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 표기 완전정복 – SUS 304/304L·TP 304, SUS 316/316L·TP 316, SUS 321·TP 321 그리고 STS/SUS 차이까지

1. 표기 체계 개요

  • SUS는 일본 JIS G 4303에서 유래한 스테인리스강 표기이다.

  • STS는 한국 산업현장에서 흔히 쓰는 ‘Stainless Steel’의 약자이다. 두 약어 모두 같은 재질군을 지칭하지만, 공식 규격은 SUS(AISI)·TP(ASTM) 표기를 사용한다.

  • TP는 Tube/Pipe 제품임을 뜻하며, 무계목관은 TPxxx‑S, 용접관은 TPxxx‑W로 추가 식별한다.

  • L은 Low Carbon(저탄소)을 의미한다. 탄소(C) 함량을 0.03 % 이하로 낮춰 용접부 입계부식을 억제한다.


2. 대표 등급 비교표

구분 C 함량 한도 주요 합금 원소 특징 대표 용도
SUS304 / STS304 ≤ 0.08 % Cr 18 % · Ni 8 % 범용 오스테나이트계, 성형·용접성 우수 일반 구조·설비
SUS304L / TP304L ≤ 0.03 % Cr 18 % · Ni 8 % 용접 후 입계부식 억제 압력용기, 클린배관
TP304 ≤ 0.08 % 동일 배관·튜브 전용 규격, 수압·치수 기준 포함 유체 배관
SUS316 ≤ 0.08 % Cr 17 % · Ni 10 % · Mo 2 % 몰리브덴 첨가로 염화물 국부부식 저항 향상 해양·화학 설비
SUS316L / TP316L ≤ 0.03 % Cr 17 % · Ni 10 % · Mo 2 % 316 특성 + 용접부 내식성 강화 제약·반도체 배관
TP316 ≤ 0.08 % 동일 316 배관·튜브 전용 고부식 유체 배관
SUS321 ≤ 0.08 % Cr 17 % · Ti ≥ 5×C Ti 탄화물로 입계부식 억제, 고온 안정 배기가스 시스템
TP321 ≤ 0.08 % 동일 321 배관·튜브 전용 고온 스팀·배관

3. STS vs SUS – 무엇이 다른가

  1. 기원 차이

    • SUS: JIS 규격에서 시작, 국내 KS 에서도 채택.

    • STS: 국내 업체·도매상에서 관용적으로 쓰는 약어.

  2. 실무 적용

    • 도면·사양서에는 SUS·TP·AISI·ASTM과 같은 공식 등급을 표기한다.

    • 견적·구매 단계에서 STS304(=SUS304) 식으로 병기해도 무방하나, 최종 문서에는 정식 규격으로 통일한다.

  3. 혼동 방지 포인트

    • STS304L이라 표기해도 실질적으로 SUS304L과 동일하다.

    • 배관 주문 시 TP 등급을 명시하지 않으면 치수·시험 기준 누락 위험이 있다.


4. 선택 가이드

상황 권장 재질 이유
일반 구조·장비 SUS304 가격·수급 용이, 가공성 우수
용접부가 많고 고온 사용 SUS304L / TP304L 저탄소 → 입계부식 억제
염화이온 > 200 ppm SUS316 / 316L / TP316(L) Mo 첨가로 국부부식 저항
해수·해양 환경 SUS316L 해수 SCC·핀홀 부식 대비
500 ℃ 이상 배기가스 SUS321 / TP321 Ti 안정화로 Cr C₆ 석출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