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공장 단위에서 ESG 공시와 내부 관리에 필요한 환경 데이터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수집·검증·보고하기 위한 실무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적용 범위와 기본 원칙
조직 경계는 해당 공장의 운영권 기준으로 설정하되 임차 설비와 위탁 운영 구역을 포함하여 데이터 누락을 방지한다.
수집 기준은 발생주의를 원칙으로 하며 월간 마감 기준일을 명확히 정하여 전월 누락과 중복을 방지한다.
측정 우선, 계산 보완, 추정 최후의 원칙을 적용하여 데이터의 신뢰도를 단계적으로 높인다.
원단위 지표는 생산량, 가동시간, 인원 등 주요 동인과 함께 관리하여 변동 원인을 추적 가능하게 한다.
변경관리 절차를 마련하여 계량기 교체, 설비 증설, 공정 변경, 계약 변경 등 데이터 생성 구조의 변화를 기록한다.
2. 공장 ESG 환경 데이터 맵
다음 표는 공장에서 통상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핵심 항목과 정의, 단위, 수집 주기, 데이터 소스를 정리한 것이다.
| 분류 | 항목 | 정의 | 단위 | 수집주기 | 주요 소스 | 담당 |
|---|---|---|---|---|---|---|
| 연료·에너지 | LNG 사용량 | 보일러·열원용 도시가스 계량값 순사용량이다. | Sm³ | 일·월 | 가스 메인미터, 청구서 | 설비팀 |
| 연료·에너지 | 경유 사용량 | 지게차, 비상발전기, 공정연료 소모량이다. | L 또는 L/월 | 월 | 주유내역, 탱크입출 기록 | 설비팀 |
| 연료·에너지 | 프로판/부탄 | 실린더 또는 벌크 저장 사용량이다. | kg | 월 | 납품서, 재고카드 | 설비팀 |
| 전력 | 구매 전력 | 외부로부터 구매한 총 전력량이다. | kWh | 일·월 | 수전메인 계량기, 청구서 | 설비팀 |
| 전력 | 자가발전 전력 | 내부 발전기 생산 전력량이다. | kWh | 월 | 발전기 미터, 운전일지 | 설비팀 |
| 열/스팀 | 구매 스팀 | 외부 공급 스팀 인계량이다. | 톤 | 월 | 인수계량기, 정산서 | 설비팀 |
| 물 관리 | 원수 취수량 | 자체 취수 또는 지하수 취수량이다. | m³ | 월 | 계량기, 취수일지 | 환경팀 |
| 물 관리 | 상수 사용량 | 상수도 사용 총량이다. | m³ | 일·월 | 검침표, 요금서 | 환경팀 |
| 물 관리 | 재이용수 | 공정 또는 처리수 재이용량이다. | m³ | 월 | 배관계량기, 운전일지 | 환경팀 |
| 폐수 | 방류 유량 | 법정 방류구 방류량이다. | m³ | 일·월 | 방류계량기, LS | 환경팀 |
| 폐수 | 수질 항목 | COD, BOD, TSS, TN, TP 등 법정 항목이다. | mg/L | 월 | 자가측정, 의뢰성적서 | 환경팀 |
| 대기 | 연소가스 배출 | 배출구별 가스량과 오염물질 농도이다. | Nm³, ppm | 분기·반기 | 자가측정, TMS | 환경팀 |
| 대기 | VOC 제거량 | 활성탄·RTO 제거량 추정치이다. | kg | 월 | 활성탄 교체기록, 운전데이터 | 환경팀 |
| 폐기물 | 종류별 발생량 | 일반·지정·재활용 구분 발생량이다. | kg 또는 톤 | 월 | 전자인계, 계근표 | 환경팀 |
| 폐기물 | 처리방법 | 재활용·소각·매립·중간처리 구분이다. | 비율 | 월 | 처리확인서 | 환경팀 |
| 냉매 | 보충·회수량 | 설비별 HFC 등 보충 및 회수량이다. | kg | 월 | 유지보수 기록, 영수증 | 설비팀 |
| 화학물질 | PRTR 대상 취급량 | 대상물질 연간 취급·배출·이동량이다. | kg/년 | 월·연 | 출고·투입 기록, SDS | 생산팀 |
| 환경설비 | 운전시간·소비재 | 스크러버 약품, 필터, 활성탄 교체 기록이다. | 시간·kg | 월 | 운전일지, 구매내역 | 환경팀 |
| 민원·리스크 | 악취·소음 민원 | 민원 접수 및 조치 이력이다. | 건 | 월 | 민원대장 | 환경팀 |
3. 분류별 실무 체크리스트
3.1 에너지·온실가스
- 연료는 계량기 위치와 검침 담당을 지정하고 사진 증빙을 월 1회 이상 저장한다.
- 경유와 LPG는 입고량과 잔량을 더해 사용량을 산정하고 장부와 실재고를 월말에 대사한다.
- 전력은 수전 메인과 주요 공정 서브미터를 구분 수집하여 부문별 배부 기준을 명확히 한다.
- 자가발전 가동 시 연료 사용량과 발전량 간 열량 균형을 점검한다.
- 온실가스 배출량은 활동데이터와 배출계수, 산화율, 발열량을 명시한 산출식을 사용한다.
- 배출계수와 전력 배출요인은 버전 관리표를 운영하고 변경 시점과 적용 구간을 기록한다.
3.2 물·폐수
- 원수, 상수, 재이용, 방류의 네 흐름을 계량기로 분리하고 누수 탐지 절차를 운영한다.
- 폐수 방류 유량계는 교정주기를 준수하고 비정상 데이터는 일지와 함께 보정 사유를 기록한다.
- 수질 항목은 대표성 있는 시료 채취 계획을 문서화하고 외부 성적서를 원본 파일로 보관한다.
- 공정수 재이용량은 취수량과 생산수지와 일관되게 산정한다.
3.3 대기오염물질·VOC
- 배출구별 자가측정 결과와 TMS 자료의 일관성을 확인하고 설비 비가동 기간을 구분 기록한다.
- 활성탄의 교체 주기와 투입량을 관리하고 포화 전후 차압과 흡착지표를 기록한다.
- RTO는 연소온도, 체류시간, 우회밸브 상태를 운전기록으로 증빙한다.
3.4 폐기물
- 발생량은 보관대장과 계근표로, 처리방법은 처리확인서로 검증한다.
- 재활용률은 발생량 대비 재활용 처리량으로 계산하며 재고 증감의 영향을 분리한다.
- 유해폐기물은 용기 라벨, 보관기간, 누액 방지 상태를 월 1회 점검한다.
3.5 냉매·누출
- 설비별 충전량, 보충량, 회수량, 누설 이력을 카드로 관리한다.
- 누설률은 보충량 대비 충전량으로 산정하고 대규모 누설은 원인분석 보고서를 첨부한다.
3.6 화학물질·PRTR
- 대상물질 목록을 공정별로 연결하고 투입량, 생성량, 배출·이동량을 물질수지로 산정한다.
- SDS 최신본과 농도 변동을 취급대장에 반영한다.
4. 데이터 품질관리 규칙과 점검 로직
데이터 품질은 완전성, 정확성, 일관성, 시의성, 추적성으로 관리한다.
| 규칙 | 점검 로직 예시 | 오류 임계치 | 조치 |
|---|---|---|---|
| 완전성 | 필수 항목 월별 공란 수를 계산한다. | 0건 | 담당자 재입력과 원인 재발방지 대책 수립을 한다. |
| 정확성 | 전력·가스 청구서와 계량기 합계를 대조한다. | ±1% | 검침오차 조사와 보정근거 문서화를 한다. |
| 일관성 | 연료 사용량과 생산량의 상관계수를 계산한다. | 0.6 미만 | 비정상 원인분석과 데이터 라벨링을 한다. |
| 시의성 | 마감 기준일 D+5 이내 입력 완료율을 산출한다. | 95% 미만 | 알림 강화와 예비 담당자 지정을 한다. |
| 추적성 | 원시 증빙 파일 첨부율을 모니터링한다. | 100% 미만 | 증빙 누락 시 재요청과 재교육을 한다. |
5. 산출식 템플릿과 단위 환산
연료 연소 직접배출량은 활동데이터 곱하기 배출계수 곱하기 산화율로 산정한다.
전력 간접배출량은 구매전력량 곱하기 전력 배출요인으로 산정한다.
스팀 간접배출량은 구매 스팀량 곱하기 스팀 배출요인으로 산정한다.
냉매 배출량은 보충량 기반 추정 또는 누설률 적용 방법으로 산정한다.
폐기물 처리에 따른 배출량은 처리방법별 배출요인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 항목 | 산출식 예시 | 비고 |
|---|---|---|
| 연료 연소 | 배출량 = 사용량 × 발열량 × 배출계수 × 산화율 | 발열량과 계수의 단위를 일치시킨다. |
| 전력 | 배출량 = kWh × 전력 배출요인 | 연도별 요인 버전을 관리한다. |
| 스팀 | 배출량 = 톤 × 스팀 배출요인 | 압력과 건도의 차이를 확인한다. |
| 냉매 | 배출량 = 보충량 × 냉매 GWP | 장비 교체 시 초기 충전량을 별도 기록한다. |
| 폐기물 | 배출량 = 처리량 × 처리방법별 요인 | 회수에너지 공제 기준을 명확히 한다. |
6. 역할과 책임 매트릭스
다음 표는 데이터 항목별 책임을 RACI 형태로 단순화한 것이다.
| 역할 | 주요 책임 | 에너지 | 물/폐수 | 대기 | 폐기물 | 냉매 | 화학물질 |
|---|---|---|---|---|---|---|---|
| 공장장 | 승인과 자원 배분 | A | A | A | A | A | A |
| 설비팀 | 계량·유지보수 | R | C | C | C | R | C |
| 환경안전팀 | 수집·검증·보고 | C | R | R | R | C | R |
| 생산팀 | 투입·산출 기록 | C | C | C | C | C | R |
| 구매팀 | 청구서·납품 증빙 | I | I | I | I | I | I |
| 재무팀 | 수량·금액 대사 | C | C | C | C | C | C |
| IT | 시스템 운영 | C | C | C | C | C | C |
7. 시스템·프로세스 구축 로드맵
공장의 성숙도에 따라 단계별로 시스템을 확장한다.
| 단계 | 주요 과제 | 산출물 | 리스크 |
|---|---|---|---|
| 0. 수기 | 양식 통일과 담당 지정 | 표준 템플릿 | 인적 오류 증가 |
| 1. 파일 | 검증 로직 내장 | 검증 엑셀 | 버전 혼선 |
| 2. DB | EHS 데이터베이스 구축 | 단일 저장소 | 초기 이관 부담 |
| 3. 계측 연동 | AMI·PLC 수집 | 자동 수집 | 통신 장애 |
| 4. 허브 | ERP·MES 연계 | 데이터 허브 | 권한 관리 |
| 5. 감사 대응 | 증빙 추적·로그 | 감사 포털 | 개인정보 관리 |
8. 월간 마감 달력과 제출물
D+1에 전력과 가스, 물 검침을 완료한다.
D+3에 원시 증빙 스캔과 파일명을 규칙에 맞춰 업로드한다.
D+5에 검증 지표를 점검하고 이상치를 라벨링한다.
D+7에 부서장 승인을 받고 변경이력을 기록한다.
D+8에 경영지표와 대외보고용 집계를 확정한다.
9. 현장 점검 체크포인트
- 메인미터와 서브미터의 자물쇠, 봉인, 시리얼을 사진으로 기록한다.
- 계량기 교정표와 유효기간을 점검한다.
- 배관 흐름 방향 화살표와 계측 위치를 도면과 일치시킨다.
- 연료 탱크의 저수위 경보와 누유 감지 상태를 점검한다.
- 스크러버 약품 탱크 잔량과 주입펌프 유량 보정을 확인한다.
- 활성탄 교체 전후 무게와 폐활성탄 인계를 확인한다.
- 폐기물 보관구역의 방진, 방수, 라벨, 보관기간 준수를 확인한다.
- 방류수 샘플링 포트의 청결과 잠금 상태를 확인한다.
10. 샘플 수집 양식
다음 양식은 월간 데이터 수집 시 기본 필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 월 | 항목 | 수치 | 단위 | 증빙파일 | 특이사항 | 입력자 | 검증 |
|---|---|---|---|---|---|---|---|
| YYYY-MM | 구매 전력 | 0 | kWh | 청구서.pdf | — | 홍길동 | 완료 |
| YYYY-MM | LNG 사용 | 0 | Sm³ | 검침.jpg | 계량기 교체 | 홍길동 | 보류 |
| YYYY-MM | 방류 유량 | 0 | m³ | 일지.xlsx | 우천 영향 | 김영희 | 완료 |
| YYYY-MM | 폐기물 재활용률 | 0 | % | 인계.zip | 신규 품목 | 김영희 | 완료 |
| YYYY-MM | 냉매 보충량 | 0 | kg | 정비서.pdf | 콤프 교체 | 박민수 | 완료 |
11. 핵심 KPI와 경보 한계
관리의 초점은 결과 지표와 원인 지표의 동시 관리에 있다.
| KPI | 정의 | 경보 한계 예시 | 시정 조치 |
|---|---|---|---|
| 에너지 원단위 | 총에너지 사용량/생산량이다. | 전월 대비 +10% | 누설 점검과 가동계획 재검토를 한다. |
| 용수 재이용률 | 재이용량/총사용량이다. | 목표 대비 -5%p | 회수 공정 운전조건을 최적화한다. |
| 폐기물 재활용률 | 재활용 처리량/총처리량이다. | 전월 대비 -8%p | 분리배출 교육과 계약사 검토를 한다. |
| 냉매 누설률 | 보충량/충전량이다. | 연간 10% 초과 | 배관 누설 탐지를 실시한다. |
12. 교육·운영 표준화 팁
- 데이터 사전과 명칭 표준을 만들어 동일 용어를 사용한다.
- 파일명 규칙은 연도_월_항목_설비코드 형식으로 고정한다.
- 결측치는 0이 아닌 NA로 구분 입력하고 사유를 기록한다.
- 대리 입력은 금지하고 각 항목의 1차 입력자와 2차 검증자를 분리한다.
- 모든 변경은 변경요청서와 승인 로그로 추적한다.
FAQ
스코프1, 스코프2, 스코프3 구분은 어떻게 적용하나?
스코프1은 연료 연소와 냉매 누설 등 공장 내 직접 배출이다.
스코프2는 구매 전력과 구매 열 사용에 따른 간접 배출이다.
스코프3는 상하류 물류, 출퇴근, 구매 원재료 등 가치사슬 배출로 공장 단위에서는 우선순위 항목을 선정하여 시범 산정부터 시작한다.
배출계수는 어디에 보관하고 어떻게 바꾸나?
배출계수는 중앙 테이블에서 코드화하고 버전과 적용시점을 필수 필드로 관리한다.
변경 시 영향평가와 재산정 필요 여부를 명시한다.
계절성으로 인한 지표 변동은 어떻게 처리하나?
냉난방 영향 등 계절 요인을 설명 변수로 보조지표에 포함하고 이동평균 또는 전년동월 대비 지표를 병행하여 관리한다.
공급망 데이터가 없어 스코프3가 어렵다.
대표 카테고리를 선정하고 지출 기반 추정으로 시작한 뒤 공급업체 자료 요청과 계약조건 반영을 병행한다.
스마트미터 도입의 최소 기준은 무엇인가?
메인 전력, 주요 열원, 원수·방류 유량, 주요 공정별 전력 서브미터를 우선 도입한다.
마감 일정이 지연될 때의 처리 원칙은 무엇인가?
지연 사유를 기록하고 임시 추정치로 잠정 마감을 한 뒤 증빙 확보 시 소급 정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