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검사신청 방법: 2025 최신 절차와 서류 체크리스트

이미지
이 글의 목적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설치검사·정기검사·수시검사를 법에 맞게 신청하는 방법을 한눈에 정리하여 사업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검사 유형과 대상 빠른 이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검사는 크게 설치검사, 정기검사, 수시검사로 구분한다. 설치검사는 가동 전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이며, 정기검사는 가동 중 주기적 적합성 확인, 수시검사는 사고·변경 등 특정 사유 발생 시 실시하는 절차이다. 구분 주요 대상 신청 시점 검사 주기·범위 비고 설치검사 신규 설치, 증설·이전, 법령상 설치검사 대상 취급시설 가동 전 서류검토(사전서면) + 현장확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등 관련 절차와 일정 연계 가능하다. 정기검사 운영 중인 취급시설 최초 정기검사일 기준으로 관리 영업허가 대상은 통상 1년, 비영업자 대상은 통상 2년 주기로 관리한다. 최초 정기검사일 전후 30일 이내 창으로 계획한다. 동일 사업장에 다수 시설이 있을 경우 기준일 정렬·일원화 관리가 가능하다. 수시검사 사고 발생, 중요 변경, 개선명령 등 사유 발생 시설 사유 발생 시 법령·지정양식에 따라 서류 및 현장 확인 변경 설치검사 대상 판단과 병행 검토한다. 운반차량 등 특정 유형의 취급시설에는 별도 주기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사업장 유형과 시설별 성격을 먼저 파악한 뒤 관할 검사기관 안내에 따라 주기를 확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온라인 검사신청 절차 한눈에 보기 검사신청은 지정 검사기관의 전산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것이 표준이다. 한국환경공단 검사관리 시스템(세이프켐),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관할·대상에 따라 채널이 다르므로 사업장 소재지와 시설 유형에 맞는 채널을 선택...

CLP 분류표시 라벨 문구 자동 생성 규칙

이 글의 목적은 EU CLP(Regulation on Classification, Labelling and Packaging) 체계에 따라 분류·표시 라벨 문구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규칙을 정리하여, 현장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거나 내부 표준서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CLP 라벨 구성요소와 데이터 모델 정의

라벨 자동 생성은 입력 데이터가 표준화되어야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아래 표는 최소 데이터 스키마이다.

라벨 요소필드명데이터 형식생성 규칙 개요
제품식별자product_identifier문자열물질명 또는 혼합물 상업명·식별번호(CAS/EC/배치 등) 중 정책에 따른 1~2개 표시한다.
공급자 정보supplier객체명칭, 주소, 전화번호를 국가별 요구언어로 완전 표기한다.
UFIufi문자열혼합물 대상일 때 적용 범위에 해당하면 “UFI: XXXX-XXXX-XXXX-XXXX” 형식으로 표기한다.
그림문자pictograms[]배열분류 결과에서 규정된 매핑을 통해 선택하고 중복·우선순위를 적용한다.
신호어signal_word열거형Danger/Warning 중 가장 높은 심각도를 산출한다.
유해·위험문구hazard_statements[]배열H코드를 분류결과에서 수집하고 중복·대체 규칙을 적용한다.
예방문구precautionary_statements[]배열P코드를 위험군별 템플릿에서 선택하고 병합문구를 우선 사용한다.
보완문구supplemental_statements[]배열EUH코드를 트리거 조건에 따라 추가한다.
성분 표기component_disclosure[]배열민감성 유발물질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이름을 노출한다.
정량nominal_quantity문자열소매 포장인 경우 국가 요구시 용량·중량을 표기한다.
촉각경고/어린이저항tactile/child_resistant불리언소비자 포장·해당 분류 시 적용한다.

2. 자동 생성 전체 흐름(알고리즘 개요)

  1. 입력: 물질 또는 혼합물의 확정 분류 결과(유해위험 등급·범주, H코드 세트)와 규격 정보(용기 용량, 판매 채널, 국가·언어)로 시작한다.
  2. 그림문자 산출: 분류→그림문자 매핑 후 우선순위 규칙으로 정리한다.
  3. 신호어 결정: Danger가 하나라도 존재하면 Danger, 그렇지 않으면 Warning, 해당 없음이면 공란으로 둔다.
  4. H문구 산출: 상위 범주가 하위를 대체하는 규칙을 적용하여 중복을 제거한다.
  5. P문구 산출: 위험군별 추천 세트에서 선택하고 병합문구를 우선 사용하며 개수 상한(권장 6개 내)을 적용한다.
  6. EUH 보완문구 평가: 트리거 조건(예: EUH208, EUH210 등)을 확인해 추가한다.
  7. 성분 공개 규칙 적용: 피부감작성 등 특정 분류 시 해당 성분명 표기 임계치를 확인한다.
  8. 소형 포장 규칙 적용: 용량 임계치별 축약 허용 범위를 적용한다.
  9. 언어·레이아웃 확정: 대상 시장 언어로 코드→공식 문구를 치환하고 크기·배치 최소 기준을 적용한다.
  10. 출력: 완성 라벨 텍스트 블록과 배치 지침을 생성한다.

3. 신호어 자동 결정 규칙

신호어는 라벨 전체에서 하나만 사용하며, 가장 높은 심각도의 결과를 따른다.

대표 분류범주신호어비고
급성독성Cat.1~3Danger모든 노출경로 포함한다.
급성독성Cat.4Warning해골문자 미사용 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피부부식Cat.1(A~C)Danger피부자극 2 및 심한 눈손상·자극과의 우선순위가 있다.
피부자극Cat.2Warning상위 범주 존재 시 생략한다.
눈손상Cat.1Danger눈자극 2를 대체한다.
발암·생식·변이Cat.1A/1BDanger건강유해 그림문자 사용한다.
발암·생식·변이Cat.2Warning
흡인 유해성Cat.1DangerH304에 해당한다.
인화성 액체Cat.1~2DangerCat.3는 Warning이다.
수생환경 유해성(만성)Cat.1Warning경고어는 Warning이다.

4. 그림문자 자동 산출과 우선순위

그림문자는 최대 정보를 주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적용한다.

그림문자코드대표 트리거우선순위 규칙
폭발물GHS01폭발성다른 물리적 위험과 병기 가능하다.
불꽃GHS02인화성/자연발화/유기과산화물산화성(GHS03)과 병기 허용한다.
산화성GHS03산화성 고체·액체·가스
가스용기GHS04고압가스인화성 가스와 동시 표기 가능하다.
부식GHS05피부부식·금속부식존재 시 GHS07의 피부·눈자극은 생략한다.
해골GHS06급성독성 1~3존재 시 GHS07의 급성독성 4는 생략한다.
느낌표GHS07급성독성 4, 피부·눈자극, 피부과민성 1GHS05 또는 GHS06과 중복 시 일부 생략한다.
건강유해GHS08발암·생식·변이·호흡과민성·흡인유해성·특정표적장기독성 1GHS07과 병기 가능하다.
환경GHS09수생환경 유해다른 그림문자와 병기 가능하다.

5. 유해·위험문구(H) 자동 선택 규칙

  • 기본: 분류 결과의 모든 H코드를 수집한다.
  • 대체 규칙: 상위 범주가 하위 범주를 대체한다. 예) H314가 있으면 H315·H319는 제거한다.
  • 장기·표적 중복: 동일 장기에 대해 STOT Cat.1이 Cat.2·3을 대체한다.
  • 노출경로 병기: 급성독성은 경구·경피·흡입이 병존 가능하나 신호어·그림문자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문구만 유지한다.
  • 환경유해성: 급성·만성 중 요구되는 문구만 유지한다.
위험군주요 H코드 예시특이 규칙
인화성 액체H224/H225/H226범주가 높은 코드만 남긴다.
급성독성H300/H310/H330/H301/H311/H331/H302/H312/H332Cat.1~3 존재 시 Cat.4는 제거한다.
피부·눈H314/H315/H318/H319H314가 있으면 H315/H319 제거, H318이 있으면 H319 제거한다.
흡인유해성H304특정 용매 혼합물에서 자주 발생한다.
발암·생식·변이H350/H360/H340 등Cat.1이 Cat.2를 대체한다.
STOTH370/H372/H336 등같은 장기 대상이면 높은 범주만 유지한다.
수생환경H400/H410/H411/H412중복 시 만성 쪽을 우선 검토한다.

6. 예방문구(P) 자동 선택 및 병합 규칙

P문구는 정보 과부하를 막기 위해 개수를 제한하는 것이 표준이다. 권장 기준은 4~6개 범위에서 예방·대응·저장·폐기 영역을 최소 1개씩 충족하도록 구성한다.

  • 선택 순서: 위험군 매핑 → 병합문구 우선 적용 → 상충·중복 제거 → 최대 개수 제한.
  • 병합문구 예: P301+P310, P303+P361+P353, P305+P351+P338, P370+P378, P403+P235, P405+P102(소비자 정책 시).
  • 중복 제거: P264(주의해서 취급 후 손씻기)와 P270(음식·음료·흡연 금지) 중 정책상 하나만 유지 가능하다.
위험군(트리거)추천 기본 세트대체/보완 규칙
인화성P210, P243, P370+P378, P403+P235스파크 위험 장비 존재 시 P241 추가 고려한다.
급성독성 1~3P260, P301+P310, P304+P340, P405경로별로 P310 우선, 불필요한 일반 응급문구는 제거한다.
피부부식 1P280, P303+P361+P353, P305+P351+P338, P310저장 필요 시 P405를 추가한다.
피부자극/눈자극/감작성P280, P302+P352, P333+P313, P337+P313감작성 1이면 성분 공개와 함께 P261 고려한다.
흡인유해성 1P301+P310, P331, P405P331은 구토유발 금지를 명시한다.
발암·생식·변이P201, P202, P280, P308+P313, P405작업허가제 운영 시 P260을 추가한다.
수생환경 유해P273, P391, P501배출관리 절차가 있으면 P273 강조만으로 충분하다.
고압가스P410+P403냉동가스는 동상 위험 P336+P315를 검토한다.

7. EUH 보완문구 트리거 규칙

  • EUH014, EUH015, EUH016: 물 반응성·산화성 혼합 조건에서 트리거한다.
  • EUH066: 반복·장기간 접촉으로 피부 건조·균열 우려가 있는 용제류에 적용한다.
  • EUH070: 눈을 통해 독성 우려가 확인된 경우 적용한다.
  • EUH201/202: 납·시아네이트 등 특정 물질류에 대한 규정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한다.
  • EUH208: 혼합물에 감작성 물질이 임계치 이상 포함되었으나 혼합물 자체 분류가 감작성으로 되지 않을 때 “Contains [성분]. May produce an allergic reaction.”을 표기한다.
  • EUH210: 분류되지 않은 혼합물이나 예외에 해당하나 SDS 제공이 가능한 경우 “Safety data sheet available on request.”를 사용한다.
  • EUH401: 농약·살생물제 등 특정 제품군에 대해 사용지침 준수 고지를 표기한다.

8. 혼합물 특수 규칙과 성분 공개

  • 피부감작성/호흡감작성 분류 시 원인 성분을 라벨에 표시한다. 성분명 개수와 표기 방식은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표준화한다.
  • CMR 성분이 임계치를 넘을 경우 해당 분류와 함께 적정 P문구를 포함한다.
  • UFI 표기는 해당 국가 요구에 맞춰 라벨 시야에 잘 보이도록 배치한다.
  • 소비자용 포장은 촉각경고 및 어린이저항포장 요구를 검토한다.

9. 용기 용량별 라벨·그림문자 최소 크기

표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최소 크기 예시이다. 프로젝트에서는 내부 기준으로 고정값을 사용하고, 더 큰 라벨은 허용하되 더 작은 라벨은 금지한다.

용기 용량(최대)최소 라벨 크기(가로×세로, mm)그림문자 가장자리 길이(mm)비고
≤ 3 L52 × 7416가능하면 두 개 이상 그림문자도 허용한다.
≤ 50 L74 × 10523
≤ 500 L105 × 14832
> 500 L148 × 21046

10. 소형 포장 축약 규칙

  • ≤ 125 mL: 특정 분류의 경우 일부 P문구 생략 가능하다. 그래도 신호어·그림문자·H문구의 핵심 정보는 유지한다.
  • ≤ 3 mL: 라벨 공간상 불가능하면 그림문자를 제외한 대부분 문구 생략이 허용될 수 있으나 개봉 전 열람 가능한 접지라벨·태그·QR 등 보완수단을 마련한다.
  • 축약 적용 시 SDS·포장 인서트·디지털 접근성을 통해 전체 정보를 제공한다.

11. 다국어 라벨 자동 조합

  • 타깃 판매국 언어 세트를 입력으로 받아 동일 코드(H/P/EUH)에 대한 공식 번역 문자열 테이블에서 치환한다.
  • 언어 블록은 코드 순서가 아니라 위험군 묶음 순서(그림문자→신호어→H→P→EUH)로 정렬한다.
  • 다국어 병기 시 동일 의미 문구는 코드 기준으로만 중복 제거하고 언어별로는 삭제하지 않는다.

12. 검증 체크리스트

항목체크 방법합격 기준
신호어 일관성모든 분류에서 신호어 후보 계산Danger가 하나라도 있으면 Danger만 표기
그림문자 우선순위GHS05·GHS06 존재 시 GHS07 제거 확인중복 없음
H문구 대체H314 존재 시 H315/H319 제거정확
P문구 개수선택 후 카운트6개 이하
EUH 트리거EUH208·EUH210 조건 검사조건 충족 시 포함
소형 포장용량 임계치 확인축약 규칙 적용 여부 명확
언어 치환판매국 공식 언어 매핑오탈자·영문·국문 혼용 오류 없음

13. 자동 생성 규칙 의사코드

입력

{ classifications: [ {class:'Flam. Liq.', cat:2, H:'H225'}, {class:'Asp. Tox.', cat:1, H:'H304'}, {class:'STOT SE', cat:3, H:'H336'}, {class:'Aquatic Chronic', cat:2, H:'H411'} ], capacity_ml: 500, market_languages:['en','de'], supplier:{...}, ufi:'XXXX-XXXX-XXXX-XXXX' }

절차

  1. pictos = map_to_pictograms(classifications)
  2. signal = max_signal_word(classifications)
  3. H = dedupe_replace_H(classifications)
  4. P = select_P_by_hazard_groups(classifications, limit=6)
  5. EUH = trigger_EUH(classifications, composition)
  6. apply_small_pack_rules(capacity_ml, pictos, H, P, EUH)
  7. localize({signal,H,P,EUH}, market_languages)
  8. render_label(product_identifier, supplier, UFI, pictos, signal, H, P, EUH)

14. 사례 1: 인화성 용제 혼합물(Flam. Liq. 2 + Asp. Tox. 1 + STOT SE 3 + Aquatic Chronic 2)

그림문자

GHS02, GHS08, GHS07, GHS09

신호어

Danger

H문구

H225, H304, H336, H411

P문구(6개 제한 적용)

P210, P261, P273, P301+P310, P331, P403+P235

EUH

해당 없음(조건 미충족 가정)

성분 공개

감작성 없음 가정으로 생략

라벨 레이아웃 메모

  • 용기 500 mL → 최소 라벨 74×105 mm 이상 추천한다.
  • 그림문자 4개 병기 시 가독성을 위해 2×2 배열을 사용한다.

15. 사례 2: 부식성 세정제(Skin Corr. 1B, Eye Dam. 1)

그림문자

GHS05

신호어

Danger

H문구

H314(→ H315/H319 대체), H318는 눈손상 1 단독 분류일 때만 사용하나 부식 1B가 상위로 대체한다.

P문구

P280, P303+P361+P353, P305+P351+P338, P310, P405

EUH

EUH066 등 용제성분이 있지 않다면 없음

16. 사례 3: 가연성 에어로졸(Aerosol 1, Press. Gas)

그림문자

GHS02, GHS04

신호어

Danger

H문구

H222, H229

P문구

P210, P211, P251, P410+P412

17. 필수 배치 규칙 요약

  • 순서: 그림문자 → 신호어 → H → P → EUH → 제품식별자·공급자·UFI·정량 순으로 배열한다.
  • 가독성: 신호어는 눈에 띄는 굵기와 크기로 표시한다.
  • 언어: 판매국 요구 언어로 문구를 치환한다.
  • QR·디지털 보조: 축약 적용 시 전체 정보 접근 수단을 병행한다.

18. 소프트웨어 구현 팁

  • 코드기반 유지: 실제 라벨에는 문구 문자열만 찍지만 내부적으로는 H/P/EUH 코드를 기준으로 모든 로직을 처리한다.
  • 룰엔진 분리: 우선순위·대체·축약 규칙은 데이터 테이블로 분리하여 ATP 업데이트 시 테이블만 교체한다.
  • 테스트 세트: 대표 혼합물 20종에 대한 라벨 스냅샷을 고정하고 릴리스마다 회귀검증을 수행한다.
  • 다국어 리소스: 언어별 공식 번역 테이블을 단일 소스에서 관리한다.

FAQ

신호어가 Danger와 Warning이 동시에 나오는 경우 어떻게 하나?

라벨에는 하나만 표기하므로 Danger를 선택한다.

GHS07 느낌표와 GHS05 부식이 같이 나오는 경우 둘 다 넣어야 하나?

피부·눈자극 관련으로는 GHS05가 상위이므로 GHS07을 생략한다. 다른 트리거가 있으면 유지할 수 있다.

예방문구는 최대로 몇 개까지 넣는 것이 좋은가?

읽기 쉬운 라벨을 위해 6개 내외를 권장한다. 병합문구를 우선 선택한다.

혼합물에 감작성 성분이 소량 있을 때 라벨에 성분명을 적어야 하나?

임계치를 넘지 않으면 필수는 아니나 EUH208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라벨 공간이 부족하면 무엇을 우선 축약해야 하나?

소형 포장 허용 범위 내에서 P문구부터 줄이고 H문구와 신호어, 핵심 그림문자는 유지한다.

다국어를 한 라벨에 넣어도 되나?

판매국 요구를 충족하는 범위에서 가능하다. 언어별 블록을 분리해 가독성을 확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