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약 캐비닛 NFPA 다이아몬드 작성법

이 글의 목적은 연구실과 작업장에서 시약 캐비닛 외부에 부착하는 NFPA 704 다이아몬드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작성하는 실무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NFPA 704의 개념과 시약 캐비닛에의 적용

NFPA 704는 화재, 구조, 누출 대응 인력이 원거리에서 즉시 위험도를 파악하도록 숫자와 색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 체계이다.

원래는 건물, 저장구역, 탱크, 배관 등 고정 설비 표시에 주로 사용되지만, 시약 캐비닛에도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보관 물질의 최대 위험도를 표시하는 것이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시약 캐비닛 표기는 법정 강제사항이 아닌 경우가 많으나, 비상대응의 가시성과 작업자 의사소통을 크게 향상시키므로 안전관리 표준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과 숫자의 의미 요약

구역의미숫자 체계
건강 Hazard파랑급성 독성, 부식성, 흡입·피부·안구 손상 가능성을 나타냄0~4 등급으로 4가 가장 위험함
인화성 Flammability빨강증기·가스·분진의 착화 용이성과 연소 특성을 나타냄0~4 등급으로 4가 가장 인화성이 큼
반응성 Instability노랑폭발성, 자기반응성, 물반응성 등 화학적 불안정을 나타냄0~4 등급으로 4가 가장 불안정함
특수위험 Special흰색물반응성(W̶), 산화성(OX), 단순질식성 가스(SA) 등 특수 주의를 기호로 표기함문자 기호 사용

숫자 0은 일반 가연물 수준, 1은 경미한 위험, 2는 주의 필요, 3은 심각한 위험, 4는 매우 심각한 위험을 의미한다.

등급별 판정의 실질적 정의

건강 Hazard 등급

  • 4: 매우 짧은 노출로도 사망 또는 주요 장기 손상이 가능한 수준이다.
  • 3: 짧은 노출로도 심각한 일시적 또는 잔존 손상이 가능한 수준이다.
  • 2: 강한 또는 지속 노출 시 일시적 무능력 또는 잔존 손상이 가능한 수준이다.
  • 1: 노출 시 자극 등 경미한 손상이 가능한 수준이다.
  • 0: 통상적 조건에서 특별한 위험이 없는 수준이다.

인화성 Flammability 등급

  • 4: 상온에서 매우 쉽게 증발하고 공기와 혼합되어 즉시 착화될 수 있는 물질이다.
  • 3: 실온 부근에서도 가열 없이 쉽게 점화될 수 있는 액체나 고체이다.
  • 2: 점화를 위해 가열이 필요한 액체로서 보통 온도에서는 증기가 충분히 발생하지 않는 수준이다.
  • 1: 높은 온도로 예열되어야 점화되는 액체 또는 고체이다.
  • 0: 통상적 화재 조건에서 연소하지 않는 물질이다.

반응성 Instability 등급

  • 4: 상온·상압에서도 폭발 또는 폭주시 분해가 가능한 물질이다.
  • 3: 강한 기폭원이나 가열·밀폐 조건에서 폭발적 반응이 가능한 물질이다.
  • 2: 고온·가압 또는 혼합 시 격렬한 화학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 1: 통상은 안정하나 고온·가압 또는 특정 반응조건에서 불안정해질 수 있는 물질이다.
  • 0: 통상 조건에서 안정하고 물과도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다.

특수위험 기호

  • W̶: 물과 비정상 반응하여 가연성 또는 독성 가스를 발생하거나 격렬히 반응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 OX: 산화성 물질로 산소를 제공하여 다른 물질의 연소를 촉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SA: 단순질식성 가스로 산소 결핍을 유발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기체에만 사용한다.

시약 캐비닛 표기 원칙 선택

시약 캐비닛은 여러 물질이 혼재하므로 하나의 숫자로 종합 위험을 표현하는 운영 원칙을 사전에 정해야 한다.

원칙설명장점주의점
최대위험도 방식 보관 중인 모든 시약 중 가장 높은 건강·인화성·반응성 등급을 각각 선택하여 표기한다. 가장 보수적이며 비상대응 시 안전여유가 크다. 실제 평균 위험보다 크게 보일 수 있다.
구획별 표기 인화성, 산화성, 산·염기 등으로 선반을 분리하고 각 구획마다 표기한다. 정보 정확도가 높고 위험물 분리원칙과 일치한다. 표지가 여러 개 필요하고 유지관리 부담이 증가한다.
주류물질 방식 해당 캐비닛의 주된 목적물질을 기준으로 표기한다. 단순하고 교육이 쉽다. 소량의 고위험 시약을 간과할 수 있다.

연구실 운영에서는 구획별 표기 또는 최대위험도 방식이 권장된다.

NFPA 다이아몬드 작성 절차 6단계

  1. 범위 설정: 캐비닛 전체에 하나를 붙일지, 선반이나 컨테이너 그룹별로 나눌지를 정한다.
  2. SDS 확보: 모든 시약의 최신 SDS를 수집하고 제조사, 농도, 혼합물 여부를 확인한다.
  3. 등급 판정: SDS에 NFPA 704 등급이 기재된 경우 그대로 사용하고, 누락 시 아래 간이 기준을 적용한다.
  4. 특수기호 결정: 물반응성, 산화성, 단순질식성 가스 여부를 확인한다.
  5. 표지 제작: 고대비 색상, 내열·내수 스티커 또는 자성판으로 제작하고 숫자는 충분히 크게 인쇄한다.
  6. 검토·부착·갱신: 안전담당자 검토 후 캐비닛 전면 시야높이 위치에 부착하고, 반입·폐기·농도 변경 시 즉시 갱신한다.

간이 판정 기준표(현장 적용용)

구역등급현장 판단 기준 예시
인화성4실온에서 쉽게 기화해 점화원이 있으면 즉시 연소할 수 있는 물질이다.
3상온에서 가열 없이 점화될 수 있는 용제류이다.
2가열 또는 높은 주변온도에서만 증기가 충분히 발생해 점화되는 액체이다.
1높은 온도로 예열되어야 점화되는 액체 또는 고체이다.
0일반 화재조건에서 연소하지 않는 물질이다.
건강4소량 노출만으로 생명위협 또는 영구장해 위험이 있는 물질이다.
3짧은 노출로도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부식성 또는 고독성 물질이다.
2반복 또는 고농도 노출 시 일시적 무능력이나 잔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다.
1자극성은 있으나 보통 관리하에 업무가 가능한 수준이다.
0통상적 취급조건에서 특별한 위험이 없는 물질이다.
반응성4상온·상압에서도 폭발적 분해 위험이 있는 물질이다.
3강한 기폭원이나 가열·밀폐 시 폭발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다.
2고온·혼합 등 특정 조건에서 격렬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1높은 온도·압력에서 불안정해질 수 있거나 물과 약하게 반응하는 물질이다.
0안정하며 물과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다.
특수W̶, OX, SA물반응성은 W̶, 산화성은 OX, 단순질식성 가스는 SA로 표기한다.

용제류 등 인화성 액체는 보수적으로 2 또는 3을 우선 고려하고, 수계 용액은 일반적으로 0 또는 1을 고려한다.

대표 시약의 등급 예시와 주의

아래 값은 농도와 제조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 SDS를 우선 확인해야 한다.

물질건강인화성반응성특수비고
아세톤130증기 누적 시 폭발하한에 주의한다.
에탄올230탈지·자극 가능성에 주의한다.
톨루엔230중추신경계 영향에 주의한다.
아세트니트릴230흡입·피부 흡수에 주의한다.
염산(35%)301부식성 증기에 주의한다.
질산(65~70%)301OX강산화성으로 혼합주의가 필요하다.
수산화나트륨 고형301용해 시 발열과 부식에 주의한다.
과산화수소(30% 내외)201OX분해·산화반응 가속에 주의한다.
질소, 아르곤(가스)000SA밀폐공간 질식 위험이 있다.

메탄올, 디에틸에테르, 피리딘 등은 제조사 SDS의 NFPA 표기를 우선 적용해야 한다.

GHS, HMIS와의 차이 및 혼용 방지

항목NFPA 704GHSHMIS
목적비상대응 시 즉시 인지국제적 분류·표지·SDS 표준화사업장 내부 교육·운영
숫자 방향큰 숫자가 더 위험작은 숫자 카테고리가 더 위험큰 숫자가 더 위험
구성파랑·빨강·노랑·흰색 다이아몬드그림문자·신호어·주의문구색 막대와 숫자·PPE 코드
상호변환직접 1:1 변환 불가분류기준 세부가 다름회사별 정의 차이가 존재

GHS 분류표나 SDS의 위험문구만으로 NFPA 숫자를 기계적으로 바꾸지 말아야 한다.

시약 캐비닛 표지 디자인과 부착 위치

  • 크기: 실내 시인성을 고려하여 최소 한 변 100~150mm 권장이다.
  • 재질: 내수성 비닐, 라미네이팅, 자성판 중 택일한다.
  • 숫자: 검은색 큰 숫자를 중앙에 배치하고 번짐을 방지한다.
  • 대비: 도어 색과 대비가 크도록 배경 테두리를 추가한다.
  • 부착 위치: 도어 전면 시야높이 부근 우측 상단을 권장한다.
  • 추가 표식: 인화성 캐비닛에는 화기엄금 표지를 병행한다.

라벨링 운영 체크리스트

항목체크 포인트빈도
재고 변동신규 반입·폐기 시 NFPA 숫자 갱신 여부를 확인한다.수시
SDS 최신성제조사·농도 변경 시 최신 SDS를 반영한다.반기
가독성색 바램, 찢김, 오염 여부를 확인한다.분기
분리보관산화성, 강산·강염기, 황화물·시안화물 등 불일치 물질의 혼재 여부를 점검한다.월 1회
교육신규 근로자·연구자에게 숫자 의미와 특수기호를 교육한다.반기
비상연락근처에 응급연락망과 대피동선을 게시한다.반기

SDS에서 NFPA 숫자 찾기와 부재 시 판정 요령

SDS의 마지막 항목에 NFPA 704 숫자가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부재 시에는 인화성은 점화 용이성과 휘발성, 건강은 독성·부식성·자극성, 반응성은 폭발성·자기반응성·물반응성·산화성 정보를 근거로 보수적으로 판정한다.

혼합물은 성분 중 위험등급이 높은 물질의 영향과 최종 농도를 함께 고려한다.

불일치 물질과 캐비닛 구성의 상호작용

NFPA 숫자는 표지일 뿐이며 저장배치의 적합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산화성(OX)은 환원제, 가연물과 분리하고, 물반응성(W̶) 물질은 수계 용액과 분리하며, 산·염기는 서로 분리 저장한다.

시안화물과 산의 근접, 황화물과 산의 근접, 과염소산과 유기물의 근접을 피해야 한다.

인쇄·제작 팁

  • 벡터 기반 편집기로 정사각형 사분면을 45도 회전하여 다이아몬드를 구성한다.
  • 색상은 파랑, 빨강, 노랑, 흰색의 순서와 톤을 유지한다.
  • 프린터 색상 오차를 고려하여 채도를 충분히 높인다.
  • 자석 도어에는 자성판을 사용하여 갱신을 용이하게 한다.

현장 적용 예시 시나리오

예시 1: 인화성 용제 전용 캐비닛에 아세톤, 에탄올, 톨루엔을 주로 보관하는 경우 건강 2, 인화성 3, 반응성 0으로 표기한다.

예시 2: 무기산 캐비닛에 염산, 질산, 황산이 있는 경우 건강 3, 인화성 0, 반응성 1, 특수 OX를 고려한다.

예시 3: 가스보관 캐비닛에 질소와 아르곤이 있는 경우 건강 0, 인화성 0, 반응성 0, 특수 SA를 표기한다.

교육 포인트 핵심 요약

  • 숫자는 0에서 4로 갈수록 위험이 커진다.
  • 흰색 칸의 기호는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 GHS와 숫자 방향이 반대이므로 혼동하지 않는다.
  • 표지는 재고가 바뀌면 즉시 갱신한다.

FAQ

여러 물질이 섞여 있을 때 평균값으로 표기해도 되는가

권장하지 않는다. 비상대응 관점에서는 최대위험도 방식이 더 안전하다.

OX, W̶, SA 외에 COR 같은 기호를 써도 되는가

운영의 일관성을 위해 제한된 기호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HS 분류만 있는 SDS에서 숫자를 어떻게 정하는가

인화성 액체 범주, 급성독성 범주, 부식성·심각한 손상 위험 여부, 반응성 특성 정보를 종합하여 보수적으로 판정한다.

표지 크기는 규정이 있는가

원거리 식별이 목적이므로 현장 시인성 기준으로 충분히 크게 제작하는 것이 실무적이다.

다이아몬드만 보고 화재진압 전략을 정해도 되는가

불가하다. 현장 위험평가, SDS, 공정정보, 환기조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