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과학실 유해물질 표준보관 목록 2025

이미지
이 글의 목적은 초·중·고 과학실에서 사용하는 유해물질의 표준보관 목록과 분리보관 원칙, 수량 한도, 점검·기록 체계를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하여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1. 적용 범위와 기본 원칙 본 표준은 일반 교과용 과학실, 준비실, 시약창고, 실험수업 이동카트에 적용한다. 최소보유 원칙: 수업 계획에 필요한 최소 수량만 보유한다. 분리·격리 원칙: 산·염기·산화제·가연성·독성·반응성 그룹을 상호 접촉 없이 분리한다. 원용기 보관 원칙: 가능한 한 제조사 원용기 상태로 보관한다. 밀폐·차광·환기 원칙: 누출·증기 노출·광분해를 예방하도록 밀폐, 차광, 국소배기장치를 우선 고려한다. 표지·라벨 원칙: 모든 용기에 물질명, 농도, 위험 pictogram, 수업용 희석 기준, 개봉일, 담당자 성명을 명기한다. 학생 접근 통제: 유해물질 보관구역은 시건장치 및 출입기록으로 통제한다. 2. 분리보관 매트릭스 아래 표에서 “X”는 절대 혼재 금지, “△”는 2차 용기·격벽 등 간접 분리를 의미한다. 그룹 산 염기 산화제 가연성 액체 독성·중금속 반응성(수분/공기) 일반시약 산 — X △ X △ X △ 염기 X — △ △ △ X △ 산화제 △ △ — X △ X △ 가연성 액체 X △ X — △ X △ 독성·중금속 △ △ △ △ — △ △ 반응성(수분/공기) X X X X △ — △ 일반시약 △ △ △ △ △ △ — 3. 표준보관 목록(상위 그룹) 각 그룹별 대표 품목과 권장 최대보관량을 제시한다. 최대보관량은 안전관리상 권장치이며 수업 단위·반수·수업주기 등을 고려해 감축한다. 3-1. 산(Acids) 품목 농도 권장 최대량 용기 보관요건 비고 염산 35% 이하 중학교 250 mL, 고등학교 500 mL HDPE 산 전용장, 환...

폐용액 지정폐기물 올바로시스템 전자인계서 작성·인계 요령 2025

이 글의 목적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용액을 지정폐기물로 정확히 분류하고 올바로시스템에서 전자인계서를 오류 없이 작성·인계하는 방법을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절차와 체크포인트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데 있다.

1. 올바로 전자인계 흐름 한눈에 보기

올바로 전자인계는 배출자→운반자→처리자의 순서로 진행되는 디지털 인수인계 절차이다.

배출자는 인계 전 전자인계서를 예약 또는 확정 작성하여 인계번호를 발급받아야 한다.

운반자는 실제 수거 후 운반내역을 입력하고, 처리자는 인수 사실과 처리실적을 등록하여 폐기물 흐름을 완결한다.

각 단계는 입력기한과 필수 항목이 정해져 있어 지연·불일치가 발생하면 오류 인계정보로 분류되어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

2. 폐용액의 정의와 분류 실무 기준

폐용액은 액상 성상으로 배출되는 지정폐기물 중 산성, 알칼리성, 유기용제류, 광물유류 및 수계 세정수 등을 포함하는 범주이다.

분류는 주성분, pH, 염소화 여부, 수용성 여부, 발화·부식 등 유해특성에 따라 결정한다.

혼합 성상은 주위험을 기준으로 분리 보관·인계하며 산과 알칼리의 혼합, 용제와 수계의 혼합, 산화제와 환원제의 혼합은 금지한다.

분류코드는 사내 표준코드표를 기준으로 일관되게 적용하고, 애매한 경우 사전 시험성적 또는 외부 분석을 통해 확정한다.

대상군주요 구분현장 판단 포인트대표 예시
폐산염산·황산·질산·불산·혼산pH≤2, 금속부식, 가스발생 가능성세정공정 혼산, 피클링 폐액
폐알칼리가성소다수·암모니아수 등pH≥12.5, 단백질 변성, 미끄럼 위험CIP 세정 폐액, 알칼리 세척수
폐유기용제할로겐계·비할로겐계휘발성, 인화점, 염소함유 여부IPA 혼합 용제, THF 폐용제
폐유광물유·수용성 절삭유유수분리 필요, 유막 형성유압유 폐액, 수용성 절삭유
수계 세정수금속·유기물 함유 세척수탁도, COD, 금속이온 농도라인세정 순환수, 린스수

3. 인계 전 준비체크 12가지

① 계약 확인: 해당 품목을 처리할 수 있는 운반·처리업체와 위수탁계약을 유효하게 유지한다.

② 허가범위 검토: 처리방법, 처리용량, 수집운반 차량유형이 품목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③ 분류코드 확정: 공정정보와 SDS, 시험성적서로 분류코드를 사전 확정한다.

④ 단위 표준화: 시스템 입력은 질량 기준이 원칙이므로 부피로 관리하는 품목은 밀도표를 마련한다.

⑤ 포장자재 준비: 드럼·IBC·탱크 등 전용용기를 확보하고 뚜껑·밸브·개스킷 상태를 점검한다.

⑥ 라벨링: 용기 외부에 품목명, 분류코드, 성상, 예상량, 배출사업장명, 위험표지를 부착한다.

⑦ 누출방지: 팔레트, 드립팬, 흡착재, 방재키트를 보관장소에 비치한다.

⑧ 보관조건: 내화학 바닥포장, 차수턱, 비·직사광선 차단, 동결·가열 방지 조건을 유지한다.

⑨ 계량수단: 지게차 저울, 바닥저울, 계량증빙 촬영체계를 준비한다.

⑩ 안전장비: 보안경, 내화학 장갑, 방진·방독마스크, 샤워·세안장치를 점검한다.

⑪ 교육: 상차·하차 작업자에게 혼합금지, 정전기 관리, 적재한계, 비상연락망을 교육한다.

⑫ 시스템 권한: 올바로 사용자 권한과 공인인증·간편인증 수단을 사전 점검한다.

4. 전자인계서 필수 항목과 작성 팁

전자인계서는 필수 항목 누락과 단위 오류가 가장 흔한 반려 사유이므로 입력 순서를 표준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항목입력 요령자주 하는 실수예방책
배출일자실제 상차 예정일 기준으로 설정한다.상차 후 소급 입력주간 계획표와 연동하여 사전 예약한다.
분류코드사내 코드표와 교차검증한다.혼합품 오분류주위험 기준 단일코드 원칙을 적용한다.
포장상태드럼·IBC·벌크탱크 등 구체 기재한다.“기타” 포괄 선택용기사양과 수량을 비고에 병기한다.
위탁량kg 기준 입력을 원칙으로 한다.L 단위 입력밀도표로 즉시 환산한다.
운반자차량유형·허가품목 일치 확인한다.허가범위 불일치업체별 취급허용목록을 표준화한다.
처리자처리방법·용량 적합성 확인한다.처리방법 불일치계약서상 처리코드와 매칭한다.
차량번호예약단계에서 지정하면 오류가 줄어든다.미기재 또는 오기자주 쓰는 차량은 사전 등록한다.
비고pH·주성분·특이사항을 간단히 기재한다.무기재업종별 서식으로 템플릿화한다.
첨부사진·시험성적·계근증빙을 첨부한다.증빙 누락체크리스트로 필수화한다.

5. 인계 업무 7단계 표준 절차

1단계 발생량 등록을 통해 품목별 예상량을 최신화한다.

2단계 전자인계서 예약작성으로 인계번호를 발급받는다.

3단계 상차 전 용기 외부오염 제거, 라벨 검수, 누출방지를 완료한다.

4단계 운반자 인수 즉시 운반내역 입력이 진행되도록 협의한다.

5단계 처리자 첫 계근 전 배출자는 위탁량을 확정 입력한다.

6단계 처리자는 인수·처리실적을 기한 내 등록한다.

7단계 불일치·지연 건은 즉시 수정하고 내부 재발방지 기록을 남긴다.

6. 부피→질량 환산과 계량 정확도

전자인계 기본단위는 질량이므로 부피로 관리되는 폐용액은 밀도값을 이용해 kg로 환산한다.

가정: 밀도 1.20 g/mL의 혼합 폐산 1,200 L는 1,200×1.20=1,440 kg로 산정한다.

소형 드럼은 공칭 200 L, IBC는 공칭 1,000 L를 기준으로 하나 실제 충전량은 안전여유를 고려하여 관리한다.

계근값과 내부 산정값이 차이가 나는 경우 허용오차 기준을 두고 원인분석 기록을 남긴다.

용기공칭용량(L)예시 밀도(g/mL)질량 환산(kg)
드럼2001.05210
IBC1,0001.201,200
벌크탱크5,0000.874,350

7. 포장·라벨·보관·운반 핵심 기준

액상 지정폐기물은 누출방지 구조의 전용용기를 사용하고 적재 시 상단 공간을 확보한다.

라벨에는 품목명, 분류코드, 배출사업장, 위험문구, 상차일자를 표기한다.

보관장소는 방류 차단턱과 비상흡착재를 갖추고 바닥은 내화학성 포장으로 유지한다.

운반은 차량 유형과 용기 적합성을 확인하고 드럼은 밴딩·스트래핑으로 고정한다.

산과 알칼리, 용제와 산화제의 혼적을 금지하고 위험물과의 병행 적재를 피한다.

8. 자주 발생하는 입력·현장 오류 10가지와 해결

① 분류 오입력: 혼합품을 단일 성상으로 등록하여 반려되는 사례가 발생하므로 주위험 기준 재분류를 수행한다.

② 포장상태 누락: “기타” 선택만으로는 현장 식별이 곤란하므로 용기사양·수량을 비고에 병기한다.

③ 차량번호 상이: 예약 단계에 차량을 지정하고 변경 시 비고에 변경사유를 기록한다.

④ 예약만 하고 확정 미실시: 처리자 계근 전에 확정 입력을 완료하도록 작업표준서에 타임라인을 명시한다.

⑤ 계근 차이 과다: 공차량 누락, 잔류액, 온도 변화 등을 확인하고 허용오차 기준을 적용한다.

⑥ 임시보관 경유 누락: 경유지 입력을 누락하면 흐름추적이 끊기므로 대차 계획을 사전 반영한다.

⑦ 허가범위 불일치: 운반·처리 허가품목을 월간 단위로 점검한다.

⑧ 단위 혼동: L 입력 후 kg로 자동 환산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산정표를 의무 적용한다.

⑨ 첨부 누락: 사진, 시험성적, 계근표를 필수 첨부로 표준화한다.

⑩ 사후 인계서: 상차 후 최초 작성은 행정리스크가 크므로 사전 예약을 원칙으로 한다.

9. 업종별 실무 시나리오

반도체·디스플레이 혼산 혼합 폐액은 pH와 불소·질산 함량 변동이 커서 계근값 편차가 발생하기 쉽다.

IBC 1기와 드럼 1개의 혼합 출하 시 용기사양·충전량·밀도값을 분리 산정하여 합산 입력한다.

도장·인쇄 용제계 폐용액은 인화성 관리가 핵심이다.

접지·정전기 관리, 인화점 확인, 통풍 확보 후 밀폐용기에 담아 적재하고 운반자와 안전거리 규칙을 공유한다.

식품·음료 알칼리 세정수는 거품으로 인한 허수 발생을 주의한다.

탱크 상부 거품층을 제거한 후 계량하고 희석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밸브를 구획 관리한다.

10. 내부 통제와 증빙 운영

전자인계 번호대장을 유지하고 배출일자, 품목, 용기, 수량, 차량, 처리자를 일원화하여 관리한다.

현장 사진은 라벨 근접샷, 적재 전·후 사진, 씰·밴딩 사진을 표준컷으로 보관한다.

월간으로 입력기한 준수율, 불일치 건수, 재발률을 KPI로 점검한다.

계근차 초과 건은 원인분류표에 따라 용기잔류, 온도, 누설, 오기재, 기타로 나누어 시정대책을 기록한다.

11. 시스템 장애·비상 상황 대응

시스템 접속 장애 시 고객센터 ARS로 기본 항목을 등록한 뒤 복구 후 전자인계서로 정합성을 맞춘다.

누출·파손 발생 시 현장 격리, 흡착·중화 등 응급조치를 실시하고 사진·기록을 남긴다.

처리자 반송 시 사유서와 대체 처리계획을 수립하고 재분류 후 재인계를 진행한다.

보관기간 초과 징후가 보이면 긴급 반출계획을 수립하여 초과 전 반출을 완료한다.

12. 현장 1페이지 점검표(출력용)

점검항목세부내용빈도기록
계약·허가 범위운반·처리 품목·용량 일치 확인월 1회계약서·허가증
분류코드SDS·시험성적 기반 검토매 배출코드표
포장·라벨용기상태, 라벨, 씰·밴딩상차 전사진
부피→질량밀도표 환산·계근 비교상차 전/후산정시트
예약·확정인계번호, 확정입력 확인상차 당일시스템
운반내역차량·경유지·시간수거 당일시스템
처리실적인수·처리기한 준수처리 후시스템
오류 수정불일치·지연 즉시 수정발생 시시정서

13. 입력 예시 두 가지

예시 A 혼산 1,200 L, 비중 1.20, IBC 1기+드럼 1개인 경우이다.

분류코드 확정 후 예상량 1,440 kg를 발생량에 등록하고 포장상태를 각각 기재한다.

인계서 예약 후 상차, 처리자 계근 1,452 kg 확인 시 배출자 확정입력으로 정합을 맞춘다.

예시 B 비할로겐계 폐용제 3,000 L, 비중 0.79, 벌크탱크 수거인 경우이다.

예상량 2,370 kg로 산정하여 예약 후 탱크로리 상차, 인화성 관리와 접지를 강화한다.

14. 교육·감사 포인트

신규 담당자 교육에는 분류·단위·포장·입력기한·증빙 5가지를 필수 모듈로 구성한다.

내부감사 시 표본 인계서를 추적하여 예약일자, 확정시점, 계근값, 첨부증빙, 오류수정 이력을 확인한다.

외부 점검 대비를 위해 최근 6개월 인계데이터를 피벗하여 업종 평균 대비 편차를 분석한다.

FAQ

L 단위밖에 없는데 어떻게 입력하나

SDS의 밀도(g/mL) 또는 시험성적의 비중을 활용하여 kg로 환산하여 입력한다.

예약만 하고 확정을 놓치면 어떻게 하나

처리자 계근 전에 배출자 확정입력을 완료해야 하며 누락 시 오류로 분류되므로 즉시 확정하고 사유를 기록한다.

산성 폐용액과 알칼리성 폐용액을 한 용기에 담아도 되나

불가하다. 반응위험이 크므로 성상별로 분리 보관·수집한다.

액상은 반드시 탱크로리로만 운반해야 하나

전용 밀폐용기에 적정 고정장치를 사용하면 차량 적합조건 하에 운반이 가능하다.

차량번호 자동반영이 되지 않는다

자주 사용하는 차량·업체 정보를 기초정보에 사전 등록하고 예약 단계에서 지정한다.

보관기간 관리는 어떻게 하나

지정폐기물은 원칙적으로 90일 이내 반출을 목표로 하며 월 배출량이 매우 적은 사업장은 내부 기준으로 여유기간을 설정하되 초과 전 반출을 완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