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과목 구조, 회독 전략, 계산문제 접근, 법규 암기법, 오답노트 운영, 모의고사 채점 기준까지 실무형 공부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1. 산업안전기사 필기 구조 이해와 점수전략
필기 합격의 핵심은 과목별 난도 차이를 활용하여 안정적인 득점 구간을 확보하고 계산문제의 오답 리스크를 통제하는 데 있다. 법규·관리 과목은 암기 비중이 높아 단기간 고득점이 가능하며, 기계·인간공학·화학·건설 파트는 개념 이해와 계산 연습이 요구된다. 시간 배분은 회독 속도와 계산 풀이 시간을 반영하여 마지막 10일간 실전 난이도 문제로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과목별 학습 포인트 맵
| 과목 | 핵심 테마 | 대표 개념/계산 | 공부 포인트 |
|---|---|---|---|
| 산업안전관리 | 재해통계, 위험성평가, 안전관리체계 | 재해율·도수율·강도율 계산 | 지표 공식과 단위 변환을 표로 고정하여 반복 암기한다. |
| 산업심리·인간공학 | 작업설계, 피로, 조명·소음·진동 | NRC, 조도·소음 산술·에너지 합산 | 로그 스케일과 dB 합산 규칙을 사례와 함께 암기한다. |
| 기계위험방지 | 가드·인터록, 동력전달, 프레스 | 정지거리, 브레이크 거리 | 수식 대입형 문제를 템플릿으로 만들어 실수 방지한다. |
| 전기·화재·폭발 | 정전기, 방폭, 소화이론 | 착화에너지, 분진·가스 폭발 특성 | 정의형 용어를 표로 정리하고 비슷한 개념을 구분한다. |
| 화공안전 | 열·물질전달, 폭발이론, 유해화학 | 플래시·파이어, BLEVE 개념 | 그림과 상황 예시로 개념 연결망을 구축한다. |
| 건설안전 | 비계·거푸집·타워크레인 | 안전계수, 하중·지압 계산 | 수치 암기표를 만들고 단위 환산을 따로 연습한다. |
| 산업안전보건법 | 정의, 도급, 안전보건관리체계 | 벌칙·행정처분 숫자 | 숫자는 문장 스토리로 묶어 암기한다. |
3. 4주·6주 압축 커리큘럼
직장인과 수험생의 시간 제약을 고려하여 4주와 6주 계획을 제시한다. 개인 사정에 따라 주당 시간만 조정하면 된다.
3.1 4주 플랜
| 주차 | 목표 | 세부 실행 | 산출물 |
|---|---|---|---|
| 1주차 | 전 범위 1회독 | 과목별 핵심이론 요약 30% 수준으로 빠르게 본다 | 요약 노트 20쪽 내외 |
| 2주차 | 기출 1~2회분 풀이 | 오답 태그 분류 및 법규 숫자 암기 시작 | 오답노트 10~15쪽 |
| 3주차 | 계산문제 집중 | 공식 템플릿화 및 단위 변환 반복 | 공식 카드 40~60장 |
| 4주차 | 실전 모의+법규 회독 | 모의 3회분, 법규 숫자 재암기 | 채점표, 약점 리스트 |
3.2 6주 플랜
| 주차 | 목표 | 세부 실행 | 산출물 |
|---|---|---|---|
| 1주차 | 개념 프레이밍 | 과목별 목차만 읽고 예상 문제 유형을 적는다 | 개념지 도식 6장 |
| 2~3주차 | 기출 1회독+정리 | 오답 원인 코드화 | 오답 분류표 |
| 4주차 | 계산·그래프 | 대표 유형 30문항 반복 | 풀이 핸드북 |
| 5주차 | 법규 숫자 잠금 | 암기 루틴 3회전 | 숫자 암기 카드 |
| 6주차 | 실전 적응 | 모의 5회분 시간 단축 | 채점 리포트 |
4. 회독법: 3단 루프 시스템
- 스캐닝 회독은 핵심 키워드를 형광펜으로 표시하고 모르는 용어만 단권화 노트에 적는다.
- 기출 회독은 오답 유형을 코드화한다. 예: U1(용어 혼동), F2(공식 오적용), D1(단위 착오)이다.
- 리프로덕션 회독은 보지 않고 말로 설명하거나 빈 칸 채우기 방식으로 재생산한다.
5. 계산문제 마스터 루틴
계산문제는 공식 자체보다 입력값 정리와 단위 환산에서 승부가 갈린다. 다음 순서를 루틴으로 고정한다.
- 문제에서 요구하는 출력량을 한 줄로 정의한다.
- 주어진 값과 단위를 표로 정리한다.
- 공식을 템플릿으로 대입한다.
- 단위를 SI 기준으로 통일한다.
- 계산값의 스케일을 상식적으로 검증한다.
5.1 자주 쓰는 공식 템플릿
| 영역 | 공식 | 메모 |
|---|---|---|
| 재해지표 | 도수율 = 재해건수 × 106 / 연근로시간 | 분모·분자 단위 일치가 핵심이다. |
| 소음 | L합 = 10·log10(Σ10L/10) | 두 레벨 차 10 dB 이상이면 큰 값으로 근사한다. |
| 조도 | E = Φ / A | 평균 조도는 유지율을 곱하여 보정한다. |
| 정지거리 | S = v·t + v2/(2a) | 단위 m·s 기준으로 통일한다. |
| 열스트레스 | WBGT = 0.7Twb + 0.2Tg + 0.1Tdb | 작업강도 보정표를 병행한다. |
| 전기 | I = P / (√3·V·cosθ) | 삼상 교류 전력 환산에 사용한다. |
6. 법규 숫자 암기법
- 수치-이미지 연상으로 묶어 스토리로 외운다.
- 짝짓기 카드로 항목과 숫자를 분리하여 무작위 테스트를 반복한다.
- 범주 기억으로 같은 류의 숫자를 묶어 상승·감소 패턴을 만든다.
하루 루틴은 아침 10분 암기, 점심 5분 리콜, 저녁 10분 테스트로 구성한다.
7. 오답노트 운영 규칙
- 문제와 해설을 옮기지 않고 오류 원인 한 줄만 적는다.
- 원인 코드를 부여하고 같은 코드가 3회 이상이면 별도 리포트를 만든다.
- 암기형·이해형·계산형 세 칼럼으로 분류하여 재학습 전략을 다르게 적용한다.
8. 하루 2시간·3시간·4시간 공부 루틴 예시
| 총 공부시간 | 구성 | 목표 |
|---|---|---|
| 2시간 | 이론 40분→기출 60분→리뷰 20분 | 소과목 회독과 최신 오답 수정이다. |
| 3시간 | 이론 60분→기출 70분→계산 30분→리뷰 20분 | 계산 루틴 고정과 법규 암기 유지이다. |
| 4시간 | 모의 100분→채점 20분→오답 60분→법규 20분 | 실전 적응과 시간 압박 대응이다. |
9. CBT 적응 전략
- 첫 5분은 쉬운 문제만 골라 푼다.
- 표 계산은 화이트보드나 초안지에 단위를 먼저 적는다.
- 마킹 실수 방지를 위해 10문항 단위로 저장한다.
- 복기 노트를 즉시 작성하여 다음날 같은 시간대에 모의로 재현한다.
10. 단권화 노트 제작법
단권화 노트는 한 권에 모든 핵심을 통합하는 도구이다. 과목별로 색을 달리하고 한 페이지에 하나의 개념과 예시·함정을 함께 기록한다. 공식은 좌측, 적용 예시는 우측에 배치하여 시각적 패턴을 고정한다. 법규 숫자는 페이지 하단에 요약 막대로 배치한다.
11. 시각화 암기 도구
- 개념지는 화학·폭발류에서 원인→조건→결과를 화살표로 연결한다.
- 분류 트리는 기계 가드 종류, 방폭 구분을 계층 구조로 정리한다.
- 흐름도는 위험성평가 절차를 단계별 박스로 그린다.
12. 실전 모의고사 채점·분석 양식
| 회차 | 총점 | 과락 여부 | 오답코드 상위3 | 다음 조치 |
|---|---|---|---|---|
| 1회 | 공식 카드 재정비 | |||
| 2회 | 법규 숫자 재암기 | |||
| 3회 | 시간 배분 수정 |
13. 직장인을 위한 시간 확보 전략
- 출퇴근 30분을 오디오 요약 청취로 고정한다.
- 점심 15분은 법규 숫자 카드만 본다.
- 퇴근 후 80분은 기출 40분과 오답 40분으로 분할한다.
- 주말 오전 3시간을 모의고사에 전용한다.
14. 과락 방지 전술
한 과목이라도 과락이면 불합격이므로 난도 대비 수확이 큰 테마를 우선 공략한다. 인간공학의 소음·조명 공식, 관리 과목의 위험성평가 절차, 전기·화재 파트의 기본 정의와 방폭 분류, 건설의 비계·거푸집 필수 수치가 대표적이다. 각 과목에서 반드시 맞혀야 할 10문항을 정의하고 매일 리콜 테스트를 수행한다.
15.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
| 번호 | 항목 | 확인 |
|---|---|---|
| 1 | 단위 통일 완료 | □ |
| 2 | 문항 조건 키워드 밑줄 | □ |
| 3 | 선지 부정어 확인 | □ |
| 4 | 숫자 자리수 검증 | □ |
| 5 | 시간 관리 10문항 저장 | □ |
16. 파트너 학습법
서로 다른 파트를 맡아 20분 발표를 교대로 진행하면 효율이 높다. 발표자는 말로 설명하며 지식을 재구성하게 되고 청자는 질문으로 빈틈을 찾아낼 수 있다. 주 2회 온라인 체크인을 고정하면 루틴 유지에 효과적이다.
17. 멘탈·피로 관리
- 50분 학습 후 10분 휴식의 포모도로를 기본으로 한다.
- 카페인 의존을 줄이고 수분과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각성을 유지한다.
- 시험 전날은 새로운 내용을 보지 않고 오답노트와 법규 숫자만 확인한다.
18. 마지막 10일 운영표
| 일 | 오전 | 오후 | 저녁 | 핵심 목표 |
|---|---|---|---|---|
| D-10~8 | 모의 1회 | 채점·분석 | 법규 숫자 | 약점 파악 |
| D-7~6 | 계산 20문항 | 오답 반복 | 개념지 보완 | 계산 안정화 |
| D-5~4 | 모의 1회 | 법규 리콜 | 소음·조명 | 속도 확보 |
| D-3~2 | 모의 1회 | 오답 압축 | 암기 카드 | 분산 막기 |
| D-1 | 가벼운 리콜 | 휴식 | 수면 | 컨디션 유지 |
19. 샘플 오답 코드표
| 코드 | 의미 | 대응 |
|---|---|---|
| U1 | 용어 혼동 | 정의 카드 5회 리콜 |
| F2 | 공식 오적용 | 템플릿 다시 쓰기 |
| D1 | 단위 착오 | SI 통일 루틴 적용 |
| R3 | 선지 함정 | 부정어·예외 표기 |
| T1 | 시간 부족 | 쉬운 문제 선풀이 |
20. 자가 점검 문제 예시
- 도수율 정의와 계산 예시를 스스로 만들어 본다.
- 두 소음원 85 dB, 88 dB의 합성 레벨을 계산한다.
- 정지거리 문제에서 반응시간 0.4 s, 초기속도 1.5 m/s, 감속 0.5 m/s2일 때 거리를 계산한다.
- 조도와 유지율 개념을 설명하고 조명 교체 주기 판단 기준을 적는다.
21. 빈칸 노트 템플릿
공식의 핵심 변수를 빈칸으로 만들어 하루 한 번 채우는 훈련을 한다. 예를 들어 도수율은 ____ × 106 / ____ 구조로 외운다. 소음 합산은 10·log10(Σ10__/10) 형태로 적는다.
22. 시험장 운영 체크리스트
- 입실 30분 전 도착한다.
- 연습용 계산 루틴을 빈 종이에 두 번 재현한다.
- 첫 회독은 확실한 문항만 표기하고 표시하지 않은 문항은 바로 넘긴다.
- 마지막 5분은 마킹 점검만 수행한다.
FAQ
기출은 몇 년치를 풀어야 효과가 큰가
최소 3년치 전 범위를 권장하며 연속 3회 이상 반복하면 체감 난도가 급감한다.
법규 숫자가 너무 많아 암기가 어렵다
숫자 묶음과 이미지 연상법을 병행하고 오전·점심·저녁으로 나누어 짧게 반복하면 고정된다.
계산문제에서 가장 흔한 실수는 무엇인가
단위 미통일과 자리수 오류가 가장 많다. 입력값 표 작성과 SI 통일 루틴으로 예방한다.
모의고사는 몇 회가 적절한가
최소 3회, 여유가 있으면 5회가 적절하다. 채점 후 오답 코드 분석이 더 중요하다.
직장인이 주중에 시간이 부족하다
통근 시간을 오디오 요약에 배정하고 저녁 80분만 기출과 오답에 집중하면 누적 효과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