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과학실 유해물질 표준보관 목록 2025

이미지
이 글의 목적은 초·중·고 과학실에서 사용하는 유해물질의 표준보관 목록과 분리보관 원칙, 수량 한도, 점검·기록 체계를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하여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1. 적용 범위와 기본 원칙 본 표준은 일반 교과용 과학실, 준비실, 시약창고, 실험수업 이동카트에 적용한다. 최소보유 원칙: 수업 계획에 필요한 최소 수량만 보유한다. 분리·격리 원칙: 산·염기·산화제·가연성·독성·반응성 그룹을 상호 접촉 없이 분리한다. 원용기 보관 원칙: 가능한 한 제조사 원용기 상태로 보관한다. 밀폐·차광·환기 원칙: 누출·증기 노출·광분해를 예방하도록 밀폐, 차광, 국소배기장치를 우선 고려한다. 표지·라벨 원칙: 모든 용기에 물질명, 농도, 위험 pictogram, 수업용 희석 기준, 개봉일, 담당자 성명을 명기한다. 학생 접근 통제: 유해물질 보관구역은 시건장치 및 출입기록으로 통제한다. 2. 분리보관 매트릭스 아래 표에서 “X”는 절대 혼재 금지, “△”는 2차 용기·격벽 등 간접 분리를 의미한다. 그룹 산 염기 산화제 가연성 액체 독성·중금속 반응성(수분/공기) 일반시약 산 — X △ X △ X △ 염기 X — △ △ △ X △ 산화제 △ △ — X △ X △ 가연성 액체 X △ X — △ X △ 독성·중금속 △ △ △ △ — △ △ 반응성(수분/공기) X X X X △ — △ 일반시약 △ △ △ △ △ △ — 3. 표준보관 목록(상위 그룹) 각 그룹별 대표 품목과 권장 최대보관량을 제시한다. 최대보관량은 안전관리상 권장치이며 수업 단위·반수·수업주기 등을 고려해 감축한다. 3-1. 산(Acids) 품목 농도 권장 최대량 용기 보관요건 비고 염산 35% 이하 중학교 250 mL, 고등학교 500 mL HDPE 산 전용장, 환...

물질대사증후군 사업장 건강관리 포스터 제작 가이드

이 글의 목적은 사업장에서 물질대사증후군 예방과 관리를 촉진하기 위한 포스터를 즉시 제작·배포할 수 있도록 문구, 디자인 구성, 규격, 체크리스트, 연계 캠페인 운영안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물질대사증후군을 한눈에 이해하기

물질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혈압 상승, 공복혈당 상승, 중성지방 상승, HDL 콜레스테롤 저하 중 세 가지 이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심뇌혈관질환과 당뇨병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이며 근로자의 결근, 생산성 저하, 의료비 증가로 이어지기 쉬우므로 사업장 차원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사업장 포스터는 근로자가 위험요인을 스스로 인지하고 행동 변화를 시작하도록 돕는 가장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인 수단이다.

진단 기준 핵심 요약 및 활용 포인트

포스터에는 전문 진단을 대신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아래와 같은 대표적 기준을 간략히 안내하여 자가점검과 보건상담 연계를 유도한다. 수치 기준은 사내 보건규정과 정기검진 결과에 맞춰 최종 확정하여 사용한다.

구성요소대표 기준포스터 표기 팁
복부비만허리둘레 남 ≥ 90 cm, 여 ≥ 85 cm줄자 아이콘과 함께 “배꼽 높이에서 숨 내쉰 후 측정”이라고 적는다.
중성지방≥ 150 mg/dL검진 결과표에서 삼각형 경고마크로 강조한다.
HDL 콜레스테롤남 < 40 mg/dL, 여 < 50 mg/dL“좋은 콜레스테롤 낮음”이라는 쉬운 표현을 병기한다.
혈압≥ 130/85 mmHg 또는 치료 중“휴식 후 측정 값 기준” 문구를 넣는다.
공복혈당≥ 100 mg/dL 또는 치료 중“8시간 금식 후 검사”를 소문구로 표시한다.

포스터에는 “위 항목 중 3가지 이상 해당 시 보건상담 권장하다”와 같은 행동 유도 문구를 반드시 포함한다.

사업장 포스터 전략 한 장 요약

포스터는 ① 즉시 행동, ② 자기 측정, ③ 지원 채널 세 축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시 행동은 오늘부터 가능한 식사·활동 습관 변화를 말하며, 자기 측정은 허리둘레와 혈압의 올바른 측정법을 안내하고, 지원 채널은 보건관리자 연락처, 사내 앱, 건강상담 창구, 챌린지 참여 QR을 말한다.

포스터 핵심 카피 문구 20선

다음 문구는 A3 기준 상단 헤드라인 또는 중단 콜아웃에 바로 쓸 수 있도록 최적화하였다.

  1. 허리둘레 5cm 줄이면 심장 위험을 낮출 수 있다.
  2. 혈압·혈당·중성지방, 오늘 확인하고 한 가지부터 고친다.
  3. 점심 후 10분 걷기, 한 달이면 큰 차이가 생긴다.
  4. 달콤한 음료 대신 물, 이번 주만 바꿔본다.
  5. 소금 한 꼬집 덜어내면 혈압이 반응한다.
  6. HDL 올리는 습관, 계단 사용과 견과 한 줌이다.
  7. 공복혈당 100mg/dL부터 신호다. 지금 상담한다.
  8. 허리둘레는 체중계보다 솔직하다. 오늘 재본다.
  9. 야식은 절반, 수면은 한 시간 더, 내일이 달라진다.
  10. 주 150분 걷기, 30분×5회로 나눈다.
  11. 튀김 대신 구이, 크림 대신 된장·토마토를 고른다.
  12. 회의는 50분, 10분은 움직인다.
  13. 한 모금마다 이겨낸다. 물병은 늘 책상 위이다.
  14. 중성지방은 단 음료에 올라탄다. 지금 내린다.
  15. HDL은 움직임을 좋아한다. 자리에서 일어난다.
  16. 오늘 시작, 다음 검진표가 달라진다.
  17. 내 심장과 회사의 안전을 함께 지킨다.
  18. QR을 찍고 4주 챌린지에 합류한다.
  19. 작은 선택이 쌓여 위험을 바꾼다.
  20. 나부터 측정, 모두가 건강한 현장이다.

A3 포스터 구성 템플릿

다음 레이아웃은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기본 틀이다.

  • 헤더 : “물질대사증후군 STOP, 오늘부터 1가지 변화” 같은 짧은 문구를 사용한다.
  • 핵심지표 패널 : 허리둘레·혈압·혈당·중성지방·HDL 간단 기준을 2×3 미니 표로 배치한다.
  • 행동 패널 : 식사·활동 5가지 실천을 아이콘과 8~10자 내 문구로 나열한다.
  • 자가측정 가이드 : 허리둘레·혈압 올바른 측정법을 3단계 일러스트로 넣는다.
  • 지원 채널 : 보건실 내선, 상담 시간, 사내 웰니스 페이지 QR을 우하단에 배치한다.
  • 푸터 : “이 포스터는 건강정보 제공용이며 진단을 대체하지 않는다” 고지를 넣는다.

포스터 제작 사양 체크리스트

항목권장 사양확인
규격A3(297×420mm) 기본, 넓은 공간은 A2
해상도이미지 300dpi 이상
색상CMYK 인쇄 기준, 사내 컬러 가이드 준수
여백재단선 밖 3mm 도련, 안전영역 5mm
폰트가독성 높은 본문 10~12pt, 헤드 36~60pt
아이콘선 굵기 통일, 색상 2~3톤
파일PDF/X 또는 고해상도 PNG
접근성주요 텍스트 대비비율 4.5:1 이상
QR코드20mm 이상, 여백 확보, 테스트 스캔 완료
고지문구“진단 대체 안 함, 상담 권장” 포함

게시 위치·운영 팁

  • 출입게이트, 엘리베이터 대기구역, 구내식당 입구, 휴게실, 화장실 앞 복도, 흡연구역 복귀 동선에 우선 게시한다.
  • 동일 장소에 2주 간격으로 디자인을 교체하여 시각 피로를 줄인다.
  • QR코드는 보건실 상담 예약, 4주 챌린지, 식단 가이드 중 하나로 연결한다.
  • 야간조 라운지에는 빛 반사 최소화를 위해 무광 코팅을 선택한다.

4주 연동 캠페인 운영안

포스터 단독보다 짧은 챌린지를 붙이면 참여율이 상승한다.

주차테마핵심 행동포스터 연동
1주허리둘레·혈압 측정주간배꼽 높이 허리둘레, 휴식 5분 후 혈압자가측정 일러스트 강조
2주단 음료 줄이기설탕음료→물·무당차 전환음료 대체 표 삽입
3주점심 10분 걷기동료와 코스 지도 공유QR로 사내 코스 맵 안내
4주식판 절반 채소반찬 선택 가이드 제공구내식당 앞 포스터 교체

자가측정 미니 카드 문안 예시

  • 허리둘레: 발 모으고 선 상태에서 배꼽 높이 수평, 숨을 내쉰 후 줄자를 당기지 않고 잰다.
  • 혈압: 의자에 5분 앉아 휴식, 커프는 심장 높이, 연속 2회 측정하여 평균을 기록한다.
  • 체중: 같은 시간·같은 복장으로 재며 주간 추세를 본다.
  • 수면: 평일 7시간, 휴일 보정은 1시간 이내로 관리한다.
  • 활동: 하루 8천 보를 3회 분할로 채운다.

생활습관 행동지침 아이콘 텍스트

  • 물병 상시 휴대하다.
  • 점심 후 10분 걷다.
  • 단 음료 줄이다.
  • 가공육·튀김 줄이다.
  • 채소·콩·생선 늘리다.
  • 소금·간장·양념은 절반 쓰다.
  • 주 2회 근력운동 하다.
  • 밤 11시 이전 취침하다.
  • 주 150분 걷기 채우다.
  • 흡연·과음은 상담받다.

음료·간식 대체 예시 표

현재 선택대체 선택설명
설탕 커피블랙 또는 무당 라떼추가당을 줄여 중성지방 상승을 억제한다.
탄산음료물·무당 탄산수갈증 해소는 물이 가장 효율적이다.
크림빵·도넛아몬드 한 줌·바나나섬유소와 불포화지방이 포만을 높인다.
야식 튀김구이·찜·채소 토핑조리법 변경만으로 섭취 열량을 줄인다.
짠 국물맑은 국 소량나트륨 섭취를 단계적으로 낮춘다.

업무환경 지원 항목

  • 탕비실에 무가당 음료와 물 리필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 계단 이용 독려 표지와 층간 걷기 스탬프를 운영한다.
  • 회의는 50분 운영 후 10분 이동·스트레칭 시간을 확보한다.
  • 구내식당 메뉴판에 당·나트륨 표시와 채소 비율 표기를 적용한다.
  • 나이트 근무조에는 저당 간식과 따뜻한 무염 차를 비치한다.

검진·상담 연계 프로세스

단계내용산출물
1. 인지포스터·사내앱 알림으로 위험요인 알리기조회수, QR 클릭률
2. 선별허리둘레·혈압 자가측정 주간 운영자가기록 카드
3. 상담보건관리자 1:1 상담·목표 설정개인 행동계획서
4. 실천4주 챌린지 참가·주간 피드백참여·지속율
5. 평가체중·허리둘레·혈압 추세 비교성과 리포트

개인정보 보호 주의사항

  • 포스터에는 개인 건강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
  • QR 링크는 동의 화면을 거쳐 최소한의 정보만 받는다.
  • 익명·집계 데이터로만 성과를 공유한다.

KPI와 성과 측정 지표

지표정의측정 시점
도달률포스터 노출 인원 대비 조회수게시 1~2주 후
참여률QR 스캔 후 챌린지 등록 비율매주
지속률4주 연속 미션 수행 비율캠페인 종료 시
행동 변화단 음료 섭취 빈도 감소 자기보고2주·4주
건강지표허리둘레·혈압 평균 변화사전·사후

포스터 완성 문안 샘플(A3, 즉시 사용 가능)

헤드라인 : “물질대사증후군 STOP, 오늘부터 1가지 변화하다”

서브 : “허리둘레·혈압·혈당·중성지방·HDL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면 상담 권장하다”

허리둘레남 ≥ 90cm, 여 ≥ 85cm
중성지방≥ 150mg/dL
HDL남 < 40mg/dL, 여 < 50mg/dL
혈압≥ 130/85mmHg 또는 치료 중
공복혈당≥ 100mg/dL 또는 치료 중

오늘 시작 실천 5 : 물 마시다 · 점심 10분 걷다 · 채소 절반 담다 · 단 음료 쉬다 ·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쓰다

자가측정 : 허리둘레는 배꼽 높이에서 숨을 내쉰 뒤 수평으로 재다. 혈압은 의자에 5분 앉아 커프를 심장 높이에 맞추다.

상담 : 보건실 내선 0000, 평일 09:00~17:00, QR로 1:1 예약하다.

본 자료는 건강정보 제공용이며 의료진의 진단을 대체하지 않다.

현장 적용 체크리스트

  • 한 문장당 14자 내외로 간결히 쓰고 숫자는 굵게 처리한다.
  • 핵심 수치와 행동 메시지를 포스터 상단 2/3에 배치한다.
  • 사진보다 아이콘 사용을 우선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 색상은 최대 3톤으로 통일하고 대비를 확보한다.
  • 부착 높이는 시선 높이 150cm 전후를 기준으로 한다.

FAQ

허리둘레는 왜 체중보다 중요한가?

복부 내장지방은 인슐린 저항성과 혈관 위험에 직접 관여하므로 허리둘레가 위험 신호를 더 빨리 보여주기 때문이다.

혈압은 언제 측정하는가?

카페인·흡연·운동 후 30분을 피하고 의자에 5분 이상 앉아 휴식한 뒤 측정한다. 1~2분 간격으로 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한다.

운동량 목표는 어느 정도인가?

중등도 유산소 활동 주 150분 이상을 권장하며, 30분×5회로 분할하여 출퇴근·점심시간 걷기로 채우는 방법이 실무적이다.

야간근무자는 어떻게 조정하는가?

교대 전후 10~15분 걷기를 고정하고 당분 많은 카페 음료를 무가당으로 전환한다. 교대 사이에는 가벼운 단백질 간식과 따뜻한 무염 차를 준비한다.

건강기능식품을 먼저 먹어도 되는가?

행동 변화와 상담이 우선이다. 식사·활동·수면 조정 후에도 지표가 개선되지 않으면 전문의 상담을 통해 보조 수단을 검토한다.

포스터 게시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절한가?

2주 간격으로 교체하고 시즌별로 테마를 달리한다. 장기 게시물은 색 바램과 정보 업데이트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분기별 재인쇄한다.

다국어 버전이 필요한가?

외국인 근로자가 있는 경우 핵심 아이콘 중심 디자인에 영어·숫자 병기를 추가하여 언어 장벽을 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