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용·인승용·환자용 엘리베이터 완벽 가이드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건축·설비 담당자와 안전관리자가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화물용 엘리베이터, 인승용 엘리베이터, 환자용 엘리베이터의 정의·적용 기준·설계 요구조건·유지관리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분류 개요
국내 승강기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에서는 용도별로 승객용, 병원용, 화물용 등 세부종류를 명시한다. 사람만을 운송하도록 설계된 설비가 인승용(승객용) 엘리베이터이다. 화물 전용으로 제작되어 1명의 운반자가 동승할 수 있는 설비가 화물용 엘리베이터이다. 침대와 의료장비를 함께 실어야 하는 병원 환경에는 침대용(환자용) 엘리베이터가 적용된다. 각각의 분류는 정격하중, 카 내부 크기, 도어 방식, 출입 폭, 제어 로직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가진다.
화물용 엘리베이터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적재 안정성과 내구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설계한다. 정격하중은 1 t에서 5 t까지 폭넓게 제공하며, 산업 현장에서는 10 t급 대형 모델도 사용한다. 카 내부 벽·바닥은 충격과 긁힘에 강한 강판이나 스테인리스 리브 패턴 강판을 사용하고, 하중 분산을 위해 두께 6 mm 이상의 체크플레이트를 적용한다. 도어는 중량 화물이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센터 오프닝(CO) 또는 더블 폴딩(DF) 방식을 채택한다. 설계 속도는 30 m/min에서 60 m/min 범위가 일반적이며, 정밀 정지 장치(Leveling Accuracy)는 ±10 mm 이내로 관리한다. 카 상부에는 고하중 환경에서도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더블 로프 서스펜션과 저속 고토크 기어드 머신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다.
운영 측면에서는 리프트카·핸드파레트·지게차 진입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바닥에 우레탄 범퍼를 설치하고, 각 모서리에 보호 가드(높이 1 m)를 부착한다. 화물 이동 빈도가 높은 물류센터·제조공장·대형 할인점은 엘리베이터 카 양측에 전후(through type) 출입문을 설치하여 동선 효율을 최적화한다. 짐 적재 후 출입문 닫힘이 지연되어야 하므로 ‘도어 홀드 60 s’와 ‘배터리 구동 비상운전’ 기능을 기본 옵션으로 지정한다.
항목 | 정격하중(kg) | 카 내부 규격(mm) | 출입문 폭(mm) | 설계 속도(m/min) | 특징 |
---|---|---|---|---|---|
표준 화물용 | 1,000~5,000 | 1,800×2,000~2,500×3,000 | 1,300~2,000 | 30~60 | 고하중, 저속, 바닥·벽 강화 |
대형 화물용 | 5,000 이상 | 2,500×3,500 이상 | 2,000 이상 | 30 이하 | 지게차·차량 탑재 가능 |
인승용 엘리베이터
인승용 엘리베이터는 쾌적한 승차감, 고속 운전, 에너지 효율을 목표로 설계한다. 정격하중은 450 kg(6인승)부터 1,600 kg(24인승)까지 다양하며, 고층 업무동에서는 1,600 kg 이상 대형 카를 다중 그룹 제어로 운영한다. 속도는 건물 높이에 따라 60 m/min에서 210 m/min까지 설정하며, 기계실 없는(MRL) 타입이 보편화되고 있다. 실내 마감은 스테인리스 미러·헤어라인·강화유리·목재베니어 등 디자인 선택권이 넓다. 조명은 LED Downlight와 간접조명을 병행하고, 승객 편의를 위해 IoT 호출·터치리스 버튼·UV-C 살균 등이 신규 트렌드로 확산한다.
안전 장치로는 과속방지·과부하방지·승강로 자동구출장치(ARD)·이중통신 인터폰이 의무이며, 시각·청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음성안내·손잡이 설치를 필수로 한다. 비상 상황에서는 소방관 전용 운전(Fireman Mode)과 비상콘센트(110 V)가 작동하여 구조 활동을 지원한다.
환자용 엘리베이터
환자용 엘리베이터(병원용·침대용 엘리베이터)는 병상, 의료기기를 포함한 이송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도록 설계한다. 일반적으로 1,350 kg(18인승)·1,600 kg(21인승)·1,800 kg(24인승) 모델이 표준이다. 카 내부 규격은 폭 1,400~1,600 mm, 깊이 2,400 mm 이상을 확보해 침대(폭 1,050 mm)와 링거스탠드가 무리 없이 회전한다. 출입문은 양날(센터 오프닝) 폭 1,100~1,300 mm를 확보하며, 닫힘지연 20 s 이상 설정해 의료진 이동을 보조한다.
구동 방식은 저속 고토크와 VVVF 인버터 제어를 적용해 환자 승차감에 민감한 흔들림·소음을 최소화한다. 차내 바닥은 항균 비닐타일·무용제 PU 시트로 마감하며, 벽체는 항균 SUS 304·페인트 하이브리드 패널을 사용해 세척이 용이하다. 비상 전원 회로는 1분 내 자동 전환되어 생명유지장비 전원을 보호한다. 공조는 무풍팬+고성능 헤파필터를 채용해 병원균 확산을 억제한다.
모델 | 정격하중(kg) | 카 규격(mm) | 출입문 폭(mm) | 속도(m/min) | 특화 기능 |
---|---|---|---|---|---|
KHB 1350 | 1,350 | 1,300×2,300 | 1,100 | 30·45·60 | 항균 패널·도어홀드 20 s |
KHB 1600 | 1,600 | 1,500×2,300 | 1,100 | 60·90·105 | 침대 회전 여유·IoT 모니터링 |
공통 설계 및 안전 규정
모든 용도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벽 두께 최소 150 mm, 피트 깊이 1,200 mm 이상, 오버헤드 4,000 mm 이상(속도 60 m/min 기준)을 확보해야 한다. 기계실 있는 모델은 구동·제어반 반력과 발열량을 고려해 환기창·팬을 설치한다. 화재 안전을 위해 제연 로비, 도어 방화타임 120 분, 로프 난연 등급 F1 이상 규격을 적용한다. 승강기 유지관리업 등록 업체가 월 1회 이상 점검하고, 운영자는 자체 일상점검 기록부를 2년간 보관해야 한다.
선택 및 유지관리 체크포인트
① 용도 적합성 : 물류창고는 화물중량·파렛트 규격을 정확히 파악하여 정격하중과 카 크기를 산정해야 한다.
② 승차감·소음 : 병원·오피스는 가속도 1.0 m/s² 이하, 소음 55 dB 이하 규격 인증서를 확인해야 한다.
③ 에너지 효율 : 회생제동 시스템·스탠바이 절전 모드를 채택해 연간 소비전력을 30 % 이상 절감 가능하다.
④ BIM·IoT 연계 : 플랫폼 API 호환 여부를 사전에 점검해 건물 자동화(BA) 시스템과 통합해야 한다.
⑤ 계약 조건 : 설치 후 10년 장기부품 보유·24 h 콜센터·지진대응 가이드 포함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FAQ
화물용 엘리베이터에 사람 탑승이 가능한가?
승강기 안전관리법에 따르면 조작자 또는 화물취급자 1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일반 승객 탑승은 금지된다. 정격하중 300 kg 미만 소형 화물용은 사람 탑승 자체가 불가하다.
환자용 엘리베이터는 일반 승객용으로도 사용 가능한가?
병원용 엘리베이터는 평상시 승객용으로 겸용이 가능하다. 다만 카 청결·도어 지연 설정 등 병원운영 기준을 유지해야 하며, 침대 이동 중에는 외부 호출이 자동 차단되도록 설정한다.
인승용 엘리베이터에 화물 적재가 허용되는가?
승객전용 엘리베이터는 화물의 반복적 운반을 전제로 설계되지 않아 과부하·충격 하중 위험이 크다. 규정상 인승용 설비에 소형 화물을 일시적으로 실을 수 있지만, 파렛트·지게차 운반은 전용 화물용 설비를 이용해야 한다.
엘리베이터 설치 시 소방관련 요구사항은?
층수 11층 이상 또는 높이 30 m 이상 건물은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해당 설비는 화재 대응 시 전용 운전모드, 방화도어, 피난사다리 통합 설계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