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량저감계획서 작성 가이드: 대기오염물질·온실가스 저감전략, 산정식, 체크리스트

이미지
이 글의 목적은 사업장에서 활용 가능한 배출량저감계획서 표준 구성과 계산 방식, 저감기술 선정, 투자 타당성, 모니터링 체계를 단계별로 제시하여 즉시 작성과 내부 심의를 돕는 것이다. 1. 배출량저감계획서의 정의와 적용범위 배출량저감계획서란 사업장 공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목표와 수단을 설정하여 일정 기간 내 감축을 달성하기 위한 실행계획을 문서화한 자료를 말한다. 대상 범위는 보일러, 소성로, 건조기, 소각로, 코팅·세정·도장 공정, 용제 사용 공정, 저장탱크와 로딩, 배출가스처리시설, 비산배출원, 비에너지 온실가스 배출원 등을 포함한다. 관리 오염물질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납·수은 등 특정 유해대기물질, 그리고 온실가스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불소계 온실가스를 포함한다. 2. 계획서 필수 구성요소와 제출 흐름 구성요소 핵심 내용 출력물 현황진단 배출원 식별, 공정·설비 목록, 활동자료와 배출계수 정리 배출원 목록표, 배출계수 매핑표 배출량 산정 기준연도 확정, 오염물질·온실가스 배출량 계산 기준연도 인벤토리 목표설정 절대감축 또는 집약도 목표, 중간 마일스톤 연도별 목표표 저감수단 공정개선, 연료전환, 회수·처리, 운영최적화, 비산저감 수단별 감축량·비용·일정 경제성 CAPEX, OPEX, 톤당감축비용, 현금흐름 NPV·IRR 분석서 이행계획 연차별 공사·전환 일정, 조업영향 관리 Gantt 차트, 리스크 대응계획 MRV 체계 모니터링·보고·검증 절차와 빈도 측정계획서, 내부 검토체크리스트 3. 배출원 인벤토리 작성 절차 경계 설정을 조직경계와 운영경계로 구분하여 명확히 정의한다. 점오염원과 비산배출원을 모두 포함하여 배출원을 전수 식별한다. 각 배출원에 대해 활동자료와 배출계수를 매칭하여 데이터 품질을 등급화한다. 기...

폭염 대비 가이드 : 온열질환 예방과 체감온도 계산법



1. 온열질환이란 무엇인가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서 신체의 열 방출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발생한다. 대표적인 유형은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한랭질환 후 반응 등이 있다.

2. 주요 유형과 증상

  • 열사병 : 체온 40 °C 이상, 땀이 멈추고 의식 저하가 동반된다.
  • 열탈진 : 다량의 땀 소실로 탈수, 저혈압, 현기증이 나타난다.
  • 열경련 : 격렬한 근육통 또는 경련이 발생한다.
  • 열실신 : 혈관 확장으로 순간적인 뇌 혈류 감소가 생겨 실신한다.

3. 위험 요인

  • 기온 33 °C ↑·습도 60 % ↑ 환경
  • 직사광선 노출 및 무풍 공간
  • 고령자·영유아·만성질환자
  • 과도한 운동 또는 야외 노동
  • 탈수·음주·카페인 섭취

4. 응급 조치 및 예방 수칙

  •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고 의복을 느슨하게 한다.
  • 차가운 물·얼음팩으로 목·겨드랑이·사타구니를 냉각한다.
  • 의식이 있다면 0.1 ~ 0.2 % 식염수를 소량 반복 섭취한다.
  • 40 °C 이상 또는 의식 장애 발생 시 즉시 응급실로 이송한다.
  • 평상시 충분한 수분·전해질 섭취와 자외선 차단, 작업 시간 조절을 한다.

5. 체감온도(Heat Index) 계산법

Heat Index(열지수) 는 기온 (T [°C])과 상대습도 (RH [%])를 결합해 인체가 느끼는 실제 더위를 계산한다.

Heat Index[°C] = -42.379 + 2.04901523·T + 10.14333127·RH - 0.22475541·T·RH
    − 6.83783·10-3·T² − 5.481717·10-2·RH²
    + 1.22874·10-3·T²·RH + 8.5282·10-4·T·RH² – 1.99·10-6·T²·RH²

Heat Index 해석

  • 27 ~ 32 °C : 주의 - 가벼운 탈수 주의
  • 33 ~ 41 °C : 경고 - 열탈진 가능성 증가
  • 41 ~ 54 °C : 위험 - 열사병 위험
  • 54 °C ↑ : 극심한 위험 - 즉시 실내 대피

WBGT (습구 흑구 온도) 간략 소개

야외 작업 현장에서는 WBGT 지수를 사용한다. 건구온도·습구온도·흑구온도를 가중 평균해 노출 강도를 평가한다. WBGT 지수가 28 °C 를 초과하면 작업 시간을 단축하거나 휴식 빈도를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