 점검 항목(활선)

4.1 온도·열화상

  • 모선, 케이블 접속부, 차단기 단자, 변류기 단자 온도 분포를 열화상으로 촬영한다.
  • 부하율·주변온도·상대 비교를 기준으로 이상 상승이 있는 지점에 정밀점검을 계획한다.
주의 : 열화상 판정은 절대온도보다 동일 계열 접점 간 온도차를 중점 비교한다. 차이가 크면 접촉불량 가능성을 우선 의심한다.

4.2 전압·전류·전력 품질

  • 상전압·상전류 균형, 역률, 고조파(THD) 추세를 기록한다.
  • 급전·비상전원 전환 시험 전 기준값을 확보한다.

4.3 부분방전(PD)·초음파·적외선 융합진단(선택)

  • 분안테나(UHF/TEV), 초음파(공기전파)로 절연 열화 징후를 스크리닝한다.
  • 내장 창(Inspection Window)이 있을 때 비접촉 센서를 활용한다.

4.4 차단기 동작시험(무부하 기능검사 포함)

  • 투입·차단 시간, 폴 간 동시성, 코일 응답시간을 기록한다.
  • 전격 시험은 제조사 절차서에 따른다.

5. 보호협조 및 계전시험

5.1 2차 주입시험(Secondary Injection)

  • 과전류(O/C), 지락(E/F), 방향성, 차동, 과전압/저전압, 주파수 계전기의 동작전류·시간 검증한다.
  • 출력 릴레이 접점 동작과 트립회로 연동을 확인한다.

5.2 1차 주입시험(Primary Injection, 필요 시)

  • CT 비율·포화특성 확인과 함께 주회로 전체 트립연동을 검증한다.
  • 모선·케이블 발열을 고려해 시험 전 냉각시간 계획한다.

5.3 계측 변성기(CT/VT) 점검

  • CT 2차 개방 금지, 시험 시 더미부하 또는 쇼트바 설치한다.
  • VT 2차 퓨즈·단자 체결, 극성·상차 확인한다.

6. 청소·윤활·체결 관리

6.1 청정 관리

  • 절연부는 절연세정제와 무보풀 천을 사용한다.
  • 금속분진 제거 시 진공청소기와 브러시를 병행한다.

6.2 윤활 관리

  • 개폐기 기구부는 규정 윤활제를 소량 도포한다.
  • 접촉저항 증가가 우려되는 전기접점에는 도포하지 않는다.

6.3 체결 토크

  • 제조사 표준토크를 기준으로 한다.
  • 교정성적서가 유효한 토크렌치를 사용한다.

7. 점검 주기 설계 예시

점검유형주기 예핵심 항목비고
수시점검 주 1회 이상 표시등, 계기값, 소음·냄새, 누설 흔적, 도어 잠금 활선 점검 중심
정기점검 반기~연 1회 청정, 체결, 절연저항, 열화상, 인터록 시험 무전원 포함
정밀진단 3~5년 부분방전, 계전정밀시험, 1차 주입, 차단기 분해점검 계통정지 필요

8. 설비별 상세 체크리스트

8.1 수전반(메인 인커밍)

  • 수전 차단기 상태표시, 기계적 위치, 저장에너지 스프링 상태 확인한다.
  • 전력량계, 수전계기 배선, PT/CT 단자 체결 확인한다.
  • 계전기 설정치와 계통 보호협조표 대조한다.
  • 모선 접속부 열화상 기준치 대비 편차 확인한다.

8.2 모선실

  • 차폐판, 격벽, 아크가이드 손상 유무 확인한다.
  • 애자 균열·오염 제거한다.
  • 모선 간격·지지 간극 이탈 여부 확인한다.

8.3 출구반(Feeder)·MCC

  • 차단기 트립유닛 설정, 보조접점, 계전 배선 확인한다.
  • 모터보호 계전기 동작시험 계획한다.
  • 콘택터 아크흔적, 코일 저항, 기계적 동작성 확인한다.

8.4 케이블룸·트렌치

  • 케이블 상구분 라벨, 종단부 방수, 지지클램프 간격 확인한다.
  • 과열·변색, 절연 파손 흔적 점검한다.
  • 케이블 헤드·터미네이션 트래킹 흔적 확인한다.

8.5 접지·피뢰·등전위

  • 접지저항 측정 계획 수립한다.
  • 설비 간 등전위 본딩 누락 여부 확인한다.

8.6 배터리·DC 전원반

  • 충전기 알람, 릴레이 출력, 저전압 트립회로 확인한다.
  • 정전 대비 잔여 용량 시험(방전시험 계획) 검토한다.

9. 기록·라벨링·문서화

9.1 라벨링

  • 패널명, 회로번호, 인출형 차단기 식별표를 명확히 부착한다.
  • CT/VT 비율, 계전 설정치, 인터록 로직 요약표를 문서화한다.

9.2 점검기록 양식 예시

점검일시: 2025-11-01 14:30 점검자/입회자: 홍길동/김가나 설비: 22.9kV 수배전반 MSB-1 환경: 24℃, 55%RH, 분진지수 보통
외관/청정: 양호

모선/접속부: 체결 재확인(표준토크 준수)

절연저항(MΩ): R-S >1000, S-T >1000, T-R >1000, R-E >1000, S-E >1000, T-E >1000

차단기: 인출/삽입 원활, 보조접점 OK, 코일저항 좌/우/중앙 균형

보호계전: OCR 픽업 200A, TD 0.3, EFR 15A/0.2s 확인

인터록: 개폐 순서 시험 OK

열화상: Feeder-3 접속부 +8K, 추적관찰

개선조치: Feeder-3 접속부 청소/재체결 계획(2025-11-05)
서명: __________

10. 시험·검교정 관리

  • 메거, 접지저항계, 클램프미터, 열화상카메라, 계전시험기 등 계측기는 교정유효기간 내 사용한다.
  • 시험전압, 전류 주입값, 시간은 기록지에 자동 저장하거나 사진으로 증빙한다.

11. 아크플래시 및 작업자 보호

  • 아크플래시 위험평가 결과에 따른 PPE 등급을 패널 전면에 표기한다.
  • 문 개방 점검 최소화, IR 윈도우와 무선 센서를 활용한다.
  • 가동 중 차단기 조작 시 원격 스위칭 장치 사용을 검토한다.
주의 : 활선 상태에서 도어 개방·접촉·체결 작업은 금지한다. 필요 시 정지·격리·접지 후 수행한다.

12. 불량 징후와 시정조치 매핑

징후가능 원인즉시 조치근본대책
국부 과열 체결 이완, 접촉저항 증가 부하 감시, 정지 후 재체결 토크관리, 접점 교체
부분방전 소음 절연 오염·습기, 간극 불량 부스바 청소·건조 절연개선, 실링·가열 건조
트립 오동작 계전 설정 오류, 배선 접촉불량 설정 복구, 배선 점검 보호협조 재설계, 표준서 개정
차단 불완전 기구부 마모, 코일 열화 예비기 투입, 분해점검 예방정비 주기 단축, 부품 교체

13. 정전 시험 및 비상대응

  • 정전·복전 시퀀스, ATS 전환시험, UPS 바이패스 시험 절차를 사전 승인한다.
  • 비상연락망과 롤백 기준을 작업지시서에 명시한다.
  • 시험 후 모든 인터록·라벨·커버 원복을 확인한다.

14. 점검 대상별 상세 점검표 샘플

14.1 패널 외함·도어

점검항목방법기록판정
도어 정렬·개폐육안·조작정상/이상OK/NG
패킹 손상육안정상/갈라짐OK/NG
표시등·경보점등 시험정상/불량OK/NG

14.2 주회로·모선

점검항목방법기록판정
모선 피복 손상육안유/무OK/NG
접속부 체결토크 확인규격 준수OK/NG
애자 균열·오염육안유/무OK/NG

14.3 차단기·개폐기

점검항목방법기록판정
인출/삽입무전원 조작원활/걸림OK/NG
보조접점연속성 시험Ω값OK/NG
Trip/Close 코일저항 측정좌/우 균형OK/NG

14.4 보호계전기

점검항목방법기록판정
설정치 검토보호협조표 대조픽업/TDOK/NG
2차 주입시험기동작전류/시간OK/NG
트립 접점연속성ON/OFFOK/NG

14.5 계측·원격감시

  • 전력계통 계측값과 BMS/SCADA 표시편차를 비교한다.
  • 통신상태, 이벤트 로그, 시각동기 상태를 확인한다.

15. 사례 기반 점검 포인트

  • 결로 지역 반복 발생: 패널 내 히터 용량·설정 재검토, 환기 개선한다.
  • 동일 회로 반복 과열: 토크 재확인 후 도체·러그 교체 검토한다.
  • 간헐 트립: CT 2차 접속 불량, 접점 바운스, 계전 로직 오설정 점검한다.

16. 개선계획 수립

  1. 불량등급 매기기(치명·중대·경미)로 리소스를 집중한다.
  2. 부품 수명관리 목록화(차단기 코일, 스프링, 표시등, 팬·히터)한다.
  3. 스페어 파트 현황 및 조달 리드타임 관리한다.

17. 교육·자격·승인

  • 전기취급자 안전교육과 장비별 제조사 교육을 이수한다.
  • 고압 설비 접근은 허가·감시 체계를 유지한다.

FAQ

절연저항 기준은 얼마로 잡아야 하나?

절연저항 기준은 설비 정격·제조사 권고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고압 회로는 수백 MΩ 이상의 높은 값이 요구되며, 동일 설비의 과거 추세와 상대 비교로 열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열화상에서 어느 정도 온도차를 이상으로 보나?

동일 종류 접점 간 온도차가 두드러질 경우 이상으로 본다. 부하율과 주변온도, 접점 구조를 고려하여 기준을 내부 표준으로 정하고 추세관리를 수행한다.

부분방전 측정은 반드시 해야 하나?

정밀진단 단계에서 권장한다. 오염·습기·절연열화가 우려되는 환경에서는 예방정비 관점에서 유효하다.

차단기 분해점검 주기는 어떻게 정하나?

개폐 횟수, 정격 차단전류 통전 이력, 주변환경, 제조사 권고를 종합해 3~5년 주기를 기본으로 설정하고, 실제 데이터에 따라 조정한다.

활선 상태에서 무엇을 확인할 수 있나?

표시·계측값, 소음·냄새, 진동, 열화상, 부분방전 스크리닝 등 비접촉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체결·세정·절연시험은 정지 상태에서만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