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인벤토리 범위1·범위2 계산 엑셀 템플릿 가이드

이 글의 목적은 사업장 담당자가 범위1·범위2 배출량을 신속하고 일관되게 산정할 수 있도록 엑셀 템플릿 구조와 계산 로직, 데이터 준비 요령, 검증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1. 개념 요약과 경계 설정

범위1(Scope 1)은 기업이 통제하는 설비·차량 등에서 연료 연소, 공정, 냉매 누출처럼 직접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의미한다.

범위2(Scope 2)는 외부에서 구매한 전기·스팀·열·냉열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배출을 의미한다.

조직경계는 보통 운영통제 또는 재무통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한 가지 원칙을 지속적으로 적용한다.

범위2 전기는 위치기반(Location-based)시장기반(Market-based) 두 가지로 동시에 산정하여 보고하는 것이 권장된다. 위치기반은 계통 평균 배출계수를 사용하며 시장기반은 공급자 특정계수나 잔여믹스 계수를 적용한다.

2. 데이터 맵핑: 무엇을 모을 것인가

아래 표를 기준으로 활동자료를 수집·표준화한다.

범주세부 소스예시 활동자료권장 단위데이터 출처수집 빈도
Scope 1 연소보일러·난방·발전기경유, LNG, LPG 사용량L, kg, Nm³유류세금계산서, 계량기월간
Scope 1 이동사내 차량·지게차디젤, 가솔린, LPGL, kg주유영수증, 카드내역월간
Scope 1 공정공정가스 사용가스 투입량kg, Nm³공정로그, 구매전표월간
Scope 1 누출냉동·공조냉매 보충량kg정비기록, 구매전표분기
Scope 2 전기구매전력전력 사용량kWh전력요금서, BMS월간
Scope 2 열스팀·열·냉열수전 스팀량 등t, GJ, MWh요금서, 계약서월간

단위를 혼용하면 계산오류가 발생하므로 사업장 표준단위를 강제한다. 예를 들어 전기는 kWh, 냉매는 kg, 연료는 구매단위 그대로 입력하되 배출계수 단위와 일치시킨다.

3. 계산 로직: 표준식과 엑셀 수식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배출량(tCO2e) = 활동자료 × 배출계수(kgCO2e/단위) ÷ 1000이다.

연료처럼 CO2, CH4, N2O 계수를 따로 쓰는 경우에는 다음을 적용한다.

배출계수(kgCO2e/단위) = EF_CO2 + EF_CH4 × GWP_CH4 + EF_N2O × GWP_N2O이다.

전기 범위2는 방식별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위치기반 tCO2e = 사용전력(kWh) × 계통평균계수(kgCO2e/kWh) ÷ 1000이다.

시장기반 tCO2e = 사용전력(kWh) × 공급자/잔여믹스 계수(kgCO2e/kWh) ÷ 1000이다.

4. 제공 엑셀 템플릿 구조

엑셀 템플릿 다운로드를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템플릿은 아래 시트로 구성한다.

  • 0_README : 사용 순서와 주의사항을 요약한다.
  • 1_활동자료 : 날짜, 사업장, Scope 구분, 소스, 활동유형, 수량, 단위를 행 단위로 입력한다.
  • 2_계수 : 연료·냉매·전력 배출계수와 GWP 값을 입력한다. 기본값은 예시이며 반드시 최신 공식값으로 교체한다.
  • 3_계산 : XLOOKUP으로 계수를 불러와 범위1·범위2 배출량을 자동 계산한다.
  • 4_요약 : 범위1 합계, 범위2 위치기반 합계, 범위2 시장기반 합계를 제공한다.

5. 1_활동자료 시트 입력 규칙

설명예시입력 규칙
Date자료의 기준일2025-02-28YYYY-MM-DD 형식으로 입력한다.
Site사업장 명칭Site A사전 정의 목록과 일치시킨다.
Scope_Category범위 구분S1_StationaryS1_Stationary, S1_Mobile, S1_Process, S1_Fugitive, S2_Electricity, S2_SteamHeatCool 중 선택한다.
Source_Type설비/차량/공정 종류Boiler, Forklift식별 가능한 수준으로 일관되게 입력한다.
Activity_Type계수매칭 키Diesel, LNG, R-410A, Electricity2_계수 시트의 Activity_Type과 정확히 일치시킨다.
Quantity활동자료 수량42000배출계수 단위와 동일한 단위를 적용한다.
Unit단위kWh, L, kg, Nm³사업장 표준단위를 사용한다.

6. 2_계수 시트 구성과 관리 포인트

연료 테이블에는 Activity_Type, Unit, EF_CO2, EF_CH4, EF_N2O, EF_CO2e를 둔다. EF_CO2e가 제공되면 그대로 사용하고 없으면 CO2, CH4, N2O와 GWP로 CO2e를 산출한다.

냉매 테이블에는 Gas, GWP_100yr만 있으면 된다. 냉매 배출량은 kg(보충량)에 GWP를 곱해 tCO2e로 변환한다.

전력 파라미터에는 위치기반과 시장기반 계수를 분리하여 EF_Electricity_Location_kgCO2e_per_kWh, EF_Electricity_Market_kgCO2e_per_kWh로 관리한다.

7. 3_계산 시트 핵심 수식

행 기준으로 활동자료와 계수를 매칭하여 자동 계산한다. 아래는 대표 수식 예시이다.

연료의 단위당 kgCO2e를 계산하는 수식 예시이다.

=IF(C2="S2_Electricity",0,IFERROR( IF(XLOOKUP(E2,'2_계수'!$A$4:$A$200,'2_계수'!$F$4:$F$200,0)>0, XLOOKUP(E2,'2_계수'!$A$4:$A$200,'2_계수'!$F$4:$F$200,0), XLOOKUP(E2,'2_계수'!$A$4:$A$200,'2_계수'!$C$4:$C$200,0) + XLOOKUP(E2,'2_계수'!$A$4:$A$200,'2_계수'!$D$4:$D$200,0)*XLOOKUP("CH4",'2_계수'!$A$36:$A$40,'2_계수'!$B$36:$B$40,28) + XLOOKUP(E2,'2_계수'!$A$4:$A$200,'2_계수'!$E$4:$E$200,0)*XLOOKUP("N2O",'2_계수'!$A$36:$A$40,'2_계수'!$B$36:$B$40,265) ),0))

Scope 1 tCO2e 산정 수식 예시이다.

=IF(LEFT(C2,2)="S1", IF(C2="S1_Fugitive", IFERROR(F2*XLOOKUP(E2,'2_계수'!$A$18:$A$30,'2_계수'!$B$18:$B$30,0)/1000,0), IFERROR(F2*H2/1000,0)), 0)

Scope 2 위치기반 tCO2e 산정 수식 예시이다.

=IF(C2="S2_Electricity", IFERROR(F2*XLOOKUP("EF_Electricity_Location_kgCO2e_per_kWh",'2_계수'!$A$28:$A$33,'2_계수'!$B$28:$B$33,0)/1000,0), 0)

Scope 2 시장기반 tCO2e 산정 수식 예시이다.

=IF(C2="S2_Electricity", IFERROR(F2*XLOOKUP("EF_Electricity_Market_kgCO2e_per_kWh",'2_계수'!$A$28:$A$33,'2_계수'!$B$28:$B$33,0)/1000,0), 0)

8. 단계별 계산 예시

아래 숫자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값이며 실제 보고에는 공식 계수로 대체해야 한다.

  • 디젤 1,200 L, 예시 EF: CO2 2.68, CH4 0.0001, N2O 0.0001 (kg/ℓ), GWP(CH4)=28, GWP(N2O)=265를 가정한다.

단위당 CO2e = 2.68 + 0.0001×28 + 0.0001×265 = 2.7093 kgCO2e/ℓ이다.

총 배출량 = 1,200 × 2.7093 ÷ 1000 = 3.251 tCO2e이다.

  • 전기 42,000 kWh, 예시 위치기반 EF 0.5 kgCO2e/kWh, 시장기반 EF 0.45 kgCO2e/kWh를 가정한다.

위치기반 = 42,000 × 0.5 ÷ 1000 = 21.0 tCO2e이다.

시장기반 = 42,000 × 0.45 ÷ 1000 = 18.9 tCO2e이다.

냉매 R-410A 5 kg, 예시 GWP 2088을 가정할 때 배출량 = 5 × 2088 ÷ 1000 = 10.44 tCO2e이다.

9. 단위 변환과 데이터 품질

계수 단위와 활동자료 단위가 다르면 변환 계수를 사전에 정의해 일괄 적용한다.

항목변환비고
kg → t÷ 1000CO2e 합산 전 마지막 단계에 적용한다.
MWh ↔ kWh1 MWh = 1,000 kWh계수 단위에 맞춘다.
GJ ↔ kWh1 GJ ≈ 277.78 kWh열·스팀 계약 단위에 사용한다.
Nm³ → kWh연료별 저위발열량 필요가능하면 계수와 동일 단위를 사용한다.

10. 보고와 검증 체크리스트

  • 조직경계와 운영경계 정의를 문서화하고 연도 간 일관성을 유지한다.
  • 배출계수의 출처, 연도, 단위를 표기하고 변경 시 변경이력을 남긴다.
  • 위치기반과 시장기반 전력 배출량을 모두 산정하고 둘 다 보고한다.
  • 냉매 보충량=누설량 가정 시 정비기록으로 근거를 남긴다.
  • 결측치 보간·외삽 시 논리를 기록하고 다음 분기에 실제값으로 조정한다.
  • 중복계상 방지를 위해 자가발전 전력은 범위1 연소로만 반영하고 범위2에서 제외한다.
  • 수치의 단위 일관성, 소수점 자리수, 합계 검증을 매 분기 수행한다.

11. 자주 틀리는 포인트

  • 구매전력 계량이 건물 공용과 전용을 섞어 기록하여 한 번 더 합산하는 오류가 발생한다.
  • 연료 계수가 질량 기준인데 활동자료를 체적 기준으로 입력하여 과소/과대 산정이 발생한다.
  • 시장기반 전력 산정에서 공급자 계수와 재생에너지 증서 적용 기준을 혼동한다.
  • 냉매는 kg 단위를 사용해야 하며 용기 수량으로 입력하면 안 된다.

12. 템플릿 운영 팁

  • 사업장·설비·차량 목록을 별도 시트로 관리하여 데이터 유효성 검사 드롭다운에 연결한다.
  • 월별 집계 피벗을 추가해 추세를 확인하고 이상치를 조기 탐지한다.
  • 계수 시트는 읽기 전용으로 보호하고 변경 요청 절차를 운영한다.
  • 보고 마감 전 자동 점검 항목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누락을 줄인다.

FAQ

위치기반과 시장기반 중 무엇을 최종값으로 써야 하나?

두 방식을 모두 산정하여 병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내부 목표관리용 지표는 조직의 구매전략에 맞춰 한 가지를 채택하되 병기값을 함께 추적한다.

냉매는 연간 보충량을 모두 배출로 봐도 되는가?

정비기록이 명확하고 탈거·회수량이 별도로 집계되지 않는 한 보충량을 누설량으로 본다. 회수·재충전이 있는 경우 순증가량만 배출로 본다.

연료 계수가 에너지 기준일 때는 어떻게 계산하나?

활동자료를 동일한 에너지단위로 바꾼 뒤 계수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Nm³를 kWh로 환산하려면 연료별 저위발열량을 사용한다.

공급자 특정 전력계수가 없는 경우는?

시장기반 산정에서 잔여믹스 계수를 사용한다. 잔여믹스가 없으면 위치기반 계수를 임시 적용하고 근거를 남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