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작업장 국소배기장치의 기본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주간·월간 점검표와 기록 양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적용 범위와 점검 원칙
국소배기장치는 오염원을 근원에서 포집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설비를 말한다.
점검의 1차 목표는 설계 시 확정한 기준 유량과 포집 성능을 유지하는 데 있다.
점검의 2차 목표는 노이즈, 진동, 누설, 차압 상승과 같은 고장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비가동 시간을 줄이는 데 있다.
점검은 “후드→덕트→송풍기→집진기→배출구” 순서로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판정은 설비별 기준서와 준공 시점의 기준값 혹은 가장 최근의 정비 후 기준값을 우선 적용한다.
2. 주간 점검의 핵심
주간 점검은 육안·청감·간이 측정 중심으로 진행한다.
후드의 개구부가 가려지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연무 시험이나 가벼운 연기 발생 도구를 통해 공기 흐름이 후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흘러드는지 확인한다.
댐퍼 개도 상태가 작업 표준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송풍기에서 이상 소음, 발열, 벨트 슬립이 없는지 확인한다.
덕트 연결부와 점검구에서 누설 흔적이 없는지 확인한다.
집진기의 차압 게이지가 평상시 범위에 있는지 확인한다.
알람, 인터록, 운전 표시등이 정상 동작하는지 시험한다.
필요 시 핫와이어 풍속계를 사용하여 후드 유입부의 대표 지점 풍속을 간이 체크한다.
3. 월간 점검의 핵심
월간 점검은 정량 측정과 기록 갱신이 중심이다.
후드별 포집 속도 혹은 면풍속을 다점 평균으로 측정한다.
덕트 내 압력은 정압·전압을 측정하여 기준값과 비교한다.
송풍기의 전동기 전류, 진동, 베어링 온도를 기록한다.
집진기의 여과재 상태와 차압 추세를 확인하고 교체 주기 시그널을 검토한다.
배출구 배출 기류의 균일성과 소음 변화를 확인한다.
부식, 마모, 적재물 흡입 등 손상 위험 요인을 점검한다.
4. 점검 도구와 준비물
| 도구 | 용도 | 비고 |
|---|---|---|
| 핫와이어 풍속계 | 후드 입구·슬롯 풍속 측정 | 저속 영역에 유리하다 |
| 베인 풍속계 | 대형 개구부 면풍속 측정 | 면적 환산이 필요하다 |
| 피토관+차압계 | 덕트 유량 추정 | 속도압→속도→유량 계산이 필요하다 |
| U자형 마노미터·디지털 차압계 | 정압·차압 확인 | 기준값 대비 편차 판정에 사용한다 |
| 연무 튜브·연막기 | 기류 방향 확인 | 주간 간이 시험에 유용하다 |
| 클램프 미터 | 모터 전류 측정 | 부하 변동 감시에 사용한다 |
| 진동계 | 팬 진동 측정 | 베어링 이상 조기 감지에 유용하다 |
| 온도계·열화상 | 베어링·모터 과열 확인 | 스폿 체크로 충분하다 |
| 토크 렌치 | 플랜지 볼트 체결 확인 | 정기 점검 시 사용한다 |
| 청소 도구·예비 필터 | 간단 개선 조치 | 점검 중 즉시 조치에 활용한다 |
5. 점검 절차 흐름도 요약(주간)
1) 운전 상태 확인→2) 후드 개구부 장애물 제거→3) 연무 시험→4) 소음·진동·누설 확인→5) 차압·게이지 판독→6) 간이 풍속 측정→7) 이상 시 즉시 조치 또는 공정 책임자 통보 순으로 진행한다.
6. 점검 절차 흐름도 요약(월간)
1) 기준서 확인→2) 계측기 교정 상태 확인→3) 후드 다점 측정→4) 덕트 압력 측정→5) 송풍기 전기·기계 항목 측정→6) 집진기 차압·누설·밀폐 상태 점검→7) 배출구 최종 확인→8) 기준값 대비 편차 판정→9) 시정·예방 조치 계획 수립 순으로 진행한다.
7. 주간 점검표 양식
| 구역/후드 | 점검 항목 | 점검 내용 | 기준/상태 | 판정 | 조치 및 비고 |
|---|---|---|---|---|---|
| 예: 도장1/슬롯후드 | 개구부 장애물 | 작업물·도구로 부분 폐색 여부 확인 | 무 | 적합/부적합 | |
| 연무 기류 | 연기가 후드 방향으로 안정 유입 | 안정 | 적합/부적합 | ||
| 댐퍼 위치 | 표준 개도 각도 일치 여부 | 일치 | 적합/부적합 | ||
| 이상 소음 | 베어링음·스크래치음 유무 | 무 | 적합/부적합 | ||
| 누설 흔적 | 플랜지·점검구에서 분진/냄새 누설 | 무 | 적합/부적합 | ||
| 차압 범위 | 집진기 게이지 표시 평상 범위 | 범위 내 | 적합/부적합 | ||
| 예: 연마2/캡처후드 | 간이 풍속 | 대표 지점 풍속 측정 | 기준 대비 ±20% 이내 | 적합/부적합 |
주간 점검표는 한 설비당 1행 묶음으로 기록하고 이상 발생 시 사진을 첨부하여 원인과 조치를 기록한다.
8. 월간 점검표 양식
| 구역/후드 | 항목 | 측정값 | 기준값 | 허용편차 | 판정 | 조치 |
|---|---|---|---|---|---|---|
| 예: 용접1/이동후드 | 후드 면풍속 평균 | 예: 0.55 m/s | 0.60 m/s | ±10% | 적합 | |
| 덕트 정압(후드 인근) | 예: -320 Pa | -300 Pa | ±10% | 적합 | ||
| 모터 전류 | 예: 8.1 A | 8.0 A | ±10% | 적합 | ||
| 집진기 차압 | 예: 1400 Pa | 1200 Pa | +25% 경계 | 주의 | 프리코팅·패널티 청소 검토 | |
| 예: 연마2/슬롯후드 | 슬롯 유입속도 | 예: 12 m/s | 12 m/s | ±10% | 적합 | |
| 팬 진동 | 예: 2.5 mm/s | 기준서 값 | ±20% | 적합 | ||
| 배출구 소음 | 예: 74 dB(A) | 기준서 값 | ±10% | 적합 |
9. 후드별 상세 기록지(월간 다점 측정)
면풍속은 최소 6점 이상을 측정하여 평균을 산출한다.
| 후드 상세 기록지 | |||||
|---|---|---|---|---|---|
| 후드 ID | 형식 | 개구 치수 | 설계값 | 측정일 | 측정자 |
| 캡처/슬롯/캐노피 | W × H | m/s | |||
| 점 측정값(m/s): P1 □ P2 □ P3 □ P4 □ P5 □ P6 □ P7 □ P8 □ P9 □ | |||||
| 평균 V_face □ m/s, 기준 대비 편차 □ %, 판정 □ | |||||
| 비고: 장애물, 작업조건, 댐퍼 개도, 특이사항 기록 | |||||
10. 덕트·송풍기·집진기 기록 양식
| 측정 위치 | 항목 | 측정값 | 기준값 | 판정 | 비고 |
|---|---|---|---|---|---|
| 덕트 점검구 A | 정압 | □ Pa | □ Pa | 적합/부적합 | 피토관 방향 표시 |
| 덕트 점검구 A | 속도압 | □ Pa | □ Pa | 적합/부적합 | 공식 변환 기록 |
| 송풍기 | 전동기 전류 | □ A | 정격의 □ % | 적합/부적합 | 부하 증가 추세 확인 |
| 송풍기 | 진동 | □ mm/s | 기준서 | 적합/부적합 | 베어링 상태 |
| 집진기 IN-OUT | 차압 | □ Pa | □ Pa | 적합/주의/부적합 | 여과재 상태 |
| 배출구 | 풍속/유량 | □ m/s, □ m³/h | □ m³/h | 적합/부적합 | 환산 계산 근거 |
11. 판정 기준 설정 가이드
설비별 기준값은 설계 문서 또는 최근 오버홀 직후 측정한 기준치로 정의한다.
기준 미보유 설비는 금월 측정값을 기준으로 삼지 않고, 성능 보장 조건을 만족하는 값으로 재설정한다.
후드 면풍속과 슬롯 유입속도는 기준값 대비 ±10% 이내를 적합으로 본다.
덕트 정압과 속도압은 ±10% 이내를 적합으로 본다.
집진기 차압은 기준값 대비 +25%를 경계로 보고 청소·교체 등 조치를 검토한다.
편차가 +30% 이상이면 필터 막힘을 강하게 의심하고 즉시 계획정비를 수립한다.
모터 전류는 정격 대비 90% 이상에서 상승 추세가 지속되면 원인 분석을 진행한다.
12. 계산과 기록 원칙
면적 A와 평균 속도 V를 활용하여 유량 Q=V×A로 산정한다.
후드가 불규칙한 형상인 경우 효과 면적을 정의한 후 계산한다.
덕트 유량은 피토관으로 속도압을 측정한 뒤 속도와 유량으로 변환한다.
온도와 대기압에 따른 보정은 간단 보정계수를 사용하거나 동일 조건 비교를 원칙으로 한다.
계측기는 교정 라벨과 유효기간을 기록 사진으로 남긴다.
13. 빈도와 역할 분장 표
| 구분 | 담당 | 주요 업무 | 빈도 |
|---|---|---|---|
| 주간 점검 | 현장 반장 | 연무 시험, 소음·누설 확인, 간이 풍속 | 매주 |
| 월간 점검 | 설비 담당 | 다점 측정, 압력·전류·진동 기록 | 매월 |
| 분기 분석 | 안전보건 | 추세분석, 개선계획 수립 | 분기 |
| 연간 검토 | 부서장 | 설계값 재검토, 성능검증 | 연 1회 |
14. 자주 발생하는 불합격 사례와 즉시 조치
후드 개구부 주변에 적치물이 쌓여 기류가 막히는 사례가 많다.
대책은 작업대 배치선을 표시하고 적재 금지 구역을 지정하는 것이다.
슬롯 후드에서 슬롯 내부에 분진 퇴적이 발생한다.
대책은 주간 청소와 월간 분해 청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댐퍼가 임의 조작되어 기준 개도가 틀어지는 사례가 있다.
대책은 개도 각도 표준 표시와 봉인 스티커를 적용하는 것이다.
집진기 차압이 상승했는데 운전을 계속하여 과부하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다.
대책은 차압 경계치에서 경고 라벨을 부착하고 경보 시험을 정례화하는 것이다.
송풍기 벨트 장력이 느슨해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사례가 있다.
대책은 장력 표준을 기록하고 교체 주기를 달력에 반영하는 것이다.
15. 예방보전 일정표 예시
| 항목 | 작업 | 주기 | 기록 |
|---|---|---|---|
| 후드 | 개구부 청소·장애물 제거 | 매주 | 주간 점검표 |
| 덕트 | 연결부 누설 검사·패킹 교체 | 반기 | 월간 기록지 |
| 송풍기 | 벨트·풀리 점검·교체 | 분기 | 정비기록 |
| 집진기 | 여과재 점검·교체 | 분기~반기 | 차압 추세표 |
| 계측기 | 교정 | 연 1회 | 교정성적서 |
16. 점검 결과 보고 템플릿
1) 개요: 대상 설비, 점검 일시, 인원, 환경 조건을 기록한다.
2) 결과 요약: 적합 수, 부적합 수, 주의 수를 집계한다.
3) 주요 원인: 상위 다빈도 불량을 도식화한다.
4) 개선 조치: 즉시 조치, 계획 정비, 설계 개선으로 구분한다.
5) 추적 계획: 조치 마감일과 책임자를 명기한다.
17. 문서 관리 규칙
주간·월간 점검표는 설비별 바인더와 전자 파일로 이중 보관한다.
원본 서명과 수정 이력은 열람 가능 상태로 유지한다.
점검 기록은 최소 3년 이상 보존하는 것을 권장한다.
측정 데이터는 다음 점검의 기준값 비교에 사용하므로 누락 없이 보관한다.
18. 현장 적용 팁
모든 후드에 고유 ID를 부여하고 설계 기준값을 라벨로 부착한다.
댐퍼 개도 각도와 표준 위치를 눈금으로 표시한다.
작업자가 개구부를 가리는 동작을 하지 않도록 작업대와 공구 거치 위치를 표준화한다.
차압 게이지 읽기 방법과 경계값을 교육한다.
점검표는 최대한 한 페이지에 담아 휴대성을 높인다.
계측기는 사용 전 영점 확인과 배터리 잔량 확인을 습관화한다.
이상 발견 시 사진과 짧은 동영상을 함께 남겨 재현성을 높인다.
19. 주간 점검 체크리스트 A4 한 장 예시
| 주간 국소배기장치 체크리스트 | ||||
|---|---|---|---|---|
| 후드 ID | 항목 | 기준 | 상태 | 조치 |
| □ | 개구부 장애물 | 없다 | 양호/주의/불량 | |
| 연무 기류 | 후드 방향으로 안정 | 양호/주의/불량 | ||
| 댐퍼 개도 | 표준 위치 | 양호/주의/불량 | ||
| 소음·진동 | 이상 없음 | 양호/주의/불량 | ||
| 누설 | 연결부 누설 없음 | 양호/주의/불량 | ||
| 차압 | 평상 범위 | 양호/주의/불량 | ||
20. 월간 점검 체크리스트 A4 한 장 예시
| 월간 국소배기장치 체크리스트 | |||||
|---|---|---|---|---|---|
| 후드 ID | 측정 항목 | 측정값 | 기준값 | 편차 | 판정 |
| □ | 면풍속 평균 | □ m/s | □ m/s | □ % | 적합/부적합 |
| 덕트 정압 | □ Pa | □ Pa | □ % | 적합/부적합 | |
| 집진기 차압 | □ Pa | □ Pa | □ % | 적합/주의/부적합 | |
| 팬 | 모터 전류 | □ A | 정격 □ % | — | 적합/부적합 |
21. 교육용 한 페이지 요약
1) 후드는 가리지 않는다.
2) 연무는 후드로 빨려들어가야 한다.
3) 차압 게이지는 기준 범위에 있어야 한다.
4) 소음·진동이 변하면 즉시 보고한다.
5) 기준값은 라벨과 점검표에서 즉시 확인한다.
FAQ
기준값이 없으면 어떻게 설정하나
동일 공정의 유사 후드 데이터를 참고하되 성능 검증을 통해 면풍속과 정압의 목표값을 정하고 한 달간 추세를 확인한 뒤 기준으로 확정한다.
간이 풍속계로 측정한 수치가 흔들릴 때는 어떻게 하나
프로브 방향과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3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평균을 사용한다.
집진기 차압이 높아졌는데 생산을 멈출 수 없을 때는 어떻게 하나
생산을 지속하되 단기 조치로 프리코팅이나 예비 필터를 적용하고 교체 계획을 앞당긴다.
연무 시험만으로 판정해도 되나
주간 점검에서는 가능하지만 월간 점검에서는 수치 측정을 병행해야 한다.
점검표 보관 기간은 얼마가 적절한가
최소 3년 이상 보관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