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국내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16항목 기반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국문 템플릿을 제공하고, 각 항목별 필수 기재요소와 작성 요령을 체계적으로 안내하는 데 있다.
빠르게 쓰는 방법
아래 빈 템플릿을 통째로 복사하여 사내 서식으로 저장한 뒤 물질별로 값만 채워 넣으면 된다. 서두의 문서 정보 블록과 16항목 본문으로 구성되며, 표 구조를 유지하면 검색성과 가독성이 높아진다. 혼합물은 구성성분과 분류근거를 반드시 명시한다. 개정 시 문서 번호와 개정 이력 표를 갱신한다.
문서 기본 정보 블록
| 문서명 | [MSDS – 물질명] |
| 문서번호 | [예: SC-MSDS-XXX] |
| 개정번호 | [예: Rev.03] |
| 제정일자 | [YYYY-MM-DD] |
| 개정일자 | [YYYY-MM-DD] |
| 작성자 | [성명/부서/연락처] |
| 검토자 | [성명/부서] |
| 승인자 | [성명/직책] |
MSDS 국문 빈 템플릿 16항목
1. 물질·혼합물과 회사에 관한 사항
| 제품명 | [정식명칭] |
| 동의어/상품명 | [별칭, 약어] |
| 권장 용도 | [예: 희석용 용제로 사용한다] |
| 사용 제한 | [예: 가정용 사용 금지] |
| 제조사/공급자 | [상호, 주소] |
| 비상연락처 | [24시간 번호] |
2. 유해·위험성에 관한 요약
| GHS 분류 | [예: 인화성 액체 2, 피부자극 2 등] |
| 신호어 | [위험/경고] |
| 유해·위험문구 | [예: H-문구 코드와 한글 문구] |
| 예방·대응·저장·폐기 문구 | [예: P-문구 코드와 한글 문구] |
| 그림문자 | [해골, 화염 등 해당 그림문자명] |
| 기타 위험 | [예: 고농도 증기 흡입 위험이 존재한다] |
3.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혼합물은 모든 유해성 분류에 기여하는 성분을 농도범위와 함께 기재한다.
| 성분명 | CAS No. | 함유량(%) | 비고 |
| [예: Isopropyl alcohol] | [67-63-0] | [45–55] | [분류 근거 있음] |
| [성분2] | [CAS] | [범위] | [비고] |
4. 응급조치 요령
| 눈에 들어갔을 때 | [수돗물로 15분 이상 세척한다. 콘택트렌즈를 제거한다.] |
| 피부 접촉 | [오염의복을 제거하고 비누와 물로 씻는다.] |
| 흡입 | [신선한 공기로 이동시키고 필요 시 의료처치를 요청한다.] |
| 섭취 | [입을 헹구고 구토 유도를 금지한다. 의료진과 상담한다.] |
| 의사에게 필요한 정보 | [증상 기반 처치를 권장한다. 특이 해독제 정보가 있으면 기재한다.] |
5. 화재 시 대처방법
| 적용 소화제 | [알코올포 소화약제, 건식화학분말, 이산화탄소 등] |
| 부적절 소화제 | [고압 수류 등] |
| 특수 위험 | [가열 시 용기 파열 위험이 존재한다.] |
| 소방대원 보호 | [자가용 보호장비와 양압식 호흡보호구를 착용한다.] |
6.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 개인주의사항 | [불꽃과 점화원을 제거한다. 통풍을 확보한다.] |
| 환경주의사항 | [배수로 유입을 차단한다.] |
| 정리·정돈 방법 | [불활성 흡수재로 흡수하여 밀폐 용기에 담아 폐기한다.] |
7. 취급 및 저장 방법
| 취급 | [국소배기 가동 상태에서 취급한다. 정전기 방지 접지·본딩을 적용한다.] |
| 저장 |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보관한다. 밀폐 용기를 사용한다.] |
| 특이 저장 조건 | [직사광선 회피, 산화제와 격리 보관 등] |
8.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사업장 노출기준과 공학적 관리, 보호구를 구분하여 기재한다.
| 구분 | 내용 |
| 노출기준 | [예: 시간가중평균, 단시간 노출기준] |
| 공학적 관리 | [국소배기, 밀폐화, 누설감지] |
| 호흡보호 | [필요 시 유기화합물용 정화통이 장착된 반면체를 사용한다.] |
| 손 보호 | [불소고무 혹은 니트릴 장갑을 권장한다.] |
| 눈·얼굴 보호 | [보안경 또는 안면보호구를 사용한다.] |
| 피부·신체 보호 | [방오 작업복과 방재 앞치마를 권장한다.] |
| 위생조치 | [작업 후 손을 씻고 오염 의복은 재사용 전 세척한다.] |
9. 물리적·화학적 특성
측정 단위와 시험기준을 일관되게 사용한다.
| 겉모양 | [무색 투명 액체 등] |
| 냄새 | [특이 냄새] |
| pH | [수용액 기준 또는 비적용] |
| 녹는점/응고점 | [°C] |
| 끓는점 | [°C] |
| 인화점 | [°C, 방법 기재] |
| 증기압 | [kPa, 20°C] |
| 증기밀도 | [공기=1 기준] |
| 상대밀도 | [물=1 기준] |
| 용해도 | [물 또는 용매] |
| 분배계수 n-옥탄올/물 | [log Pow] |
| 자연발화온도 | [°C] |
| 폭발한계 | [하한–상한, %] |
| 점도 | [mPa·s, 20°C] |
| VOC 함량 | [% 또는 g/L] |
10. 안정성 및 반응성
| 화학적 안정성 | [정상 조건에서 안정하다.] |
| 피해야 할 조건 | [열, 불꽃, 정전기] |
| 피해야 할 물질 | [강산화제, 강산] |
| 위해한 분해산물 |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 |
11. 독성에 관한 정보
급성독성, 자극성, 과민성, 발암성, 생식독성, 특정표적장기독성, 흡인유해성을 항목별로 정리한다.
| 지표 | 자료 |
| 급성독성 경구 | [LD50 값 또는 자료없음] |
| 급성독성 경피 | [LD50 값 또는 자료없음] |
| 급성독성 흡입 | [LC50 값 또는 자료없음] |
| 피부부식·자극 | [분류 및 근거] |
| 심한 눈 손상·자극 | [분류 및 근거] |
| 호흡기·피부 과민성 | [분류 및 근거] |
| 발암성 | [분류 및 근거] |
| 생식세포 변이원성 | [분류 및 근거] |
| 생식독성 | [분류 및 근거] |
| 특정표적장기독성 1회/반복 | [분류 및 근거] |
| 흡인유해성 | [분류 및 근거] |
12. 환경에 미치는 영향
| 항목 | 자료 |
| 수생생물 독성 | [어류, 갑각류, 조류 지표] |
| 지속성·분해성 | [분해률 또는 추정] |
| 생물농축성 | [BCF 또는 로그 Pow] |
| 토양이동성 | [Koc 또는 정성평가] |
| 기타 유해성 | [오존층 영향 등] |
13. 폐기 시 주의사항
| 물질·혼합물 폐기 | [허가된 처리업체를 통해 위탁 처리한다.] |
| 오염 용기 | [내용물을 완전히 비우고 라벨을 유지한 채 폐기한다.] |
| 특이 사항 | [연소 또는 배출 금지 등] |
14. 운송에 필요한 정보
| 항목 | 기재내용 |
| UN 번호 | [예: UN1219] |
| 운송명 | [예: ISOPROPANOL] |
| 위험등급 | [예: Class 3] |
| 포장등급 | [예: II] |
| 해양오염물질 | [예/아니오] |
| 특별주의사항 | [분리적재, 통풍 유지 등] |
15. 관련 법령에 관한 사항
국내외 규제 목록, 취급제한 여부, 신고대상 여부, 관리대상 여부를 간결히 요약한다.
| 범주 | 해당 여부 및 설명 |
| 국내 규제 | [해당 시 조항명과 항목명 기재] |
| 국외 규제 | [해당 시 목록명과 상태 기재] |
| 기타 주의 | [사업장 보관량 관리 등] |
16. 그 밖의 참고사항
| 자료 출처 구분 | [시험성적, 공개 데이터베이스, 공급사 데이터 등 출처 유형만 기재한다.] |
| 교육 및 참고 | [사용 전 교육을 실시한다. 작업표준과 함께 배포한다.] |
| 개정 이력 |
| 개정번호 | 개정일 | 주요 변경사항 |
| [Rev.01] | [YYYY-MM-DD] | [신규 제정] |
| [Rev.02] | [YYYY-MM-DD] | [분류 변경, 물성 업데이트] |
|
항목별 작성 가이드와 체크포인트
1항목 체크포인트
- 제품명은 라벨과 일치해야 한다.
- 비상연락처는 24시간 연결 가능한 번호를 기재한다.
- 권장 용도와 사용 제한을 한 문장으로 명확히 구분한다.
2항목 체크포인트
- 분류는 최신 GHS 분류기준을 따른다.
- 신호어와 그림문자는 분류 결과와 논리적으로 일치해야 한다.
- 문구는 코드와 한글 문구를 함께 기재하면 교육에 도움이 된다.
3항목 체크포인트
- 혼합물은 기여도 있는 유해성 성분을 농도범위로 표시한다.
- 구성성분의 화학명과 CAS 번호를 정확히 기재한다.
- 기밀 사유가 있을 때는 범위 표기를 사용한다.
4항목 체크포인트
- 응급조치는 실제 현장에서 수행 가능한 수준으로 간결히 작성한다.
- 의료진 주의사항이 있다면 반드시 별도 문장으로 강조한다.
5항목 체크포인트
- 적용 소화제와 부적절 소화제를 동시에 제시한다.
- 폭발 확대 위험과 원격 냉각 필요성을 명시한다.
6항목 체크포인트
- 방폭구역 설정과 통풍 확보를 우선한다.
- 흡수재 종류와 회수 절차를 구체적으로 쓴다.
7항목 체크포인트
- 정전기 예방을 위해 접지·본딩을 명시한다.
- 불활성 분위기 또는 저온 보관이 필요한 경우 특별히 기재한다.
8항목 체크포인트
- 노출기준은 수치와 평균 기준을 함께 쓴다.
- 보호구는 재질과 성능등급을 함께 제시한다.
9항목 체크포인트
- 시험조건과 온도를 함께 기재한다.
- 측정불가 시 N/A로 통일하고 사유를 각주로 남긴다.
10항목 체크포인트
- 피해야 할 물질과 조건은 실제 보관구역 표지와 일치시킨다.
- 분해산물은 화재·열분해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11항목 체크포인트
- 동물실험 수치와 인체자료를 구분한다.
- 분류 없음은 근거를 간단히 적는다.
12항목 체크포인트
- 급·만성 수생독성을 구분한다.
- 이동성은 Koc 또는 정성평가로 일관되게 작성한다.
13항목 체크포인트
- 오염 흡수재도 유해폐기물로 취급한다.
- 소각 또는 하수배출 금지 여부를 명확히 적는다.
14항목 체크포인트
- 국제운송 정보와 내국운송 정보를 일치시킨다.
- 포장등급과 라벨 표시를 검증한다.
15항목 체크포인트
- 해당 규제 목록명을 정확히 쓴다.
- 보관량 관리나 취급제한이 있으면 준수 요건을 요약한다.
16항목 체크포인트
- 개정 사유와 영향 범위를 한 줄로 요약한다.
- 교육자료와 작업표준 문서번호를 링크 없이 텍스트로 연결한다.
현장 적용 팁
- 문서번호 체계를 미리 정해 물질 변경 시 추적성을 확보한다.
- 라벨과 MSDS의 분류·문구·그림문자 3요소를 수시로 교차검증한다.
- 혼합물은 성분 변동 허용범위를 내부관리 기준으로 운영한다.
- 배포 버전은 PDF로 고정하고 원본은 통제 폴더에 보관한다.
- 작업장에는 요약판을 게시하고 원문은 QR 코드로 열람 가능하게 한다.
- 신규 시험성적이 확보되면 30일 이내 개정 검토를 개시한다.
인쇄용 요약표(선택)
작업장 게시용 한 장 요약표는 다음 형식을 권장한다.
| 항목 | 핵심 내용 |
| 제품명/용도 | [ ] |
| 유해성 요약 | [신호어/그림문자/주요 H문구] |
| 응급조치 | [눈/피부/흡입/섭취] |
| 취급·저장 | [접지·통풍·격리] |
| 보호구 | [호흡/손/눈/신체] |
| 비상연락처 | [24시간 번호] |
FAQ
MSDS와 SDS는 같은 문서인가
두 용어는 동일한 성격의 문서를 지칭하며 국내에서는 물질안전보건자료로 통용된다.
혼합물 농도는 왜 범위로 쓰는가
배치 변동과 영업기밀 보호를 동시에 만족하기 위해 농도범위를 사용한다.
그림문자는 어떻게 선택하는가
분류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며 신호어와 일관되게 적용한다.
개정 기준은 무엇인가
분류 변경, 한계값 수정, 물성 측정값 업데이트, 용도 변경이 발생하면 개정한다.
배포 형식은 무엇이 적절한가
무단 수정 방지를 위해 PDF로 배포하고 원본 편집파일은 통제한다.
외주 제품 MSDS는 어떻게 관리하는가
공급사 최신본을 수령하여 내부 서식과 비교점검하고 핵심 값의 변동을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