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블루카본(Blue Carbon) 프로젝트의 정의, 생태·경제적 가치, 국내외 정책 동향, 그리고 탄소배출권 시장 변화와 전망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환경·안전 담당자가 실무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블루카본이란 무엇인가
블루카본은 연안·해양 생태계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저장하며 형성하는 탄소 풀을 의미한다. 맹그로브, 염습지, 해초지, 갯벌 등이 대표 사례이다. 이러한 생태계는 육상 산림보다 단위면적당 탄소 격리 속도가 빠르며, 해저 퇴적층에 수백 년 이상 안정적으로 탄소를 저장한다는 특징이 있다. 결과적으로 블루카본 프로젝트는 기후위기 대응, 해양 생물다양성 보전,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중 편익을 동시에 달성한다.
주요 블루카본 생태계와 탄소흡수 잠재력
| 생태계 유형 | 연간 탄소격리량 (tCO2e/ha) |
추가 생태적 혜택 |
|---|---|---|
| 맹그로브 숲 | 8‒12 | 해안 침식 방지, 어·패류 산란장 |
| 해초(Seagrass) 초지 | 3‒6 | 수질 정화, 어류 피난처 |
| 염습지(Salt Marsh) | 5‒10 | 홍수 완충, 철새 서식지 |
| 갯벌·조간대 | 2‒4 | 미세먼지 흡착, 관광 가치 |
위 수치는 국제 과학저널에서 제시한 범위를 평균화한 것으로, 프로젝트 설계 시 현장 조사와 보수적 가정이 필요하다.
국제사회에서의 블루카본 정책 동향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2023년 Global Stocktake 프로세스에서 연안·해양 기반 탄소흡수 확대를 주요 과제로 명시하였다. 또한 IPCC 제6차 평가보고서는 해양 흡수원의 보호·복원 없이는 1.5 °C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렸다. 자발적탄소시장(VCM)에서도 Verra VCS, Gold Standard, Plan Vivo 등 인증기관이 블루카본 방법론을 잇달아 승인하면서, 2024년 한 해에만 신규 등록 프로젝트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각국 정부는 NDC에 블루카본 목표를 포함하고, 공공·민간 합작 투자펀드를 결성하여 프로젝트 초기비용을 지원한다.
국내 블루카본 프로젝트 현황과 과제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 전략의 하나로 어촌 뉴딜, 해양치유단지 조성, 갯벌 복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환경부·해양수산부 합동으로 “연안녹색탄소 이니셔티브”가 2024년 출범되었으며, 표준화된 MRV 지침이 2026년까지 마련될 예정이다. 다만 현행 K-ETS 내에서는 블루카본 크레딧 접수가 제한적이므로, 단기적으로는 기업 CSR 혹은 수출기업의 탄소중립 공약(탄소중립 2030 목표 등)에 활용되는 형태가 더 현실적이다.
탄소배출권 시장의 구조와 최근 변화
탄소시장에는 규제시장(Compliance Market)과 자발적시장(Voluntary Market)이 공존한다. 규제시장은 정부가 할당량을 배정하고 의무 이행을 강제하는 체계이며, 자발적시장은 기업·개인이 ESG 목적 달성을 위해 크레딧을 구매·취소한다.
| 구분 | 대표 시스템 | 2024년 평균 가격(USD/tCO2e) | 블루카본 적용 사례 |
|---|---|---|---|
| 규제시장 | EU ETS, K-ETS, CORSIA | 40‒85 | 호주 “Blue Credits” 파일럿 |
| 자발적시장 | Verra VCS, Gold Standard | 5‒20 | 몰디브 해초복원 프로젝트 |
2024년 말부터 EU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본격화, IFRS S2 기후공시 의무화 등으로 탄소 단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블루카본 크레딧의 희소성 프리미엄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블루카본 크레딧 발행 프로세스
- 프로젝트 범위 설정 및 베이스라인 산정
- 실측·모델링 결합을 통한 탄소유입량(MRV)
- 독립 검증(Validation & Verification)
- 크레딧 등록·발행 및 추적관리
| 단계 | 핵심 체크포인트 | 실무 팁 |
|---|---|---|
| 베이스라인 | 토지·해역 이용 이력 | 지자체 GIS 데이터 활용 |
| MRV | 샘플링 설계 | 드론 LiDAR + 핸드코어 보링 병행 |
| 검증 | 독립 기관 기록 관리 | ISO 14065 인증 기관 사전 선택 |
투자 기회와 리스크 관리 전략
대형 발전·제철 기업은 오프테이크(Off-take) 계약으로 장기 단가를 고정해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다. 금융기관은 블루본드·전환채권을 통해 간접 투자하며, 민간 ESG 펀드는 “High Quality Nature-Based Credits” 포트폴리오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리스크 요인으로는 토지 권원 분쟁, 해수면 상승에 따른 permanence 위험, 커뮤니티 거버넌스 실패 등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층 보험(Parametric Insurance) 도입이 증가한다.
2025년 이후 시장 전망
- 수요 : 글로벌 넷제로 공약 가속으로 2030년 블루카본 크레딧 수요가 2024년 대비 6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가격 : 품질·공신력 기준 통합이 진전되면 프리미엄 블루카본 크레딧 평균가가 2030년 35 USD/tCO2e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정책 : IMO 해운 탈탄소 규제가 해상운송 부문의 크레딧 의무 할당을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
실무 적용 가이드
환경·안전 관리자(EHS)가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다음 단계를 권장한다.
- 사업장 인근 연안 생태계 탄소저장 잠재력 예비평가 시행
- 지자체·연구기관과 협력하여 공동 사업화 타당성(F/S) 확보
- 조기 PDD(Project Design Document) 작성 후 인증기관 사전 리뷰로 리워크 최소화
- 프로젝트 참여 이해관계자(어촌계·NGO)와 이익공유 협약 체결
- ISO 14001·45001 경영시스템과 연계해 내부 감사를 수행하고, ESG 보고서에 정량 성과를 주기적으로 공개
블루카본 프로젝트는 기후변화 완화·적응, 해양 생태계 복원,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삼중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탄소배출권 시장이 고도화되는 2025년 이후에는 프로젝트 품질과 커뮤니티 공정성이 가격 결정의 핵심 변수가 된다. 그러므로 기업과 공공기관은 조속히 블루카본 기반 전략을 수립하고, 과학적 MRV 체계 및 이해관계자 참여 구조를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FAQ
Q1. 블루카본 크레딧은 산림 REDD+ 크레딧과 어떻게 다른가?
A. 블루카본은 탄소 저장 장소가 해양 퇴적층이므로 화재·병해충 위험이 낮고, 해수면 변동을 제외하면 탄소 영속성(permanence)이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 REDD+는 산림 훼손 방지에 중점을 둔다.
Q2. 프로젝트 개발에 평균적으로 얼마나 시간이 소요되는가?
A. 예비조사 6개월, 기본설계·MRV 프로토콜 수립 12개월, 검증 및 크레딧 발행 6개월로, 총 2년이 일반적이다. 다만 행정 인허가 절차에 따라 변동된다.
Q3. K-ETS에 블루카본 크레딧을 사용할 수 있나?
A. 현행 제3차 K-ETS 계획기간(2021‒2025)에서는 시범적용 단계이며, 2026년 부터 본격적 인정 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준비 단계에서 사업자를 사전 등록하고, 방법론 공표 시 즉시 신청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Q4. 기업 입장에서 최적의 구매 시점은 언제인가?
A. 프로젝트 초기에 선구매(Forward Purchase)를 통해 할인율을 확보할 수 있다. 탄소단가가 상승세이므로, 2026년 전까지 미리 장기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Q5. 블루카본 프로젝트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A. 어획량 증대, 관광 수입 증가, 환경 교육 기회 제공 등이다. 특히 여성·청년 고용 창출 효과가 높아 국제 기금 지원 시 긍정 요소로 작용한다.

